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양가든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금양가든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금양가든

11.0Km    2025-03-17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섬진강대로 1877
055-884-1580

금양가든은 하동지역 맛집으로 손꼽히는 이화가든의 분점으로 이화가든의 20년 노하우를 고스란히 옮겨왔다. 재첩과 메기, 참게 등 민물매운탕으로 입소문이 난 이화가든은 공중파에도 여러 차례 소개됐을 정도로 하동군이 추천하는 맛집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여태봉 사장의 아내인 전옥이씨가 모든 음식의 맛을 내는데 전라남도 광양 출신의 어머니께 30년 가까이 전수받은 음식 솜씨는 어디에 내놔도 으뜸이다. 재첩은 이웃사촌인 김은욱 사장이 잡은 것을 생물로 구입해 직접 끓이고 가장 맛이 좋을 때 대량으로 조리해 영하 40도 급냉실에 저장한다. 메기와 참게 등은 10년 넘게 왕래한 거래처에서 받으며 섬진강에서 난 것만 쓴다. 매실과 배, 감 과수원을 직접 운영하고 밭농사도 직접 지어 푸성귀와 양념은 대부분 직접 조달한다. 매해 담그는 엄청난 양의 매실 진액은 양념과 장아찌로 활용한다. 외부에서 구입하는 재료도 최대한 하동에서 난 것을 쓰고, 멸치와 미역 같은 것은 남해 유명 산지의 것으로 골라 쓰는 것이 금양가든 장보기의 철칙이다.

해성재첩식당

해성재첩식당

11.0Km    2024-08-09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섬진강대로 1877

재첩이란 섬진강 하류에서 많이 나는 세모꼴의 작은 조개로 하동 사투리로 ‘갱조래’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강에서 나는 조개를 가리킨다. 그밖에 재치, 다슬기 등으로도 불리는 민물조개로, 자라는 환경에 따라 조개의 색상이 달라진다. 5~6월이 제철로 특히 간 해독작용에 좋은 타우린이 풍부하여 해장국으로 사랑받는 식자재이다. 하동에는 재첩특화마을이 있는데 그곳에 많은 식당 중에서도 유명한 해성식당이다. 가장 인기 있는 메뉴는 재첩 모둠 정식으로, 재첩국, 재첩 회무침, 참게장까지 세트로 한 상 차려진다. 재첩국은 몇 번이고 리필해 준다. 전날 술을 마셨다면 두세 그릇은 금세 마셔버리는데, 하동의 재첩은 비리지 않고 재첩 특유의 향과 맛이 살아 있다. 재첩 회무침은 여러 가지 야채를 매콤한 양념으로 버무린 것 위에 재첩을 익힌 숙회를 푸짐히 올려서 내오는데, 같이 나오는 김에 싸 먹으면 한 접시가 금세 비워진다. 재첩 회무침을 밥과 비벼 비빔밥으로 먹어도 좋다. 같이 나오는 민물에 사는 참게로 만든 참게장은 짜지 않고 심심해해 밥도둑이란 명성답게 공깃밥 추가가 필수이다.

여여식당

11.2Km    2025-03-17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경서대로 92
055-884-0080

하동 읍내에서 기본에 충실한 재첩 요리를 즐기고 싶다면 여여식당을 추천한다. 진한 국물의 재첩국과 군더더기 없이 나오는 반찬, 그리고 새하얀 공깃밥 한 그릇만으로 지역 맛집의 진수를 느낄 수 있다. 이곳은 섬진강 재첩 외에는 사용하지 않으며, 100% 국내산 재첩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현지인 뿐만 아니라 외부인들에게도 추천하는 로컬 음식이다.

보드라운 찻잎과 섬진강 벚굴 품은 하동

보드라운 찻잎과 섬진강 벚굴 품은 하동

11.2Km    2023-08-09

섬진강과 지리산이 내어주는 자연의 맛을 찾아 몸도 마음도 건강해지는 미식여행을 즐겨보자.

동흥식당

동흥식당

11.2Km    2024-05-31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경서대로 94
055-883-8333

하동 경찰서 근처의 화개 방향 쪽 3분 정도 도심의 대로변에 위치한 재첩국 전문식당이다. 재첩은 간 기능을 활성화해 피로를 풀어주고 원기를 회복시켜주는 효과가 있어 술국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섬진강 자연산 재첩만으로 11년 요리 경력의 주인이 직접 요리하여 음식의 맛이 뛰어나다. 지리산 자락의 자연산 부초로 맛을 낸 재첩국은 향긋하고 그윽하며, 재첩만을 건져내어 초고추장과 갖은 채소로 버무려 무친 재첩회는 새콤달콤 씹는 맛이 일품이다. 섬진강을 배경으로 재첩을 재취하는 대형 사진을 액자로 제작하여 걸어놓아 볼거리를 제공한다.

부흥재첩식당

11.2Km    2025-01-07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경서대로 98
055-884-3903

하동의 다른 식당과 마찬가지로 여러 재첩 요리를 취급하지만, 특히 재첩회가 인기다. 배, 당근, 양배추, 오이 등에 매콤한 초장 양념을 더한 뒤, 데친 재첩살을 듬뿍 올려서 내어준다. 기본에 충실한 재첩국을 비롯해 재첩전과 재첩회가 함께 나오는 모둠 정식도 인기 메뉴다.

차도리가든

차도리가든

11.3Km    2024-05-07

전라남도 광양시 신재로 337

광양의 닭숯불갈비 맛집으로 유명한 식당이다. 주차장은 넓지만, 주차장이 가득 차 길에 주차해야 할 때가 있을 만큼 많은 손님이 찾는 곳이다. 닭고기구이 요리로 유명한 광양에서도 맛집으로 소문난 곳으로, 정갈하면서도 깔끔하게 차려지는 음식들이 손님들의 발길을 이끈다. 머위장아찌 상추 겉절이 등 다양한 반찬이 기본 찬으로 나오는데, 메인 요리와 잘 어우러져 입맛을 돋운다. 자연 속 가든이 연상되는 외관이 인상적이며 실내 인테리어도 깔끔하다. 옥룡사지, 백운산자연휴양림 등이 주변에 있어 연계 관광하기 수월하다.

경남 하동군 으뜸상품홍보관

11.4Km    2025-01-13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군청로 36
055-883-5852

아까운 여행 일정을 쪼개 특산물을 사러 돌아다닐 필요가 없다. 하동의 유명 특산물을 한 곳에 모아놓은 으뜸상품홍보관에 들르면 해결될 일이다. 매장 안에는 30여 가지 물품이 진열되어 있다. 지리산 청학동 고사리며, 다기세트, 대봉감, 매실 진액, 차 등 하동의 이름난 특산물이다. 으뜸상품홍보관의 여러 상품들 중 차는 특히 종류가 다양한데, 시음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꼭 구입하지 않아도 차를 시음해 볼 수 있다. 택배 주문도 가능하다.

수양정

11.4Km    2025-03-28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신재로 289
061-763-0099

수양정은 오리불고기와 삼계탕 메뉴로 승부하는 식당이다. 오리불고기의 양념은 하루 정도 달인 한약재에 각종 야채와 과일을 넣어 만든다. 이 양념이 오리 특유의 냄새를 잡아주어 많이 먹어도 느끼하거나 비릿한 맛이 없다. 고기를 구운 후엔 버섯과 부추 등을 함께 싸서 들깨초장에 찍어 먹는데, 육질이 부드럽다. 인삼튀김, 고구마튀김, 오리훈제, 두부, 전, 김치 등 밑반찬도 푸짐하다. 인삼 값이 비싼 만큼 많은 손님들이 인삼튀김을 더덕튀김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인삼튀김은 손님의 건강을 생각해 오 대표가 특별히 준비하는 곁들이 음식이다. 삼계탕 역시 한약재를 넣고 만드는데 옻삼계탕도 맛볼 수 있다.

금정사

금정사

11.5Km    2025-01-17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금정길 113-1

금정사는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대송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5교구 통도사 하동분원의 사찰이다. 1948년에 정우경이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대송리 15번지에 설립하였으며, 당시에는 금강사(金剛寺)라고 하였다. 6·25 전쟁을 겪고 난 뒤에 정우경이 이 사찰을 떠나자 여러 승려들이 주석하였지만 오래 머물지 못하고 주지 없이 20년을 지냈다. 1970년에 김문수가 주지로 부임하여 현재 위치인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대송리 35번지로 이전하면서 금강사(金剛寺)를 금정사(金政寺)로 개칭하였다. 그때에 대웅전, 종각, 요사채를 건축하였다. 1999년 혜철(慧哲)이 주지로 부임하면서 금정사(金政寺)를 금정사(金頂寺)로 개칭하고, 삼성각, 충혼전, 안심요 3층, 진신사리석탑과 화장실 등의 건물을 신축하였다.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정기 법회를 열고 있다. 1954년 금정사의 발원으로 6·25 전쟁 때 조국 수호를 위하여 전사한 하동군 출신의 군인 및 청년 기동 대원 334명의 얼을 추모하고 이들의 값진 희생을 민족 유산으로 보존하고자 영령탑을 건립했는데, 그 호국 영령들을 기리는 사업도 하고 있다. 관련 문화재로는 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하동 금정사 산신탱(河東金頂寺山神幀)」과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하동 금정사 칠성탱(河東金頂寺七星幀)」, 국가보훈처 현충 시설인 금정사 영령탑이 있다. 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