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Km 2022-11-11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동악골길 166
054-855-9380
돌솥에 끓여 깊은 맛이 나는 매운탕이 유명한 곳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메기 매운탕이다.
10.4Km 2021-03-12
경상북도 안동시 아늑길 388
054-853-4444
매장에서 직접 키운 토종닭을 사용하여 판매하는 곳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닭도리탕이다.
10.5Km 2021-03-10
경상북도 안동시 마들6길 5
054-822-0022
안동 현지인들이 자주 찾는 숨겨진 맛집이다. 대표메뉴는 뼈다귀 전골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10.5Km 2025-01-17
경상북도 안동시 마들6길 3 (용상동)
0507-1441-2590
경북 안동에 위치한 김정순명인의 집은 한식대첩 시즌 1의 우승자인 김정순 명인의 민물고기 요리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찜, 매운탕, 조림, 튀김 회 등 민물고기로 만든 다양한 음식이 준비되어 있다. 민물고기 특유의 잡내가 나지 않아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으며 밑반찬 또한 정갈하다. 또한 저렴한 가격에 돌솥밥을 추가할 수 있다. 개별룸 시설도 완비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에도 좋다.
10.6Km 2021-03-11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1010-2
054-821-3700
다양한 종류의 국밥을 먹을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돼지국밥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10.6Km 2021-03-10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나바우길 8
054-841-9967
한국관광공사에서 선정한 깨끗하고 맛있는 집으로 안동의 향토음식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안동찜닭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10.7Km 2024-10-16
경상북도 안동시 관광단지로 346-30
안동문화관광단지 내에 있는 유교랜드는 지하 2층~지상 3층 건물로 한국 정신문화의 뿌리인 유교문화를 주제로 하는 테마파크형 전시체험센터이다. 유치원, 초중고 학생과 가족 단위 관광객들이 체험과 놀이를 통해 즐기면서 자유롭게 배우는 에듀테인먼트(교육+놀이) 형태의 시설로서 어려운 유교를 쉽게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는 곳이다. 퇴계 이황, 율곡 이이 등 큰 선비들의 있다. 발자취를 배울 수 있고 더불어 안동의 대표 민속놀이인 차전놀이와 가야금, 해금 등의 전통악기를 체험할 수 있는 [체험박물관]과 입체 영화를 상영하는 [원형입체영상관] 그리고 그 외 다양한 시설들로 구성되어 있다.
10.7Km 2024-08-30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나바우길 13
우리 조상들의 전통적인 생활양식과 문화가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하회마을 입구에 위치하고 있는 안동한지는 우리 고유의 멋과 얼이 간직된 전통 한지 생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 조상들의 숨결이 살아 숨 쉬고, 학생들에게는 학습의 장(場)으로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안동한지는 안동의 관광명소로 발돋움하고 있다. 안동한지의 특징은 풍산의 풍부한 물과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닥나무를 원료로 하여 노련한 기술자의 투철한 장인정신이 결부되어 순 한지(純紙)를 전통의 방법으로 생산하여 우수한 지질(紙質)과 최대의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주요 생산품목으로는 서예용으로 쓰는 국내 백닥화선지, 일반 화선지, 문 바를 때 쓰는 창호지, 중지, 운용지, 벽지용 피지, 미사라시 운용지, 족자에 배접할 때 쓰는 배접지, 장판지, 책 만들 때 쓰는 책지, 고급 인테리어용으로 쓰는 요철지, 전문 화가가 쓰는 100호, 120호, 한지 공예품 만들 때, 또는 포장지로 쓰는 색한지 등 60여종을 들 수 있다.
10.7Km 2023-08-08
안동 하회마을은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대부분 들어봤을 만큼 널리 알려진 여행지다. 구체적으로 안동을 다 여행하려면 이 코스가 적당할 듯하다. 안동의 한지체험과 탈박물관은 기본이고 사림파 학문의 전당인 병산서원을 거쳐 하회마을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부용대까지 거치면 완성이다.
10.7Km 2023-08-09
하회별신굿탈놀이는 하회마을 사람들이 고려 때부터 해온 탈놀이다. 별신굿은 ‘별난 굿’을 뜻하는데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5~10년에 한 번씩 큰 굿판을 벌였기에 붙은 이름이다. 느긋한 걸음으로 화회마을을 둘러보라. 흙과 돌로 반듯하게 쌓아 올린 담장과 미로처럼 이어진 골목, 정겨운 초가, 수령 600년에 이르는 삼신목, 강변에 자리한 만송정, 절벽 위에서 마을을 굽어볼 수 있는 부용대 등 볼거리로 가득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