참새미골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참새미골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참새미골

참새미골

4.8Km    2024-06-27

경상북도 경산시 갓바위로 153-1

참새미골은 팔공산 인근 계곡에 위치한 식당이다. 인근에 계곡이 있는 덕분에 여름철에 물놀이를 즐긴 후 배를 채우기 좋은 곳이다. 참새미골은 참새미골만의 특제 양념으로 버무린 오리주물럭, 신선한 생오리로 구운 부추와 양파간장을 곁들이면 최고의 조합을 보여주는 생오리구이, 명품 등급의 숙성 삼겹살을 전문으로 한다. 이외에도 부드러운 육질의 우삼겹, 해물이 듬뿍 들어간 해물파전, 직접 만든 촌두부 등이 있다. 여름 성수기 주말에는 예약을 따로 받지 않고 방문 순서대로 받고 있다.

도화지

도화지

4.8Km    2025-09-16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대한길 45-27

도화지는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에 있다. 도화지는 팔공산 자락에 있어서 사계절의 변화를 바라보며 메뉴를 즐길 수 있다. 대표 메뉴는 짭짤하면서 담백하고 고소한 소금식빵이다. 이 밖에 달콤한 딸기잼을 첨가한 너는꽃, 대파 소스와 치즈가 어우러진 대파빵 등을 맛볼 수 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청통와촌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팔공산 갓바위와 선본사가 있어 연계 관광에 나서기 수월하다.

도화지오토캠핑장

도화지오토캠핑장

4.9Km    2025-06-26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대한길 45-18

도화지 오토캠핑장은 경북 경산시 와촌면에 있다. 경산시청을 기점으로 24Km 떨어진 거리로 자동차를 타고 대학로, 화성로, 팔공로를 차례로 거치면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45분 안팎이다. 캠핑장은 카라반 5대와 자동차 야영장 6면을 마련했다. 카라반 내부에는 침대, 침구류, 소파, TV, 냉장고, 에어컨, 식기류, 취사도구, 개수대, 화장실, 샤워실 등이 있다. 외부 전용 데크에는 어닝 아래 의자 일체형 테이블을 비치했다. 파쇄석으로 이뤄진 자동차 야영장은 6면이며, 사이트 크기는 가로 8m 세로 6m다. 개인 카라반과 트레일러 동반 입장이 가능하다. 화장실과 샤워장은 남녀를 구분해 2개 소가 있으며, 개수대는 1개 소다. 캠핑장 이외에 분위기 좋은 대규모 카페를 비롯해 베이커리, 펜션을 함께 운영한다.

수태골

수태골

4.9Km    2025-09-24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수태골은 동화사와 부인사 사이에 자리한 깊은 골짜기로, 울창한 숲과 맑은 계곡이 어우러진 팔공산국립공원의 대표 계곡이다. 사시사철 흐르는 물줄기와 숲이 만들어내는 수려한 경관으로 예부터 대구 시민들이 즐겨 찾는 피서지로 사랑받아 왔으며, ‘물이 맑고 깨끗하여 수태(水台)라 불렸다’는 설과 ‘백일기도로 아이를 수태했다’는 전설이 함께 전해지는 의미 있는 장소이다. 이 수려한 자연 속을 따라 이어지는 수태골 탐방로는 팔공산국립공원 내에서도 인기 많은 탐방코스다. 수태골 주차장에서 수태골폭포까지 약 2.3㎞, 도보로 약 65분이 소요되며, 길을 따라 숲 내음과 계곡물소리를 벗 삼아 걷다 보면 계절마다 피어나는 야생화를 감상할 수 있다. 탐방로 중간 지점에는 조선시대 왕실이 산림 보호를 위해 세운 ‘수릉봉산계 표석’이 자리하고 있고, 이어지는 암벽에는 조선 후기 서예가 말하여 서석지가 새긴 ‘거연천석(居然泉石)’ 글씨가 새겨져 있어 자연 속에서 역사적 흔적도 함께 마주할 수 있다. 마지막 지점인 수태골폭포에서는 크지는 않지만 시원하게 쏟아지는 물줄기와 부서지는 물안개가 청량한 마무리를 선사한다. 이 길은 대구올레 8코스와도 연결되어 있어 도심 속 가벼운 트레킹부터 본격적인 산행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즐길 수 있으며, 수태골만의 고요한 아름다움과 숲 속 힐링을 오롯이 느낄 수 있는 명소이다.

모영재

모영재

5.0Km    2025-06-16

대구광역시 동구 도평로 905 (평광동)

모영재는 1931년에 건립된 평산 신씨 문중의 재실로, 고려 개국공신 장절공 신숭겸 장군의 유덕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모영재(慕影齋)’는 영각(影閣)을 추모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이 재실은 남서향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정면 4칸, 측면 1.5칸 규모의 일(一) 자형 건물로, 홑처마 맞배지붕 구조를 갖추고 있다. 평면 구성은 좌측부터 2칸 온돌방, 1칸 대청, 1칸 온돌방 순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반 칸 규모의 툇간이 설치되어 있다. 좌측 2칸 온돌방은 실내에 두 짝 미서기문을 달아 공간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건물 뒤편에는 1832년(순조 32년), 후손 신정위가 신숭겸 장군의 공덕을 기려 세운 신숭겸영각유허비가 세워져 있다. 모영재는 일제강점기 영남 지역 문중 재실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며, 특히 건물의 지붕 형식이 향교 사당인 대성전과 같은 맞배지붕을 채택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매년 음력 9월 9일에는 평산 신씨 문중에서 합동 향사가 거행되고 있다. 모영재가 위치한 평광동 입구에서 모영재에 이르는 길은 왕건의 도피로였던 것으로 전해지며, 왕건임도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주변에는 첨백당이 자리하고 있으며, 팔공산 올레길 4코스 ‘평광동 왕건길’에 속한다. 평광동은 사과마을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효자나무를 비롯한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풍부한 관광지이다.

하말

하말

5.1Km    2024-01-08

경상북도 경산시 대한길 13

하말은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에 자리 잡고 있다. 반려견과 동반 입장이 가능한 카페이다. 단, 실내에서는 전용 가방에 넣거나 반려견용 유모차에 태워야 한다. 하말 매장 내에 5대를 보유하고 있어 대여도 가능하다. 주차장 만차 시에는 카페 옆 상원사 주차장이나 청담 면옥 맞은편 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하말크림라떼를 비롯한 다양한 음료와 크로플을 맛볼 수 있다.

별빛을 연결해 준 영천 보현산 천문대

5.3Km    2023-08-11

별을 보는 것은 그 어디에서나 즐거운 일이다. 하지만 보현산 천문대에서 보는 별은 좀 더 가깝다. 우리나라 3대 천문대에 속하는 이곳은 별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가볼만 하다. 주변 영천 별빛마을의 밤은 더욱 영롱하다. 4~5월이라면 별빛축제에 참여할 수도 있다.

팔공산 자락 부처의 자비를 만나다

팔공산 자락 부처의 자비를 만나다

5.4Km    2023-08-10

경산시의 일부를 품고 있는 팔공산도립공원에는 정성껏 소원을 빌면 하나씩 들어준다는 갓바위라 불리는 관봉석조여래좌상이 있다. 그밖에 유서 깊은 불굴사, 선본사, 원효암 등 천년의 역사를 넘나드는 고찰이 남아 있어 불교 유적 답사를 제대로 즐겨볼 수 있다. 소원을 들어준다는 갓바위에 올라 가슴속에 품고 있는 소원 하나 빌어보면 어떨까?

불굴사(경산)

불굴사(경산)

5.4Km    2025-08-19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불굴사길 205

불굴사는 팔공산 남쪽 기슭에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의 말사이다. 자연으로 이루어진 석굴 안에 부처님을 모셨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신라 신문왕 10년(690) 창건한 것으로 흥성기에는 50여동의 와가, 12개의 부속암자, 8대의 물방아를 갖춘 대사찰이었으나 조선 영조 12년(1739)에 홍수로 떠내려가 없어졌다가 이후 전라도 송광사 노스님이 다시 세웠다고 한다. 경내에는 보물로 지정된 불굴사 3층석탑과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적멸보궁, 약사여래입상 부도 등이 있으며 공양간을 지나 108계단을 지나 10분 정도 오르면 원효대사가 수도한 석굴이라 전하는 굴이 있는데 이를 원효굴 또는 홍주암이라 부른다. 석굴 속의 약수터는 신라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아동제일약수라는 글귀가 뚜렷하게 새겨져 있다. 구전에 의하면 이 약수는 장군수라고도 하는데, 김유신 장군이 이 물을 마시면서 삼국통일의 염원을 기도하였던 장소로도 알려져 있다. 특이한 것은 불굴사 주변에 우기가 있으면 불상의 얼굴 부분에 땀이 나고 특히 큰비가 오기 전에는 불상의 온몸이 흠뻑 젖는다고 찬다.

팔공산국립공원(갓바위지구)

팔공산국립공원(갓바위지구)

5.5Km    2025-07-18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갓바위로10길 5-1

팔공산은 대구광역시 동구, 군위군, 경상북도 경산시, 영천시, 칠곡군에 걸쳐있는 해발 1,192m의 산이다. 1980년 5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이후 2023년 국립공원으로 승격됐으며 우리나라의 23번째 국립공원이다. 팔공산은 자연생태계와 자연경관, 문화경관 측면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다. 붉은박쥐·매·수달 등 멸종위기종 15종을 포함해 야생생물 5296종이 서식하고 자연경관 자원으로는 산봉 39곳, 기암 10곳, 계곡 19곳이 있다. 또, 국가지정문화재 30점, 지방지정문화재 61점, 등록문화재 1점 등 풍부한 문화자원이 있는 국립공원이다. 팔공산국립공원 갓바위지구는 사시사철 방문객이 끊이지 않는 곳으로, 갓바위 앞 전망대에서는 수많은 봉우리로 연결된 팔공산이 한눈에 보이며 정상에 관봉석조여래좌상이 있다. 석굴암 다음으로 신비한 불상인데 팔공산 봉우리에 있던 천연 암석을 깎아 만든 것으로 통일신라 때 의현스님이 돌아가신 어머니를 천도하기 위해 조각했다고 한다. 불상이 갓 모양의 자연석을 머리에 이고 있어 갓바위라 불린다. 머리 위 바위는 처음부터 함께 조성된 것은 아니고 고려시대에 연꽃무늬 관을 조각해 얹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 불상에 정성껏 빌면 한 가지 소원을 들어준다는 전설이 있어 방문객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