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림하우스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크림하우스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크림하우스

크림하우스

11.9Km    2025-01-09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해안로 1173 크림하우스

크림하우스는 강원도 강릉시 해안로에 있는 대형 베이커리 카페이다. 해안로에 있지만 바다 전망은 아니고 논밭 전망의 파릇파릇한 카페이다. 대형 전용 건물이라 테라스도 넓고 루프탑도 있는 곳이다. 매장에는 좌석도 여유롭게 많이 배치되어 있고, 매장 한쪽에는 머리핀과 같은 소품을 파는 곳도 있다. 베이커리 제품은 새벽부터 구워서 판매하고 있고 브런치 메뉴도 하고 있다. 이 집의 시그니처 메뉴인 눈꽃커피는 요즘 강릉에서 인기가 좋은 흑임자 라테의 다른 이름이다. 아기들을 위한 의자도 준비되어 있고, 밖에서 즐기는 손님들을 위한 담요도 준비되어 있다. 대형 매장답게 주차장도 대형으로 준비되어 있어 이용이 편리하다.

오봉서원

오봉서원

12.0Km    2025-04-11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 오봉서원길 28-7

오봉서원은 조선 명종 11년(1556) 강릉부사 함헌이 사신으로 중국에 갔다가 오도자가 그린 공자의 초상화를 가지고 돌아와 명종 16년(1561)에 처음 세웠다. 그 후 정조 6년(1782)에는 주자, 순조 6년(1806)에는 송시열을 함께 모시면서 선현에 대한 제사와 지방의 교육을 담당하게 되었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인하여 서원은 없어지고 영정과 위패는 강릉향교로 옮겨졌다. 지금의 서원은 1903년에 새로 지어졌는데 강릉지방의 유림이 사당 건물을 지어 집성사라 하고, 사당 옆에는 별묘를 세워 칠봉사라 하였다. 집성사·칠봉사·문·오봉강당·묘정비각·2개의 묘정비 등이 남아 있다. 집성사에는 공자·주자·송시열 3인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칠봉사에는 함헌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강당은 마루방과 온돌방으로 되어 있는데, 각종 행사를 치르기도 하고 유림이 모여 회의나 학문을 토론하는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매년 음력 9월 2일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펜션지아니

펜션지아니

12.0Km    2024-07-31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정동3길 32-11

1층에서 4층까지 전 층을 내 집처럼 즐길 수 있는 독채형 펜션 지아니이다. 정동진 해돋이를 즐길 수 있으며, 해수욕장은 도보 4분 거리에 있다. 또한 각 객실 옥상에는 4계절 사용 가능한 스카이 제트스파는 로맨틱한 독립된 공간이다. 연인을 위한 프라이빗 공간과, 가족을 위한 퍼블릭 공간, 사랑스러운 반려견과의 여행을 함께 경험할 수 있는 자연 속 힐링 풀빌라펜션이다.

뒷뜨루관광농원

12.1Km    2025-03-14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사천면 청솔공원길 108

뒷뜨루관광농원은 퇴비공장인 부림산업이 폐업하면서 생긴 산업폐기물 공장을 활용하여 아름다운 농원으로 재탄생시킨 공간이다. 입장권은 현장과 예약예매 모두 가능하다. 티켓을 들고 내부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카페가 나온다. 카운터에 티켓을 제시하면 먹이체험을 할 수 있는 먹이를 준다. 카페에서 음료를 마시며 휴식을 취할 수도 있고, 강릉을 배경으로 한 소품도 구경할 수 있다. 카페 바로 옆에는 갤러리가 위치해 있으며, 뒤로는 뒷뜨루로 통하는 문이 있다. 뒷뜨루로 들어가면 온실정원이 펼쳐진다. 자연의 향기가 물씬 풍기고, 다양한 식물들로 꾸며져 있어 구경하기 좋다. 뒷뜨루 곳곳에는 쉴 수 있는 벤치가 놓여 있어 포토존으로 활용하기 딱이다. 뒷뜨루관광농원의 야외에 봄이면 예쁜 꽃이, 가을이면 핑크뮬리가 가득 피어있다. 또한 말과 토끼에게 먹이를 줄 수 있는 체험공간도 마련되어 있어 아이와 함께 방문하기에 좋다. 빛의 동굴은 퇴비공장에 교반기 자리인데, 이곳을 불빛이 반짝이는 동굴로 변화시켰다. 동굴의 끝엔 포토존이 마련되어 있다.

고기랑조개랑

고기랑조개랑

12.1Km    2025-07-08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헌화로 1029-5

고기랑조개랑은 강릉시 정동진 모래시계공원 근처에 있는 맛집이다. 고기도 팔고 조개도 팔고, 대게도 파는 집이다. 이 모든 것을 모아서 한 번에 먹을 수 있는 세트 메뉴가 인기 메뉴이다. 한쪽에는 고기를 굽고, 한쪽에는 조개를 구워 가면서 먹을 수 있다. 마무리로는 해물라면을 시켜 먹으면 만족할 만한 한 상이다. 주차는 매장 앞에도 할 수 있고, 모래시계 공원의 무료 주차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바다를담다

12.1Km    2023-07-07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헌화로 1025
033-647-3631

바다를 담다는 정동진 바다와 모래시계공원이 정면으로 보이는 뷰를 보며 싱싱한 대게와 활어를 먹을 수 있는 곳이다. 신선한 전복과 해삼, 연어, 문어 등의 다양한 해산물 음식이 제공되며, 저렴한 가격에 대게와 모듬회 코스요리를 맛볼 수 있다.

정동진밥집

정동진밥집

12.1Km    2025-01-15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정동3길 46

정동진밥집은 강릉시 정동진 기찻길 바로 옆에 있는 식당이다. 주택을 식당으로 개조해서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방마다 탁자를 두어 식사를 할 수 있게 했고, 마당에도 평상을 두어, 날씨가 좋을 때는 마당에서도 식사를 할 수 있다. 주메뉴는 생선구이정식이다. 2~3가지의 모듬 생선을 20여 가지의 반찬과 함께 낸다. 2인 이상만 주문이 가능하지만 차려 낸 상을 보면 입어 벌어질 정도로 푸짐하다. 주차는 매장 앞에 가능하다. 정동진 해수욕장, 모래시계 공원 등과 멀지 않아 식사 전후에 함께 관광하기에 적당하다.

모래시계공원

모래시계공원

12.2Km    2025-07-11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헌화로 990-1

모래시계공원은 동해 바다와 산, 정동진 2리 마을을 배경으로 아담하게 꾸며져 있다. 한가운데에는 모래시계가 있고, 그 주위에는 소나무가 있다. 그리고 바다 쪽으로는 벤치가 자리 잡고 있다. 모래시계공원 바로 앞은 정동진해수욕장과 이어져 있다. 정동진 모래시계공원은 1999년 강릉시와 삼성전자가 새로운 천년을 기념하기 위해 총사업비 12억 8천만 원을 들여 조성했다. 공원 내 모래시계는 크기와 무게가 세계 최대이며, 시계 속에 있는 모래가 모두 아래로 떨어지는 데 걸리는 시간은 꼭 1년이 걸린다. 그러면 다음 해 1월 1일 0시에 반바퀴 돌려 위아래를 바꿔 새롭게 시작하게 된다. 정동진 모래시계는 허리가 잘록한 호리병박 모양의 유리그릇이 아니고 둥근 모양인 것은 시간의 무한성을 상징하기 위함이다. 또 둥근 것은 동해바다에서 떠오르는 태양을 상징하고, 평행선의 기차 레일은 영원한 시간의 흐름을 의미한다. 모래시계를 세운 정동진은 서울 광화문 앞에 있는 도로원표석을 기점으로 정동 쪽에 있는 고을이다. 그래서 하지 때는 한반도 제일 동쪽으로 해가 뜨는 고을이다.

정동진시간박물관

12.2Km    2025-07-18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헌화로 990-1

정동진시간박물관은 정동진 최고 명소 모래시계공원에 증기기관차와 180m 기차로 조성되어 있다. 시간의 탄생부터 아인슈타인의 시간, 예술로 승화시킨 중세의 시간, 현대작가의 눈으로 바라본 시간 등 시간을 주제로 한 동·서양의 다양한 시계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 2013년 개관이래 KBS, MBC, SBS, YTN 뿐만 아니라 중국 TV에까지 여러 차례 소개되었으며, 박물관 야외 정원에는 세계 최대 모래시계(지름 8m, 기네스북 등재)와 국내 최대 초정밀 청동해시계(높이 7.2m)가 설치되어 있다.

새해, 첫 일출은 정동진에서

새해, 첫 일출은 정동진에서

12.2Km    2023-08-09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헌화로 990-1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기대하며 동해로 떠오르는 태양을 찾아 길을 나선다. 호젓한 바다와 하늘, 뽀얀 안개 사이로 먼동 트는 새벽을 맞으러 강릉 정동진으로. 서울 광화문 앞 도로원표석을 기점으로 정동쪽에 위치한 마을, 정동진. 기차와 소나무가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돋이 명소다. 정동진 해변은 모래시계공원과 이어지고, 공원 내에는 시간박물관이 운영된다. 첫 일출과 함께 시간을 돌아보며 미래를 꿈꿀 수 있는 참된 시간 여행, 강릉 정동진에서 맞이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