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Km 2025-09-15
경상북도 경산시 원효로 275
호미호시는 경상북도 경산시 갑제동에 있다. 현대적인 외관과 감각적인 인테리어가 눈에 띄는 곳이다. 게다가 음료와 디저트의 맛도 훌륭해 많은 사람이 찾는다. 대표 메뉴는 아메리카노다. 이 밖에 카페라떼, 헤이즐넛라떼, 바닐라라떼, 연유라떼, 레몬티 등을 맛볼 수 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가지기 좋다. 주차장이 넓어 주차 걱정이 없다. 경산 IC와 수성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인터불고CC, 삼성현역사문화공원, 경산향교가 있어 라운딩이나 여행 시 들러보기 좋다.
11.9Km 2025-09-09
대구광역시 동구 매여로 320 (상매동)
수수밀소는 대구광역시 동구 상매동에 있는 에그베네딕트와 미트볼 스튜가 맛있는 브런치 전문점이다. 주차장이 넓고, 실내/외 인테리어가 돋보인다. 특히 에그베네딕트는 반숙과 버섯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인기 메뉴이다. 주차장이 넓고 매장 안에서 바라보는 바깥 경치도 시원하다. 둔산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옻골마을, 팔공산왕건길 6코스와 7코스가 있어 연계 여행에 나서기 좋다.
12.0Km 2025-07-10
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 삼성현공원로 59
삼성현역사문화공원은 경산이 배출한 삼성현(원효, 설총, 일연)의 업적과 사상을 공유하고, 경산사람의 자긍심을 담은 역사, 문화, 교육이 어우러진 문화 관광 공간인 동시에 공원으로서 쾌적한 휴양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삼성현역사문화관은 삼성현에 대한 콘텐츠 개발을 통한 방문객들의 체험과 학습이 가능한 전시공간으로 우리나라의 대표 선각자 3인을 테마로 한 전시관이다. ‘삼성현의 모든 것’을 만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이다.
12.0Km 2024-11-06
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 삼성현공원로 59
자라지는 경북 경산시 남산면 인흥리의 삼성현 역사문화공원과 경산 동의 한방촌 사이에 위치한 저수지이다. 잘 가꾸어진 둘레길과 정자 등 산책길이 조성돼 있으며 인근에는 역사문화관을 비롯해 레일 썰매장, 국궁 체험장, 이야기 정원, 야외공연장이 조성돼 있다.
12.0Km 2025-03-17
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 산양1길 6
053-852-5124
경산시 남산면에 있는 남산식육식당은 번호표를 뽑고 기다려야 할 만큼 유명한 소고기 전문점이다. 이곳은 옛날 정육점처럼 유리로 된 냉장고에 고기를 걸어두고 판매한다. 소고기는 국내산 한우 암소를 사용하며 토시살, 안창살, 구이, 육회, 생고기(뭉티기), 된장찌개 등의 메뉴가 있다. 예약이 불가능하며, 방문 대기하여야 한다. 남산식육식당에서는 소고기를 따로 구매할 수 있다.
12.0Km 2025-06-13
경상북도 영천시 장천길 35-4 (조교동)
영천시 조교동에 위치한 델커피는 실제 카센터를 운영 중인 가족의 삶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한, 전국유일 카센터 콘셉트의 감성카페이다. Sometimes your heart needs check-up too!라는 슬로건으로, 차량을 점검하듯 지친 마음도 쉬어갈 수 있도록 편안함과 감성을 자극한다. 직접 담근 과일청을 활용한 라테, 에이드, 와플 등 건강하고 풍미 가득한 메뉴를 즐길 수 있다. 실제 사용했던 자동차 리프트, 정비용 공구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비와 공구를 이용하여 특별하고 재미있는 콘셉트의 사진을 찍을 수 있다. 강아지, 어린아이 등 모두가 입장가능하다.
12.0Km 2025-08-13
경상북도 경산시 한의대로 136 (점촌동)
이웃집수달은 수달을 키우기 위해 국가에 정식 허가를 받고 등록을 한 국내 유일의 실내 동물원으로 수달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동물들을 볼 수 있는 곳이다. 강아지, 고양이부터 토끼, 기니피그, 거북이, 프레리독, 수달 등을 가까이서 만나볼 수 있다. 먹이 주기 체험도 진행하고 있어 동물과 교감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각 동물별 담당자가 있어 동물의 특성을 알 수 있으며 동물 환경을 위해 실내 온도가 25도에서 30도 정도로 유지되고 있다.
12.1Km 2025-10-30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서원천로 268-21
경산시 용성면에 위치한 관란서원은 조선 후기 학자 이언적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이다. 1660년 지방유림들의 공의로 이언적의 도덕과 학문을 추앙하여 창건하고 위패를 모셨고, 그 뒤 1715년과 1743년에 묘우를 중수하여 선현 배향과 지방 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1869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된 뒤, 서당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유생들의 학문을 닦는 곳으로만 사용되었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강당과 2동 5칸의 고사, 대문 등이 있다. 강당은 중앙에 마루가 있고, 양쪽에는 협실이 있는데, 원내의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학문의 토론 장소로 사용되었다. 고사의 1동은 향례 때에 제수를 마련하여 두는 곳이며, 또 1동은 제구를 보관하기도 하였다.
12.1Km 2025-06-16
대구광역시 동구 도평로 905 (평광동)
모영재는 1931년에 건립된 평산 신씨 문중의 재실로, 고려 개국공신 장절공 신숭겸 장군의 유덕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모영재(慕影齋)’는 영각(影閣)을 추모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이 재실은 남서향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정면 4칸, 측면 1.5칸 규모의 일(一) 자형 건물로, 홑처마 맞배지붕 구조를 갖추고 있다. 평면 구성은 좌측부터 2칸 온돌방, 1칸 대청, 1칸 온돌방 순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반 칸 규모의 툇간이 설치되어 있다. 좌측 2칸 온돌방은 실내에 두 짝 미서기문을 달아 공간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건물 뒤편에는 1832년(순조 32년), 후손 신정위가 신숭겸 장군의 공덕을 기려 세운 신숭겸영각유허비가 세워져 있다. 모영재는 일제강점기 영남 지역 문중 재실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며, 특히 건물의 지붕 형식이 향교 사당인 대성전과 같은 맞배지붕을 채택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매년 음력 9월 9일에는 평산 신씨 문중에서 합동 향사가 거행되고 있다. 모영재가 위치한 평광동 입구에서 모영재에 이르는 길은 왕건의 도피로였던 것으로 전해지며, 왕건임도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주변에는 첨백당이 자리하고 있으며, 팔공산 올레길 4코스 ‘평광동 왕건길’에 속한다. 평광동은 사과마을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효자나무를 비롯한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풍부한 관광지이다.
12.2Km 2025-08-21
경상북도 경산시 남매로 251
경산예찬한우는 1층 한우전문판매점, 2층 한우구이 전문식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하 주자창과 타워 주차장이 있어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단체 및 가족끼리 오붓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룸이 준비되어 있다. 친환경 인증농가 및 도내 축산농가를 통해 한우를 구매하여 판매하므로 저렴한 가격에 한우를 즐길 수 있는 식당이다. 인근에는 드라마 및 영화 촬영지인 반곡지가 있으며 삼성현역사문화공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