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5Km 2024-09-11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구만길 128
054-284-0226
경북 포항시에 위치한 호미곶펜션은 모텔형 펜션으로 흰색과 월넛색이 하모니를 이루는 목조 건물로 되어 있다. 각 객실은 깔끔하게 잘 정돈되어 있고 냉장고, 에어컨, 주방 기구, 각종 취사용품 등이 잘 마련되어 있어 불편함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방마다 테라스가 딸려있고 넓은 창문으로 바다를 조망할 수 있으며 안락하게 머물다 가기에 안성맞춤이다. 인근에 매년 12월 31일부터 1월 1일에 진행하는 해맞이 행사가 호미곶해맞이광장에서 열리며 포항의 랜드마크인 호미곶 상생의 손과 떠오르는 해를 보면서 한 해의 소망을 기원할 수 있다.
16.5Km 2025-03-15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명월길 304-16
해봉사는 포항시 남구 명월산 자락에 자리한 636년 창건된 전통사찰이다. 해봉사는 신라시대인 636년에 왕명으로 창건되었는데, 당시는 군마(군용으로 사용되는 말)를 이곳에서 기르기도 했으며 명월암으로 불렸다고 한다. 고려 때 폐사된 것을 조선 명종 때 크게 중창하였으나 철종 말기에 방화로 소실되었다가 1987년 중창 불사를 시작하여 용왕각과 대웅전, 요사를 신축하였다. 2001년에는 대웅전 앞에 다보탑을 세웠다. 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석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아미타여래와 지장보살상을 봉안하고 있다.
16.6Km 2024-12-10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 화두길 32-45
포항의 청하체리힐 농장에서는 6월부터 체리와 산딸기 수확 체험을 진행하며, 굿즈 만들기 체험과 농장에서 직접 만든 신선한 디저트들까지 다양한 경험으로 알찬 하루를 채울 수 있다. 체리 수확은 큐레이터의 친절한 설명과 함께 시작하며 설명을 듣는 재미도 쏠쏠하다. 농장에는 15 품종이 넘는 체리가 심겨 있으며 각각 맛도 모양도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골라 먹는 재미가 있다. 수확 체험이 끝나면 다른 체험을 할 수 있는데, 가방에 그림을 그리거나 배지를 직접 만들어 달 수 있고 액자를 꾸미는 등 여러 가지 만들기 체험이 가능하다.
16.6Km 2024-06-05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화두길 32-45
[농촌 복합 문화공간 + 해양레포츠 + 자연 속 캠핑] 포항시 북구의 농어촌 지역에 자리 잡고 있는 청하체리힐, 드로잉체리공방(HJ디저트), 누나서프가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힐링로드’라는 지역 거점 브랜드(주민공동체)를 만들고자 한다. ‘청하체리힐’은 체리와 산딸기를 재배하여 수확 체험을 운영하는 6차 산업 기반의 농업경영체이다. 또한, 드로잉체리라는 예술 체험 공방을 함께 운영하고 있어 농작물 수확이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에도 관광객에게 다양한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전문베이킹강사를 채용하여 디저트와 쿠킹체험에도 전문성을 더하였다. ‘누나 서프‘는 포항시 북구 청하면 월포해수욕장에 위치하고 있는 서핑샵이다. 월포해수욕장을 찾는 서퍼들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서핑에 대한 교육과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현재는 종영된 드라마 “갯마을차차차” 촬영지로 더욱 관광객의 유입이 높아지고 있다. 각자의 사업장을 운영하며 쌓아온 노하우를 활용하여 구매력 있는 관광객의 방문을 촉진시키는 관광 패키지 상품을 개발하고 적극적인 홍보, 마케팅을 통해 관광객을 유입시킴으로써 부가 가치를 창출하고 나아가 농촌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16.9Km 2024-12-04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 청하로175번길 50
기청산식물원은 1969년 기청산농원에서 시작된 동해안 유일의 사립식물원이다. 한국의 토종 야생화와 수목을 비롯하여 교육적인 가치가 있는 각종 외래 식물 2,500여 종을 보유하고 있다. 기청산이란 명칭은 좋은 곡식만 골라내는 키를 뜻하는 ‘기’와 무릉도원과 유토피아를 상징하는 ‘청산’을 합성한 것으로, 좋은 식물과 사람이 모여 참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염원을 담고 있다. 기청산식물원은 자생화원, 울릉식물관찰원, 용연지, 양치식물원 등 15개의 전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국 각지에서 자생하는 식물뿐만 아니라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멸종 위기종 식물, 희귀 특산식물 또한 만나볼 수 있다. 체험 프로그램으로는 숲해설, 반려 식물 심기, 양궁체험이 있다. 교육은 식물원 내 연구사들에 의해 진행된다. 숲해설은 초심자, 일반, 고급으로 나누어져 있고 반려 식물 심기 역시 초화류와 소관목으로 나누어져 있다.
16.9Km 2024-08-26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 청하로192번길 5-8
054-232-0660
‘영일식육식당’은 다양한 부위의 고기 메뉴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신선하고 질이 좋아 단골이 많다. 그중 가장 인기가 있는 메뉴는 돼지두루치기이다. 돼지두루치기는 고기가 익혀져서 나오는데 테이블 위 불판에 올려 개인의 입맛에 맞춰 국물을 자작하게 졸여 먹을 수 있다. 맛은 크게 맵거나 자극적이지 않고 적당한 매콤함과 달달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국인들이 좋아할 만한 맛으로 호불호가 적다. 주문 시 기본 제공되는 밑반찬은 상추와 쌈장, 오징어젓갈, 멸치볶음, 오이 무침 등 밥과 먹기 좋은 반찬들로 구성되어 더욱 든든하고 건강한 한 끼를 챙겨 먹을 수 있다.
16.9Km 2024-11-12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방산로 526
포항시 남구 장기면 묘봉산에 있는 고석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의 말사이다. 창건 설화에 의하면, 신라 선덕여왕 7년(638) 어느 날 경주에 있는 궁궐에 동쪽으로부터 세 줄기의 서광이 비쳐 그 빛이 연 3일간 계속되었다. 선덕여왕의 명으로 혜능 국사가 서광이 발하는 곳을 찾아가니 한 바위에서 서기가 발하는지라 그 바위에 부처님을 새기고 절을 지었다. 그리고 오래된 바위에서 서광이 발하였다 하여 절 이름을 고석사라 칭하고, 뒷산은 기암괴석이 동해를 바라보며 솟아있어 망해산이라 불렀다고 한다. 창건 이후의 역사는 미상이며 현존하는 당우로는 보광전과 산신각, 요사채가 있다. 보광전은 주심포집으로 정면 3칸, 측면 3칸에 팔작지붕이며, 안에는 자연석을 깎아 조각한 높이 281cm의 석조여래의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16.9Km 2024-07-05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로200번길 10-1
시장식육식당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 미남리에 있다. 세월의 흔적이 엿보이는 외관과 깔끔한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에 좋다. 대표 메뉴는 갈빗살이다. 이 밖에 꽃등심, 소 주물럭, 생삼겹살, 목살, 돼지갈비, 육회, 소 찌개 등을 판다. 포항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월포해수욕장과 용두리 간이해변이 있다.
16.9Km 2024-08-20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 청하로200번길 6
054-232-4002
포항에서 영덕 방향으로 18km 정도 들어오면 청하소재지를 연결하는 청하 삼거리가 있고, 삼거리에서 1.5km 정도 들어오면 청하공진시장이 있다. 1일과 6일에 장이 열리는 5일장이며 청하공진시장의 주요 품목은 농수산물, 생선, 어물, 잡곡, 가축(닭, 오리 등) 채소(마늘, 상추, 배추 등) 과일(사과, 배, 감 등) 잡화 등 다양한 시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1920년대 중반 이후 정기시장이 형성되면서 인근 오천지역의 주민들까지 이용하여 크게 운영되었으나 포항시내 지역에 큰 시장들이 들어서고 교통이 편리해지면서 계속 규모가 축소되어 명맥만 유지하여 오고 있으나, 1990년 초에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고 인구가 많이 불어나면서 좌판이 30여 개 생기고 기타 생활용품들이 거래되고 있다. 최근 ‘갯마을 차차차’ 촬영지로 활용되어 ‘청하시장’에서 ‘청하공진시장’으로 명명하였고, 현재는 관광지로 유명해졌다. ◎ 한류의 매력을 만나는 여행 정보 - 드라마 <갯마을 차차차> <갯마을 차차차>의 주 배경이 되는 시장으로 매달 1일, 6일, 11일, 16일, 21일, 26일에 5일장이 열린다. 드라마에 나왔던 가게가 그대로 남아 있지만, 주민들의 터전이니 관광지로 재정비한 곳에서만 사진을 찍도록 해야 하고 오징어탑과 오윤카페가 가장 인기 있는 포토존이며, 보라슈퍼에서는 달고나 체험을 할 수 있다. [출처 : 포항시 퐝퐝여행]
16.9Km 2025-03-17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구룡포리
구룡포 말목장성 탐방로는 2009년 구룡포읍 사무소에서 약 4㎞의 석장터를 발굴해 둘레길로 조성한 곳이다. 해발 205m의 정상에 2층 전망대를 설치해 아름다운 해안 마을인 구룡포와 태백산맥의 호미 반도 능선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다. 정상 부근에는 진달래, 구절초 등을 심어 더욱 다양한 볼거리를 관광객에게 제공한다. 말목장의 석성은 말을 키우던 돌 울타리를 말한다. 정확한 축조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삼국유사 등 여러 기록을 살펴보면 말목장의 역사가 약 1400년 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원래는 구룡포에서 남구 흥환리까지 약 8㎞ 길이로 쌓여 있었지만 현재는 5.6㎞가 남아 있다. 종 6품 관리가 목장을 관리하였고, 목자군이 이곳에 살면서 분뇨를 치우는 등 잡일을 했다고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