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7Km 2025-03-15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해양치유길 100
061-550-7675~6
국내 최초로 운영되는 해양치유 시설로 바닷물과 머드, 해조류 등 해양자원을 이용한 16종의 요법 시설을 갖추어 1층은 딸라소 풀, 머드 테라피, 해조류 거품 테라피, 해수 미스트 등 5개의 프로그램, 2층은 스팀 샤워와 해조류 입욕, 해수를 이용한 습식 테라피와 오감을 테마로 한 컬러, 소리, 음악, 향기, 스톤 테라피 등 건식 테라피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17.8Km 2025-01-21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명사십리길 85-207
061-550-5431
2025년 완도 방문의 해를 맞아 이를 기념하고 해양치유를 홍보하기 위한 해맞이 행사로 새해 풍물 길놀이 행사와 새해 희망콘서트 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희망 신년 타고, 붓글씨 퍼포먼스, 소망지 매달기 등 다양한 퍼포먼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방문객들의 새해 소망과 다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맞이 행사를 알차게 준비하고 있으며 행사가 끝나고 무료 떡국, 차 나눔, 새해 덕담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18.0Km 2025-01-06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신지로 548
061-552-7488
신두지가든은 언덕 위에 위치하고 있어 계단식 형태의 다소 특이한 외관을 가지고 있다. 붉은색 벽돌로 지어진 2층 양옥집으로 아래층에 식당이 있다. 내부는 여느 식당들과 같이 깨끗하고 단정하게 관리되고 있는데 식당 내부에 여기저기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수석이 눈길을 끈다. 대표 메뉴는 장어탕과 생선매운탕이다. 특히 생선매운탕은 신선한 해산물을 쉽게 구할 수 있는 완도이기에 신선한 맛과 남도의 푸짐한 인심이 먹는 사람을 즐겁게 해준다. 10여 가지가 넘는 기본 반찬만으로도 배가 부른 곳이다.
18.1Km 2024-06-05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명사십리는 울 명(鳴) , 모래 사(沙), 10리(4km)로 모래가 우는 소리, 즉 파도가 모래에 부딪혀 우는 소리가 십리(4.0km)까지 들린다하여 명사십리이다. 하얗고 고운 모래가 넓게 깔린 광활한 백사장은 아름다운 해안 절경을 연출하며 백사장 뒤편에 있는 울창한 송림 또한 이곳의 자랑거리다. 해변 뒤로는 일출전망대가 있어 아침에 붉게 떠오르는 해를 볼 수 있는 것은 물론 잔잔하게 펼쳐지는 해변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신지명사십리는 수심이 깊지 않아 가족 단위의 피서객들에게 인기가 있다. 2005년 12월 신지대교가 개통 후 교통여건이 개선되어 매년 여름이면 약 100만 명에 달하는 피서객이 찾아올 만큼 명성이 높다. 주변으로 갯바위가 많고 농어·돔·광어 등 어종이 풍부해 낚시터로도 각광받는 곳이다. 또한 숙박시설·식당·야영장 등 편의시설을 잘 갖추고 있어 편리하게 관광을 즐길 수 있다. 해양 치유 센터가 있어 해변 노르딕워킹과 명상 등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상시 운영하고 있어 프로그램을 참여해 볼 것을 추천한다. 신지명사십리해수욕장은 2020년 해양수산부 주관 전국 277개 해수욕장 중에 3대 우수 해수욕장으로 선정되었으며 국내 최초로 친환경, 안전 해변에만 주어지는 블루 플래그 인증을 받은 해수욕장이다.
18.1Km 2025-01-08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명사십리길 85-29
061-552-7874
소라횟집의 외부는 평범한 단층 양옥집의 형태로 특별한 것이 없어 보이지만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여름이면 지나칠 수 없는 별미가 있다. 그 별미는 삼복더위탕으로 일반적으로 복날에 많이 먹는 삼계탕과 달리 완도 주변의 풍부한 신선한 해산물을 닭과 함께 요리해 먹음으로써 더위를 이길 수 있게 해주는 아주 특별한 보양식이다. 닭과 함께 전복, 낙지, 게가 들어가는데, 도시 사람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재료의 조합이지만 여름에만 맛볼 수 있는 완도의 특별한 맛이라 할 수 있다.
18.1Km 2024-05-28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061-550-5152
[신지도] 유명한 명사십리해수욕장이 있는 섬으로 배낚시, 갯바위 낚시를 동시에 갖추고 있는 완도 근해의 대표적 낚시터이다. 신지도는 전형적인 가을 감성돔 낚시터로 송곡마을부터 섬의 맨 끝에 있는 동고리 마을까지 감성돔이 잡히며, 신지도 부근의 작은 섬인 갈마도, 혈도를 비롯한 수많은 부속 섬은 가을이 되면 전국에서 많은 낚시꾼이 몰려든다. 신지도는 육지와 가까워 바다낚시를 즐기기 좋으며 조류가 빠른 곳부터 수심이 얕은 곳, 바위나 절벽 등 포인트 여건이 좋은 낚시터가 즐비하다. [고금도, 약산도] 신지도 북쪽에 위치한 섬으로 참돔, 감성돔이 낚인다. 고금도는 섬 주변이 모두 해태, 미역 양식장이 있어 어느 특정 지역이 좋은 곳이라고 지칭하기 어렵다. 고금도의 경우 타지역 포인트보다 낚시하기는 쉬우나 만조와 간조의 차가 심하여 갯바위 낚시를 할 때 항상 유의해야 한다.
18.1Km 2025-03-19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명사십리길 74
061-552-4015
2021년 완도군이 개발한 ‘해양치유밥상’을 맛볼 수 있는 식당이다. 해양치유밥상은 완도의 해산물을 활용해 만든 건강 식단으로 전복의 내장과 톳, 청각, 다시마, 미역귀 등이 들어가 있다.
18.1Km 2024-05-22
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 명사십리61번길 54
완도 명사십리 오토캠핑장은 완도군이 연간 백만 명이 넘는 방문자들에게 편안하고 안락하게 완도의 아름다운 모습을 즐길 수 있도록 약 62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새로 조성한 오토캠핑장이자 카라반파크다. 27,100㎡에 데크 캠핑사이트 48면, 카라반 22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의시설은 샤워장, 식수대, 편의점, 풋살장, 캠프파이어, 놀이터 등이 갖춰져 있으며 인근에 정도리 구계등, 완도 수목원, 장보고 드라마 세트장, 완도타워, 신비의 바닷길, 주도 등의 관광지들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고, 청산도, 보길도 등 아름다운 남단의 섬 관광도 즐길 수 있다.
18.1Km 2025-03-19
전라남도 완도군 생일면 생일로601번길 23-230
완도군 생일도의 중앙에 우뚝 솟은 백운산에는 300여 년의 장구한 역사를 안고 있는 학서암이 자리 잡고 있다. 산의 모양이 학의 형태로 생겨서 학서암이라 칭하였다고 한다. 조선 후기 육지 사람들이 섬과의 거리감을 극복하고 차츰 모여들어 마을을 이루고 살기 시작하였을 때 이 생일도에도 사람들이 몰려왔다. 그러나 바다는 여전히 위험이 많은 곳이었고 따라서 그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한 믿음이 필요했다. 학서암은 그런 믿음을 채워줄 공간의 하나로 1719년(숙종 45)년에 천관사(天冠寺)의 승려 화식(和湜)이 창건하였다. 학서암은 생일도뿐만 아니라 금일도, 평일도 주민들이 이용하는 사찰이라 한다. 학서암에서 바라보는 일출이 아름다워 관광객들 중에는 생일도에서 하룻밤 지내면서 학서암 일출을 감상하기도 한다. 학서암이 있는 생일도까지는 완도 약산면의 당목항에서 철부선으로 25분 소요된다.
18.4Km 2025-04-16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장보고대로 330
완도읍 동망산 정상 부근 5만 3천여㎡에 관광 타워와 광장, 산책로, 쉼터 등을 갖춘 일출공원에 건설된 76m 높이의 완도 타워는 완도의 환상적인 일출과 일몰은 물론 완도항과 신지대교 등 야경을 365일 감상할 수 있다. 서편제의 촬영지인 청산도, 보길도, 노화도, 소안도, 신지도, 고금도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이며, 맑은 날엔 제주도, 거문도까지도 볼 수 있다. 타워 바로 옆에는 봉수대가 있고, 봉수대 바로 옆으로 동망산을 일주할 수 있는 산책로가 있다.
완도타워 1층에는 특산품 전시장, 크로마키 포토존(영상 합성사진), 휴게공간, 휴게음식점 겸 매점, 영상시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영상시설에는 ‘건강의 섬’, ‘Slow City’, ‘완도의 소리’를 주제로 완도를 상징하는 여러 가지 영상과 소리로 관람객들에게 완도를 소개하는 공간을 마련하였다. 2층에는 이미지 벤치, 포토존, 완도의 인물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망 덱에는 완도의 인물인 최경주 선수와 장보고 대사를 모형으로 제작하여 관람객들에게 사진촬영을 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였다. 전망층에는 다도해의 아름다운 모습을 촬영한 영상 모니터와 전망 쌍안경이 설치되어 있다. 아침 해돋이가 장관이며 저 멀리 펼쳐지는 다도해의 전경과 제주도가 한눈에 들어온다. 야간에는 완도타워의 경관조명이 켜지고, 매일 환상적인 레이저쇼가 연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