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Km 2025-09-01
경상북도 문경시 금천로 557
뉴욕제과는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대상리에 있는 찹쌀떡과 찹쌀도넛 맛집이다. TV 프로그램에 여러차례 소개될 만큼 인기가 많고 맛이 좋다. 세월의 흔적이 엿보이는 노포지만 여전히 찾는 사람들이 줄을 잇는 곳으로 메뉴는 찹쌀떡과 찹쌀도넛 두 가지이다. 달지 않고 쫄깃해 누구나 좋아하는 맛으로 주로 포장 손님이 많다. 전화 예약을 권장하는 곳으로 품절 시 일찍 문을 닫아 헛걸음할 수도 있다. 점촌함창 IC에서 가깝고 주변에 고모산성, 문경새재도립공원이 등 문경의 유명 관광지가 많아 연계 여행에 나서기 좋다.
10.9Km 2025-07-28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어풍로 19
삼백의 고장 상주의 주요 특산품 중 누에고치(명주) 분야의 전통 명주길쌈을 5대째 잇고 있는 허씨비단이다. 2002년에 현 위치로 작업장을 이전하였으며 3,000여 평의 공간을 적극적으로 개방하여 예약제로 명주길쌈 체험장을 운영하고 있다. 버려질 뻔한 옛 물레, 베틀 등을 전시 및 체험용으로 활용하며 전통 명주산업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함께 공유하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11.1Km 2025-06-23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함창시장1길 45-14
054-541-3260
함창시장은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 122번지 일대에 위치하는 장으로 매월, 1일과 6일에 장이 선다. 주로 판매되는 상품은 명주, 목공예품, 지역 농산물, 일반 생활용품 등이다. 1951년에 정기시장으로 개설되었고 1960~80년대에는 우시장이 성황을 이루었다고 한다. 장날에는 점포 30여 개와 노점상 20여 명이 사장에서 손님을 맞이한다. 비록 규모가 크지 않고 나와 있는 상품들도 고급·고가품은 아니지만 물품을 파는 상인이나, 사는 손님, 그리고 남녀노소 불문하고 모두가 소박하고 밝은 모습을 보이고 있어 시골 장터의 푸근한 인심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11.1Km 2024-05-31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함창중앙로 135
상주시는 2011년 6월 국제슬로시티연맹 폴란드 총회에서 슬로시티로 공식 인증되었다. 넓은 평야와 적정한 강우량, 여름철 높은 기온, 많은 일조량 등 농작물 재배에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상주시 합천읍, 공검면, 이안면을 상주 슬로시티 핵심지역으로 지정하였다. 상주는 신라 서라벌과 가야 고령 가야국의 옛 고도이며, 농업과 음식문화가 발달한 고장으로 전 가구 수의 42%가 농가이다. 또한, 대표적인 자전거 도시로 상주 자전거 박물관이 있는 곳이다. 낙동강 자락에 있는 제1경 경천대와 상주 자전거 박물관, 삼한시대 3대 저수지의 하나인 공검지, 함창의 명주 고을 등의 명소가 있으며, 상주 곶감, 상주 한과와 명실상감한우 등의 특산품이 있다. 쌀, 누에고치, 곶감이 유명하여 삼백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건강 관련 제품이 많아 한방 바이오산업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상주슬로시티 방문센터가 있는 함창명주박물관에서 누에고치짓기, 고치실로 명주 짜기 등 비단제작 과정과 관련도구를 볼 수 있고, 박물관에는 1년 뒤에 배달되는 느린 우체통이 있다. 인근 명주테마파크와 경상북도 잠사곤충사업장의 나비생태원, 누에곤충체험학습관이 있으며, 이안면 흑암리에는 전통기법으로 5대째 항아리를 제작하는 상주옹기마을이, 지산리 일대는 실제 귀농이나 귀촌체험을 할 수 있다.
11.2Km 2024-12-05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사리
산과 강 그리고 들길을 잇는 상주 MRF 경상북도 상주시에는 산(Mountain), 강(River), 들(Field)을 끼고 조성되어 ‘MRF코스’라 이름 붙은 도보여행 코스가 있다. MRF란 산길(Mountain Road), 강길(River Road), 들길(Field Road)을 걷거나 달리는 신종 레포츠를 말한다. MRF는 반드시 산길, 강(하천)길, 들길이 포함되어야 하고, 해발 200~300m의 낮은 산과 원점회귀가 가능한 곳으로 연결되어 있다. * 7코스 : 가야길 전 고령가야의 수도 함창, 그 옆 이안천을 건너 제방길을 따라 굴다리를 지나 재사 옆 대나무 숲을 돌아 농로를 가로질러 올라가면 역사가 있는 함창의 진산 오봉산, 이곳에서 가야인의 숨결과 옛이야기를 엿듣고 신흥 들판에서 들 기운을 마신다. (출처 : 상주 MRF)
11.2Km 2025-01-02
경상북도 문경시 매봉1길 70
054-552-9288
모전동에 있는 석쇠구이 전문 음식점이다. 메뉴에는 돼지, 오리, 닭발, 오징어, 돼지껍데기 석쇠구이가 있다.
11.4Km 2025-03-18
경상북도 문경시 매봉로 68
054-555-0808
경상북도 문경시 모전동에 있는 모란면옥은 기존 모란칡냉면이었던 상호가 바뀐 곳으로 냉면 전문점이다. 물냉면, 비빔냉면, 물만두를 메뉴로 하고 있으며, 칼국수 전문점도 같이 하고 있다. 로컬 맛집으로 여름철 시원한 냉면과 석갈비의 조합이 좋다. 근처에는 모전공원이 있어 식사 후 산책하기에 좋다.
11.5Km 2024-07-09
경상북도 상주시 가야로 6
메밀묵촌은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사리에 있다. 예스러운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대표 메뉴는 메밀비빔막국수다. 이 밖에 메밀물막국수, 메밀콩국수, 들기름막국수, 콩국수, 메밀만두 등이 준비되어 있다. 함창기차역 앞으로 확장 이전 예정이며, 그로 인해 2022년 10월 31일부터 2023년 2월 28일까지는 임시 휴무다.
11.6Km 2025-09-10
경상북도 문경시 부천로 136
초계한우는 경상북도 문경시 호계면에 있는 고기요리 전문점이다. 초계 변씨들만의 전통적인 방법으로 최적의 도자기 속 숙성 온도와 같은 1.2℃에 21일 동안 유지하여 숙성한다. 초계돼지도 초계한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숙성하며 전통적인 숙성방식을 통해 고기의 육질이 연하고 돼지고기 특유의 냄새가 나지 않는다. 이처럼 초계 변씨의 오래된 도자기 숙성으로 다 른 곳보다 더 깊은 한우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으며 육류 숙성고를 오픈형으로 해놓아 고기의 숙성 과정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고기 외에도 문경에서 자란 콩으로 초계한우의 모든 손두부와 콩요리를 매일 직접 정성껏 빚는다. KBS 예능 프로그램 <살림남>에도 출연한 바있다.
11.6Km 2025-09-01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회천리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7번지에 위치한 왕릉으로 고령가야 태조의 무덤이라고 전해진다. 고령가야는 기원전 낙동강 일대인 함창, 문경, 가은 지방을 영역으로 하여 세워진 나라로, 〈삼국유사〉의 5가야조와 〈삼국사기〉의 고령군조에 그 이름이 등장한다. 42년 낙동강을 중심으로 일어난 여섯 가야 중 하나이며 상주 함창읍은 고령가야의 도읍이었다. 조선 선조 25년(1592) 당시 경상도 관찰사 김수와 함창 현감 이국필 등이 묘 앞에 묻혀 있던 묘비를 발견하여 가야왕릉임을 확인했다고도 전해오고 있다. 숙종 38년(1712) 왕명으로 묘비와 석양 등의 석물을 마련한 후 후손들에 의해 여러 차례 묘역이 정비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1971년 함창 도시계획 당시 보존구역으로 결정되고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상주시와 후손이 관리하고 있다. 매년 10월 1일과 강생일인 3월 15일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