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느레정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사느레정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사느레정원

17.0Km    2024-01-24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로1363번길 30

경북 영주시에 위치한 사느레정원은 식물원이 있는 정원인테리어의 카페이다. 봄, 여름에 가면 온통 초록초록한 색감들로 가득해 모든 곳이 포토스팟이라고 할 수 있다. 가을에 가도 분위기 좋은 여유를 즐길 수 있다. 음료도 맛있지만 스콘과 땅콩쿠키컵이 대표메뉴일만큼 인기를 끈다.

봉화은어축제

봉화은어축제

17.0Km    2024-07-02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내성리
054-674-3053

조선시대 임금님 수라상에 오를 만큼 귀하고 영양가가 풍부한 은어와 사람, 자연이 함께 어우러지는 자연생태축제이다. 청정 봉화의 맑고 깨끗한 내성천에서 벌어지는 은빛 은어의 향연, 자연과 어우러진 다양한 공연과 함께 재미와 건강, 휴식이 있는 오감만족 축제이다.

봉화송이축제

봉화송이축제

17.2Km    2024-05-27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내성리
054-674-3053

천년의 솔향을 간직한 봉화 송이를 테마로 펼쳐지는 고품격 가을 문화 축제이다.

봉화목재문화체험장

17.2Km    2024-11-18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구절로 151

봉화목재문화체험장은 2012년도 목재문화 진흥과 국산 목재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하여 봉화군 봉성면 창평리 일원 조성되었다. 목재의 종류와 특성, 생활 속 목재의 쓰임새, 목재의 생산과정과 종류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실과 춘양목의 우수성을 알리는 홍보영상실 및 목재도서관이 있으며, 간벌목과 부산물 등을 활용하여 생활공예품, 놀이기구, 학습기구를 직접 만들어 보고 체험할 수 있는 목공체험실 등을 갖추고 있다. 야외에는 울창한 창평산림욕장이 있어 춘양목 소나무 숲에서 나오는 피톤치드가 담긴 맑은 공기를 마시며 스트레스 해소는 물론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다. 수생식물을 관찰할 수 있는 연못정원, 다양한 식물들을 계절별로 관찰할 수 있는 자생식물단지, 관람객 편의를 위하여 탐방로와 휴게시설, 잔디광장, 야외교육장 등이 용도별 시설을 갖추고 있다. 운영하는 프로그램은 산림교육전문가 양성교육, 유치원, 초, 중, 고의 체험학습 및 자유학기제 활동, 경북유아숲지도사 자격증반 실습 등이 있어 다양한 교육장소 사용된다, 목재를 활용하여 책꽂이, 저금통, 보석 상자 등 목재 곤충 모형 만들기, 목재 오토마틱 민들기, 도마 만들기, 수납장 만들기 등 다양한 일일 체험 프로그램이 있다.

봉화상인회 한약우 식당

봉화상인회 한약우 식당

17.2Km    2024-12-04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신시장길 21-2
054-673-1888

봉화상인회 한약우식당은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에 위치한 한우 전문점이다. 봉화상설 상인회에서 협동조합을 구성하여 봉화지역의 약초를 먹고 자란 한우를 판매하는 식당, 식육 공간이다. 대표메뉴는 한우불고기이며 그 외에 메뉴로는 한우 육회비빔밥, 한우육회, 갈비탕 등 다양한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메뉴 주문 시 배추전, 시금치무침, 버섯볶음 등 다양한 밑반찬 구성으로 더욱 푸짐한 식사가 가능하다.

봉화시장 (2, 7일)

봉화시장 (2, 7일)

17.2Km    2024-11-04

경상북도 봉화군 신시장1길 4 제2상설시장
054-673-5935

‘봉화시장’은 내성천 다리를 건너 시외버스터미널(봉화정류소) 옆에 위치하였으며 매달 2, 7, 12, 17, 22, 27일에 장판을 벌인다. 특히 ‘봉화시장’의 경기 활성화를 위하여 조성한 신시장 일대에 각종 장판이 집합을 이루고 있다. 봉화 전통장날이 생긴 것은 해방 전후로 알려지고 있으며 산업화 이전인 60∼70년대만 하더라도 13만 가까이 되는 인구와 각종 광산의 활기로 북부지역에서는 가장 큰 상권을 형성하였으나 산업화에 따른 농촌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점차 쇠퇴하여 가고 있다. 봉화장은 농촌에서 재배한 각종 채소와 과일, 가축, 고추, 대추, 약초 등과 각지에서 모여든 잡상인들로 붐비며, 대부분 농가에서 직접 재배한 것을 소매하기 때문에 상품이 신선하고, 싼 값으로 구매를 할 수 있다.

봉화한약우프라자

봉화한약우프라자

17.3Km    2024-12-27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농업인길 47

‘봉화한약우프라자’는 경북 봉화군에 위치한 식당이다. 이곳은 당귀 등 약초를 먹고 자란 봉화한약우가 유명한 곳이다. 한약재를 먹었기 때문에 저항력이 강한 봉화한약우는 소고기 맛을 좌우하는 올레인산 함량이 일반 소고기에 비해 높다. 식당내부에는 룸좌석이 마련되어 있고 전체 좌석이 150여 석으로 모임장소로 적합하다. 이곳의 인기메뉴는 등심과 특수부위 구이이며 그 외에도 다양한 소고기 부위가 있고 불고기, 육회비빔밥 등 다양한 식사메뉴도 준비되어 있어 취향껏 메뉴선택이 가능하다.

동악골금재가든

동악골금재가든

17.4Km    2022-11-11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동악골길 166
054-855-9380

돌솥에 끓여 깊은 맛이 나는 매운탕이 유명한 곳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메기 매운탕이다.

황소걸음식당

17.7Km    2023-09-12

경상북도 영주시 조암로 11
054-635-8292

축산인 5명이 모여 영주 선비촌 한우영농조합 법인을 결성하고 법인에서 직접 운영하는 식육·식당으로 질 좋고 맛있는 한우를 저렴하게 공급하자는 취지로 ‘농가 - 도축장 - 식육·식당’으로 유통구조를 개선하여 저렴하게 공급하고 있다. 이곳에서 사용하는 한우는 100% 거세한 한우의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일부 등급 좋은 암소도 사용하고 있다. 한우 산지 가격과 연동하여 매월 초에 가격이 조정되고 있어 조금씩 금액이 변동된다.

물돌이 무섬마을과 외나무다리를 밟아보다

물돌이 무섬마을과 외나무다리를 밟아보다

17.7Km    2023-08-08

영주는 부석사와 소수서원 말고도 옛 선비의 자취가 많은 고장이다. 무엇보다 무섬마을은 3면이 물로 둘러싸여 있는 물돌이 마을로 마치 육지 속의 섬마을과 같은 독특한 풍경을 품고 있다. 곧 무섬 외나무다리가 없어진다고 한다. 그 시골정취 그윽한 외나무다리를 찾아가 한번 밟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