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계서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남계서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남계서원

남계서원

10.3Km    2025-03-15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대북길 9

군위군 군위읍 대북리에 있는 남계서원은 조선 중기의 문신 류성룡(1542~1607년)과 이호민(1553~1634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기 위해 1581년(선조 14) 3월에 창건되었다. 류성룡이 1583년(선조 16) 경상도 관찰사로 있을 때 남계서당을 건립하였는데, 1607년 세상을 떠난 뒤 1621년(광해군 13) 후학들이 중수하고 서애의 위패를 모셨으며, 남계서원으로 승격시켰다. 이후 1787년(정조 11)에 이호민을 추가 배향하였다. 1868년(고종 5)에 전국의 서원을 일제히 정리하고 철폐함에 위패는 하회로 옮겨 모시고 서당으로 격하되었으며 6.25 사변으로 소실되었다. 1990년에 유림의 의해 복원하기로 결의하여 1991년에 복원되었다.

의성슈퍼푸드마늘축제

의성슈퍼푸드마늘축제

10.4Km    2024-09-03

경상북도 의성군 충효로 104 의성종합운동장
054-832-9997

세계10대 슈퍼푸드인 마늘의 고장, 의성에서 펼쳐지는 의성슈퍼푸드마늘축제이다. 축제장에는 마늘요리경연대회를 비롯한 다양한 경연과 마늘까기, 엮기, 빻기 등 마늘을 활용한 재미난 이벤트와 다양한 공연과 먹거리가 가득하다. 유명 가수의 초청공연의 화려함까지 볼거리, 놀거리, 먹을거리가 가득하다.

남곡서원

남곡서원

10.7Km    2025-03-15

대구광역시 군위군 우보면 미성3길 66-7

고려 보문각 대제학과 판도판서의 관직에 오른 영천이씨 영양군 6세 남곡공 휘 석지와 그의 자제인 집현전 제학과 한성부윤이셨던 장자 휘 안우, 직제학 겸 병조판서이신 차자 휘 아직, 이조 정랑이 신 삼자 휘 안유, 군기사부정 휘 현실, 휘 안실 등 6위를 배향하고 있으며, 매년 음력 3월 첫 일요일 영천이 씨 남곡공파 후손들이 참 석하여 제사를 올린다. 대강당은 남곡공과 다섯 아드님을 경모하고 학업을 연수하는 곳으로 ‘남곡서원’이라는 현판을 달았으며 서원으로 들어가는 문은 협문과 대문이 있으며 이름을 ‘歸堂門(귀당문)’이라 하였다. 경내에는 남곡공의 사적비와 비각, 제학공의 유적비와 비각, 두문동 72현의 행적을 새긴 와비와 창건기문, 남곡서원 표지석 등이 세워져 있다. 사당인 효충사는 5위의 위패를 종 향하였고 신삼문(神三門)을 지어 ‘향례문(享禮門)’이라 하였으며 평소 출입하는 ‘숭의문(숭의문)’과 협문을 세웠다. (출처: 군위군 홈페이지)

파라지오CC

파라지오CC

11.0Km    2024-01-12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농공마전길 167

파라지오 CC는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신평리에 자리 잡은 18홀 골프장이다. 파랗다는 의미의 순우리말 ‘파라’와 지형을 뜻하는 ‘geography’의 앞 글자를 딴 합성어로 레이크 코스와 힐코스로 나뉜다. 낮은 구릉으로 둘러싸인 평탄한 지형으로 한국인이 선호하는 형태의 코스를 갖추었고 비회원도 이용할 수 있는 퍼블릭 골프장이다. 퍼트 연습장도 갖추었다. 동남향의 완만한 경사지로 사계절 모두 골프를 즐길 수 있다.

의흥향교

의흥향교

11.1Km    2025-03-15

대구광역시 군위군 의흥면 읍내길 89-5

군위군 의흥군에 있는 의흥향교는 1398년(태조 7) 조선 인종 때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조선시대의 국립교육기관이다. 임진왜란 때 건물은 모두 소실되었으나, 이곳 유림 손돈암이 위패를 선암산으로 피난시켜 병화를 면하였고 이에 경상북도에서 오직 이 향교만이 당초 그대로의 위패를 보존하고 있다. 1601년(선조 34)에 중건하고 1641년(인조 19)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 하면서 이때 대성전이 세워졌다. 1950년 6·25 사변으로 삼성재, 노사 등이 소실되었으며, 1968년에 광풍루를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5성, 송조 4현, 우리나라 18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는 대성전과 광풍루, 사물재, 신문 등이 있다.

봉강서원

봉강서원

11.1Km    2025-03-15

대구광역시 군위군 우보면 화계봉산길 795

목화를 전래한 고려시대의 문신 문익점(文益漸, 1329~1398), 물레를 고안한 문래(文來), 직조법을 발명한 문영 (文英)등을 배향하고 있다. 1861년 창건하였으며, 1960년 현재의 서원터에 문중의 후손들이 신실인 경현사, 삼문, 강당, 외삼문인 상의문, 충선공 유허비각 등을 중수하였다. 남평문씨(南平文氏) 종중에서 소유와 관리를 맡고 있으며, 해마다 음력 3월 중정(中丁)에 제사를 지낸다. (출처: 군위군 문화관광 홈페이지)

구니CC

구니CC

11.6Km    2024-09-30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도군로 2450

‘구니 CC’는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 외량리에 자리 잡고 있다. 군위 IC와 가까운 거리이다.
골프장에는 한국 잔디가 깔려 있으며, 18홀 규모로 이루어졌다. 7,200yd 이상의 인터내셔널 코스로 세계 명문 코스의 기품과 격이 흐른다. 하늘과 위천을 코스 안으로 과감하게 끌어들인 공간 미학까지 매일 변하는 필드는 살아있는 생명체다. 부대시설로는 클럽하우스, 로비, 락커 룸, 레스토랑, 스타트하우스, 프로숍 등이 있다.

군위 삼국유사 테마파크

군위 삼국유사 테마파크

12.0Km    2024-05-21

대구광역시 군위군 의흥면 일연테마로 100

삼국유사 테마파크는 삼국유사(三國遺事) 속 콘텐츠를 시각화한 다양한 전시‧조형물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교육‧체험 프로그램들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시키면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동시에 제공한다. 다양한 체험과 문화, 관광이 한데 어우러진 복합 문화 공간이다. 삼국유사를 주제로 한 전시 및 다양한 체험을 함께할 수 있는 가온누리관, 야외에서 신나게 즐길 수 있는 해룡 슬라이드, 해룡 물놀이장, 보다 편리한 이동이 가능한 해룡열차, 숙박시설 등 이용객들을 위한 다채로운 즐길거리가 준비되어 있다.

운람사(의성)

운람사(의성)

12.1Km    2025-04-02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신안2길 223

※ 25년 3월 산불로 인해 보광전 등 건물 일부가 전소되어 방문 전 참고 부탁드립니다.
.text202503{ COLOR: #FF0000; } 운람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 소속 사찰이다. 신라 제31대 신문왕 때에 의상 대사가 창건하였다. 운람이라는 사찰의 이름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천등산 첩첩산중 깊은 계곡에 위치하여 아지랑이가 마치 구름같이 피어오른다는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구름과 바람으로 지었다는 것이다. 운람사 창건 이후의 자세한 변천 과정은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지만, 보광전의 목조아미타 여래좌상과 복장 유물에 따르면 1602년(선조 35)과 1704년(숙종 30)에 중수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1741년(영조 17)에 지장 탱화, 1774년에 반자, 1827년(순조 27)에 산신 탱화를 조성하였으며, 1999년에는 보광전을 중창하였다. 운람사의 경내에는 3층 석탑과 보광전을 중심으로 산왕각, 식암당, 조당, 객당 등이 있다. 보광전 내부에는 주불인 아미타불과 왼편의 관세음보살, 오른편의 대세지보살 등 금동 삼존 여래 좌상이 조성되어 있는데, 좌우의 협시보살은 화관을 쓴 모습을 하고 있다. 3층 석탑은 신라 말에서 고려 초의 작품으로 추정되며, 높이 3.39m이다. 보광전 옆에 있는 산왕각의 내부에는 1827년에 조성한 산신 탱화가 있었으나 오래되어 1977년에 다시 조성하여 봉안하였다. 삼성각에는 최근 조성한 칠성 탱화, 산신 탱화, 독성 탱화가 봉안되어 있다. 그리고 1774년(영조 50)에 제작된 반자가 요사채 처마 아래에 걸려 있다.

양천서원

양천서원

12.2Km    2025-03-15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내외량길 243-55

고려시대의 문신이자 서예가인 홍관 (洪灌,?~1126년)과 홍언박 (洪彦博, 1309~1363년), 조선 중기의 문신 홍위 (洪瑋, 1559~?)를 배향하고 있으며, 남양 홍씨 문중에서 소유와 관리를 맡고 있다. 1786년(정조 10)에 창건하여 남양 홍씨 후손들이 제사를 담당하여 오다가 1868 년( 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이후 1926년 이 지역에 오랫동안 세거해 온 남양 홍씨 후손들에 의하여 복설 되었다. (출처 : 군위군 문화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