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Km 2025-01-17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장태골길 28
010-9005-0891, 010-5260-9565
양소당은 경북 안동시 소산마을에 위치한 안동김 씨 가문의 대종택이다. 소산마을은 안동김 씨 집성촌이며, 양소당 이외에도 청원루, 삼구정 등 여전히 보존된 유산들이 많은 곳이다. 본래 금산촌이라 했다가 금이 너무 사치스럽다 하여 ‘흴 소’를 써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으며 순우리말로는 ‘시미’라고 부른다. 양소당은 조선 성종 때의 문신 김영수(金永銖)가 살던 집으로 햇수로는 400년이 되었고, 그의 아들 영(瑛), 번(璠), 순(珣)이 이곳에서 태어나 가문을 번성케 했다. 영(瑛)의 11대손인 양근(養根)이 ‘근본을 기른다’는 뜻으로 당호를 지었고 현액의 글씨는 김학순(金學淳)이 안동부사를 지내며 썼다.
11.6Km 2024-11-26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우렁길 90-8
010-2523-5799
안동 산온:리트릿은 논밭 한가운데에 위치한 정갈한 한옥이다. 약 250평의 너른 공간을 한 팀이 오롯이 사용할 수 있으며, 사계절 미온수풀로 운영되는 8M 수영장이 한옥과 잘 어우러진다. 부엌 양쪽으로 방이 나뉘어져 있어 일행끼리도 프라이버시를 지키며 즐길 수 있다.
11.6Km 2024-12-06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지풍로 1975-1
삼귀정은 조선시대의 문신 김영수와 그의 형제들이 어머니 예천 권씨를 위해 1496년(연산군 2)에 지은 정자이다. 이 정자가 있는 소산마을은 안동 김씨의 집성촌으로, 김영수는 이 마을에 처음 들어온 김삼근의 손자이다. 삼귀정이라는 이름은 정자 왼쪽에 고인돌로 추정되는 거북이 모양의 바위 세 개 있는 데서 유래했다. 거북이는 전통적으로 장수를 상징한다. 정자의 이름에서 어머니가 건강하게 오래 살기를 기원하는 아들들의 마음을 엿볼 수 있다. 지금의 정자 건물은 1947년에 다시 지은 것이며, 사방이 모두 트여 마을을 비롯한 주변 경치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안에 걸린 삼귀정의 현판은 안동 출신의 문신이자 학자인 이종준이 썼다.
11.7Km 2025-03-19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이송천길 240-10
경북 안동시에 위치한 송강미술관은 미술관과 박물관, 문학관 등 복합문화공간을 통해 문화, 예술의 장을 마련하는 공간이다. 이곳에서 예술과 문학, 사랑을 이야기하고 누구나 예술가가 될 수 있다는 꿈을 주는 공간이다.
11.7Km 2025-06-27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3길 131-24
금계리 동편 사천 위에는 예로부터 ‘유정사’라는 절이 있었으며, 선조 1년(1568)에 사림에 의해 경광서원이 세워졌다. 이후 현종 3년(1662)에는 이름을 ‘경광정사’로 바꾸고, 백죽당 배상지와 용재 이종준 두 선생의 위패를 봉안하였다. 인조 27년(1649)에는 ‘춘파이사’를 창건하여 용재 이종준과 경당 장흥효 두 선생을 모셨다. 숙종 12년(1687)에는 서원으로 승격되어 경당 선생의 위패를 경광정사로 옮기고, 백죽당과 용재 두 선생과 함께 제향 하였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1873년 단소를 마련하여 향사를 이어왔다. 이후 1978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복설 되어, 매년 9월 중정일에 제향을 올리고 있다.
11.7Km 2024-07-31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웃골길 11-6
010-2426-8296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위치한 한옥스테이 루가는 독채 한옥 펜션으로, 18평 본채와 6평 별채, 넓은 마당을 한팀이 오롯이 사용할 수 있다. 본채는 거실, 침실룸, 다도룸, 욕실, 다락방, 실내 자쿠지로 구성되어 있고, 별채는 유럽 감성이 풍기는 주방과 바베큐장이자 카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밤에는 넓은 마담에서 불멍을 하며 도란도란 추억을 쌓고 고구마도 구워먹을 수 있다. 자전거를 대여해주고, 주차는 마당 왼편에 하면 된다.
11.9Km 2024-08-29
경상북도 예천군 양궁장길 38 예천진호양궁장
예천군 문화 체육센터 내에 있는 예천진호국제양궁장은 예천 출신 양궁 국가대표 김진호 선수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경기장이다. 1995년 약 7만 9,300 ㎡의 부지에 예선경기장과 결선 경기장, 관람석, 전광판 등 경기 주요 시설과 숙소, 주차장 등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국제 양궁대회와 국내 양궁대회 등 매년 수많은 대회를 개최하여 양궁의 메카인 예천을 알리는데 큰 몫을 하고 있다. 또한 양궁의 대중화를 위하여 양궁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예천활체험센터를 운영한다. 남녀노소, 연령에 상관없이 활과 관련된 모든 체험을 즐길 수 있는 곳으로 전문 지도자의 안전교육과 지도하에 양궁을 체험해 볼 수 있다. 활쏘기가 처음인 사람을 위한 실내 연습실과, 야외 체험공간으로 나뉘며 양궁 활쏘기 체험, 국궁 활쏘기 체험, 흡착활 체험, 호버볼 활체험 등 다양한 체험이 구성되어 있다.
11.9Km 2025-07-14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교리새마을길 73
안동시 서후면에 위치한 창렬서원은 단종의 복위를 위해 목숨을 바친 사육신 중 한 명인 단계 하위지를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이다. 1804년 창렬사를 건립하여 위패를 봉안하였고, 후에 창렬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사림과 후손들에 의해 현 위치에 복설되었다. 매년 음력 9월 2일에 향사를 봉행하고 있다. 서원은 외삼문, 강당, 서재, 내삼문, 사당, 전사청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삼문에는 유의문, 강당에는 숭렬당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강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5량가 팔작기와집으로, 가운데 2칸은 마루로 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쌍여닫이 사분합문을, 후면에는 쌍여닫이판문을 달았다.
12.1Km 2024-11-05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양궁장길 38
활체험센터는 실내 70평과 야외 300평 이상의 국내 최대 활 체험복합공간이다. 이곳에서는 연령에 상관없이 활과 관련된 모든 체험이 가능하다. 활쏘기가 처음이거나 어린아이들도 안전하게 체험해 볼 수 있는 흡착 활부터 양궁(리커브), 국궁, 호버볼체험, 활서바이벌, AR무빙타겟, VR스크린양궁체험 등 개인에서부터 단체프로그램까지 다양한 활체험이 가능하며, 10m 높이의 대형 과녁과 3D과녁 등 다양한 목표를 향해 맞출 수 있는 활쏘기 과녁 및 공간이 완비되어 있다. 또한, 세계 각국의 활과 화살을 만나볼 수 있는 전시관까지 준비되어 있다.
12.1Km 2023-08-11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양궁장길 38
나에게 꼭 맞는 취향 여행을 떠나기 좋은 '가을여행주간'을 맞이하여 예천에서의 특별한 1박 2일을 소개한다. 활쏘기, 곤충생태원 탐방과 모노레일 체험, 천문우주센터 관람과 신비한 중력체험까지!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은 물론, TV 속에서 보던 멋진 예천의 풍경도 만나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