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사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화엄사 정보를 소개합니다.

  • 화엄사
  • 화엄사
  • 화엄사
  • 화엄사
  • 화엄사

설명

화엄사는 구례읍에서 동쪽으로 5.4㎞ 떨어진 곳, 민족의 영산인 지리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천년 고찰로 544년(백제 성왕 22년)에 연기조사가 창건하였다 하여 절의 이름을 화엄경(華嚴經)의 화엄 두 글자를 따서 붙였다고 한다. 처음에는 해회당과 대웅상적광전만 세워졌고 그 후 643년(선덕여왕 12년) 자장율사에 의해 증축되었고 875년(신라 헌강왕 1년)에 도선국사가 또다시 증축하였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630년(인조 8년)에 벽암선사가 절을 다시 세우기 시작하여 7년 만인 인조 14년(1636년)에 완성하였다. 사찰 내에는 각황전을 비롯하여 국보 4점, 보물 5점, 천연기념물 1점, 지방문화유산 2점 등 많은 문화유산과 20여 동의 부속 건물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건물의 배치에 있어서는 일주문을 지나 약 30˚꺾어서 북동쪽으로 들어가면 금강역사, 문수, 보현의 상을 안치한 천왕문에 다다르는데 이 문은 금강문과는 서쪽 방향으로 빗겨 놓은 것이 독특한 특징이다. 이 천왕문을 지나 다시 올라가면 보제루에 이르고 보제루는 다른 절에서 그 밑을 통과하여 대웅전에 이르는 방법과는 다르게 누의 옆을 돌아가게 되어 있다. 저네에서는 동. 서 두 개의 탑이 사선 방향으로 보이며 동측탑의 윗부분보다 한단 높은 더위에 대웅전이 있고 서쪽탑의 윗부분에는 각황전이 위치하고 있다. 경내 건물 중 각황전은 국보로 지정된 매우 유명한 건물이며 현존하는 목조건물로는 국내 최대 규모로 그 웅장한 외양이 보는 이의 시선을 압도한다. 각황전 앞 뜰에 서있는 석등은 높이 6.3m, 직경 2.8m로 국내 최대 규모이며, 통일 신라시대 불교 중흥기의 찬란한 조각예술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국보 제12호로 지정되어 있다. 각황전 왼편 효대라는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4 사자 3층석탑은 화엄사를 창건한 연기조사가 어머니의 명복을 빌며 세운 탑으로 특이한 의장과 세련된 조각솜씨를 자랑하는 걸작으로 국보이다. 각황전 내부 후편에 위치하고 있는 영산회 괘불탱은 국보로 1997년도에 지정되었다. 화엄사 경내 보물 가운데서도 대웅전 양편에 서있는 5층탑은 뛰어난 조형성과 섬세한 장식이 눈길을 끄는 신라시대 작품으로 보물로 지정돼 있다. 또한 이곳의 대웅전은(보물) 조선시대의 우수한 예술성이 잘 나타나 있으며, 국립공원인 지리산의 훌륭한 경관을 배경으로 곳곳에 명소와 절경이 산재해 있다. 한편 하동에서 화엄사에 이르는 19번국도변(약 35㎞) 에는 가로수로 벚꽃나무가 심어져 매년 4월 벚꽃이 만개할 때면 환상적인 드라이브 코스로 인근에는 섬진강매화마을, 고소성 군립공원, 지리산국립공원, 쌍계사등 많은 관광지가 있어 수많은 상춘객이 몰리는 곳이다.


홈페이지

http://hwaeomsa.or.kr


이용안내

문의 및 안내 : 061-783-7600

주차시설 : 가능

쉬는날 : 연중무휴

이용시간 : 00:00~18:00
※일몰 후 입장금지


상세정보

관 람 료
무료

화장실
있음

위치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초정치유마을

초정치유마을

2025-11-24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초정약수로 880

'초정치유마을'은 세계3대 광천수 '초정광천수'와 이 광천수로 안질을 치료한 세종대왕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기반으로 조성된 곳이다. 시설 내에는 초정광천수(냉천)를 활용한 탄산와추풀, 개인광천욕 시설과 따뜻한 물수압을 활용한 스파치유풀 시설이 갖춰져 있다. 명상 치유실에서는 액티브, 싱잉볼, 웃음치유 명상 등을 체험할 수 있고 음식 치유실에서는 계절 음식, 발효 음식을 활용한 음식 치유 프로그램 체험할 수 있다. 프로그램별 운영 기간 상이하며 관련 일정은 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 홈페이지 확인이 필요하다.

포항전통문화체험관

포항전통문화체험관

2025-11-24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북면 덕동문화길 7

400여 년의 세월을 간직한 풍습과 따뜻한 정이 넘실대는 덕동문화마을의 고즈넉한 품에 안긴 포항전통문화체험관은 바쁜 현대인의 삶에 쉼표를 선사하는 특별한 공간이다. 이곳은 도심의 복잡한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맑은 공기를 마시며 몸과 마음을 정화하고, 소중한 전통문화를 깊이 있게 경험할 수 있는 휴식과 배움의 장이다. 체험관은 직접 오감으로 느끼고 체험하며 우리 전통의 아름다움을 깨닫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다도예절 배우기부터 흥겨운 우리 가락을 배우며 전통 가락의 멋에 취하는 시간, 그리고 선조들의 지혜가 담긴 짚풀공예를 체험하는 활동까지 준비되어 있다. 또한, 우리 고유의 맛과 정성을 담은 한과 만들기, 두부 만들기, 전통 장 담그기 등 향토 음식 체험을 통해 잊혀 가는 전통 식문화의 가치를 되새길 수 있다. 전통의 향기가 배어있는 아늑하고 편안한 숙박 시설도 갖추고 있어 단순히 하루의 체험을 넘어 넉넉한 인심과 전통의 정취 속에서 하룻밤을 묵으며 온전한 쉼을 누릴 수 있다.

지경리해변(경주)

지경리해변(경주)

2025-11-19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지경길 35

지도에 잘 나오지 않는 경주의 숨은 바다 명소 지경리 해변은 주상절리 전망대에서 약 10분 동안 자동차로 이동하면 도착할 수 있다. 지경 방파제에서 약 400m 정도 해안을 따라 걸어가면 기암괴석 군단을 만날 수 있고 둥근 자갈로 이루어진 지경리 해변과 푸르고 투명한 바다가 펼쳐진다. 조금 더 안쪽으로 들어가면 바다뷰의 멋진 풍경을 가진 해식동굴도 있어 동굴 안에서 바다를 배경으로 멋진 사진을 남겨볼 수 있다. 방문 시 지도에서 지경마을회관 또는 지경방파제를 검색해 찾아가는 걸 추천한다.

나무향기 한증막

나무향기 한증막

2025-11-19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스포츠타운길433번길 10 (삼천동)

나무향기 한증막은 춘천시의 조용한 곳에 있는 힐링 휴게 공간이다. 정적의 분위기를 최대로 즐길 수 있도록 관리 중이며, 땀을 빼고 가볍게 씻는 원초적인 행위에 집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설들이 마련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불한증막은 매일 새벽, 나무향기의 본질이자 근원인 소나무 장작을 넣고 불을 지피고 있다. 이 외에도 고즈넉한 분위기의 대청마루, 따뜻한 담소방, 야외 툇마루, 관어대와 중정 등이 있다. 조용한 하고 쾌적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권고 사항이 있으니, 방문 전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기를 추천한다.

서울크루즈

서울크루즈

2025-11-24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한강공원길 231 (여의도동)

국내 최초의 해양관광 유람선 사업자인 현대유람선은 1983년 설립되었으며, 여의도에 새로운 터미널을 만들면서 서울크루즈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서울크루즈는 여의도유람선터미널을 거점으로 아라갑문을 거쳐 한강과 아라뱃길을 연결하여 한강에서 서해까지 운항할 수 있는 유일한 여객, 유람선 회사이다. 현재 서울크루즈는 여의도유람선터미널과 아라김포여객터미널 2개의 터미널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 한강의 아름다운 경치를 관람할 수 있는 상품뿐 아니라, 주말에는 아라뱃길을 통해 김포에서 불꽃놀이를 즐길 수 있는 디너 불꽃 크루즈 같은 상품도 준비되어 있다.

곡룡포마을

곡룡포마을

2025-10-31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곡룡포길 48

추봉도에는 봉암, 추원, 예곡, 곡룡포 네 개의 마을이 서로 이웃해 자리하고 있으며, 각각의 마을은 고유한 자연 풍경과 정취를 간직하고 있다. 그 중에서 곡룡포마을은 한산도 땅끝마을이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작은 마을이다. 소박하고 평화로운 분위기로 짧은 방파제가 마을 앞바다를 따라 이어져 있으며 탁 트인 바다를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낚시를 즐기는 여행객들이 종종 찾아와, 방파제 근처에서 차박을 하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는 모습도 쉽게 볼 수 있다.

비진도 내항마을

비진도 내항마을

2025-10-31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내항길 4

비진도 내항마을은 비진도에 위치한 마을로 길을 따라 오르며 느티나무를 느낄 수 있으며, 마을의 모습을 한눈에 담을 수 있을 만큼 아기자기한 모습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곳곳에 위치한 귀여운 벽화들과, 푸른 바다가 눈을 즐겁게 한다. 눈이 즐거워지는 벽화를 따라 걷다 보면, 내항 선착장에 도착할 수 있다.

모진이몽돌해변

모진이몽돌해변

2025-10-3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 신양4길 18

모래 없이 동글동글한 돌들로만 이루어진 해수욕장으로 밀려오는 파도 소리에 움직이는 몽돌 소리가 아름다운 곳이다. 한적한 몽돌해변의 편안함으로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해변 중 하나이다. 또한 물이 맑고 깨끗하며 조약돌들이 햇빛에 반사되어 반짝이는 모습도 장관이다. 도심에서 바쁘게 삶을 영위하다 힐링하러 오는 사람들이 많다. (출처 : 비짓제주 홈페이지)

삼도대교

삼도대교

2025-10-31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오림리

신안은 1004개의 크고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어 천사섬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섬과 섬 사이를 배로 이동해야만 했었는데 2021년에는 두 개의 새로운 다리가 개통되면서 현재 총 13개의 다리가 섬과 섬을 연결하며 운행되고 있다. 이 중 삼도대교는 신의도와 하의도를 이어주는 주요 교량으로, 두 섬을 차량으로 편리하게 오갈 수 있게 만들어 주었다. 이러한 변화는 지역 주민들의 생활 편의는 물론, 관광객들에게도 더 많은 여행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삼도대교 옆으로는 바다와 자연경관이 펼쳐져 있어, 드라이브를 즐기며 여유롭게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통오름

통오름

2025-10-31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독자봉로 281

통오름은 산 모양이 물통, 밥통 같은 통처럼 움푹 팬 형태라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전 사면이 완만하고 둥글며 화구를 에워싸고 낮은 봉우리가 5개가 있다. 화구가 깊게 패어있고 거의 원형 분화구의 형태를 띠고 있다. 서쪽으로는 용암유출수로가 형성되어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다. 일부는 해송림으로 이루어져 있고 억새나 풀밭으로 되어있다. 화구 안은 조림된 삼나무를 경계로 농경지가 조성되어 있어 아름다운 조경 또한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출처 : 비짓제주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