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교길20카페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향교길20카페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향교길20카페

향교길20카페

17.4Km    2025-03-31

전라남도 나주시 향교길 22-1 (서내동)

나주 읍성 서성문 근처에 위치한 2층 규모의 한옥카페로 단아한 한옥 마당의 분위기와 차를 즐기며 힐링하기 좋은 곳이다. 쌍화차, 대추차등 전통차와 호박죽, 단팥죽과 크림치즈 약과쿠키, 찹쌀약과, 가래떡구이등 전통 디저트류가 인기이다. 카페에서 판매하는 음료에 사용되는 과일청은 주인이 직접 담는다고 한다. 마당으로 통하는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멋진 소나무를 보며 야외에서 차를 마시는 테이블이 놓여있고, 실내 1층에는 신발을 벗고 올라서는 마루 위 좌식테이블이 놓여 있다. 편안하게 다리를 펴고 앉아 들어열개문 통창으로 카페 마당을 보며 즐기는 차 한잔은 여유롭기까지 하다. 카페 2층으로 올라가면 월정봉을 배경으로 서성문이 보인다. 향교길 20 카페는 소모임과 파티, 원데이 클래스 진행도 가능하며 한옥 숙박 시설도 운영한다고 한다. 나주 곰탕거리와 도보 7분 거리에 근접해 있어 나주 곰탕으로 식사를 하고 나주 읍성과 서성문을 천천히 둘러보고 차 한잔을 즐기러 방문하기 좋다.

나주 이슬촌마을

17.5Km    2025-06-26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 이슬촌길 119

금성산과 이어진 병풍산 자락 아래 이슬촌 마을은 근대문화유산 문화재 노안성당과 넓은 광장이(폐교운동장) 있다. 매년 크리스마스 시즌에는 마을 불빛 경관을 조성하고 마을 주민이 행복한 산타 축제를 즐기는 마을이다. 친환경 농사로 건강한 먹거리와 농촌 수확 체험을 운영하며, ‘예술농부로 놀기’ 슬로건으로 마을주민 문화 예술 동아리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사람이 더 아름다운 마을’이다. 마을로 들어오는 진입로 양편에 우렁이 농법 친환경 농사 단지 논이 펼쳐져 있으며, 감자 캐기, 땅콩 캐기, 벼 베고 탈곡, 인절미 떡메치기, 두부 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슬촌은 마을 내 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 등록문화재 노안성당이 있고 마을 주민의 90% 이상이 가톨릭 교우인 신앙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예부터 성탄 행사를 진행했던 주민들이 2007년 크리스마스 산타 축제를 자연스럽게 기획하고 개최하게 되었다. 2007년 1회를 시작으로 2016년 9회에 걸쳐 크리스마스 기간 동안 개최되었다. 노안성당 뒤편 작은재 큰재로 오르게 되는 병풍산은 숲 자원이 훼손되지 않은 생태 숲으로 자생하는 풍란이나 많은 숲 생물이 살아숨쉬고 있다. 이슬촌 마을에서는 병풍산 코스 안내 리본을 부착하여 지역 도시민들에게 힐링 코스로 안내하고 있다. 이슬촌 마을은 나주 ic 인접하여 접근성이 좋다.

서성문

서성문

17.5Km    2025-07-03

전라남도 나주시 서성문길 30

나주읍성의 서쪽에 위치한 서성문은 나주읍성 수성군과 동학군의 전투, 즉 우리 민쪽끼리의 전투 역사를 가진 슬픈 사연을 담고 있는 성문이다. 1894년 7월 1일 나주를 점령하기 위해 동학군이 서성문으로 내달렸으나 성은 함락되지 않았고, 이에 녹두장군 전봉준은 당시 나주목사 민종렬과 협의를 위해 나주읍성으로 들어가는데 그때 그 문이 서성문이다. 1815년에 발간된 ‘나주목여지승람’ 서문에 “영금운으로 기록된 편액이 있었다”는 기록에 따라 ‘영금문’ 현판을 제작하여 걸었다. 영금문은 ‘두루 나주를 비춘다’ 라는 뜻을 지닌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 나주시 문화관광 홈페이지)

스테이서문

17.5Km    2024-07-31

전라남도 나주시 교동2길 9 (교동)
010-7912-7200

전라남도 나주에 위치한 스테이서문 나주의 아름다운 자연과 전통 한옥의 아늑함, 현대적인 모던함이 조화를 이루는 복층 독채 힐링 공간이다. 한옥은 침대룸, 온돌룸, 화장실 2개, 주방, 거실로 구성되어 있다. 자쿠지에서 창문 사이로 들어오는 햇볕을 맞으며 반신욕 또는 족욕을 하거나, 자쿠지 앞에 마련된 바베큐장에서 전기그릴에 고기를 구워 먹으며 함께 한 이들과 추억의 시간을 쌓을 수 있다. 요청이 있을시 전통 차체험도 진행한다.

라떼르

17.5Km    2019-11-11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천1길 87
010-2682-0916

#본 업소는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으로 외국인만 이용이 가능하며 내국인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나주읍성안 나주곰탕인근에 위치한 라떼르는 나주터미널에서 도보로 십분거리, 나주역에서 택시 기본 요금이 나올 정도의 거리에 위치한다.

윤은재

17.5Km    2024-12-18

전라남도 나주시 향교길 36-14 (교동)
0507-1335-7261

아직은 사람들의 발길이 많지 않은 나주향교 골목길. 쉼 없는 일상과 도시의 소란스러움에서 벗어나 처마 끝 하늘, 산자락, 흙담길을 한옥스테이 ‘윤은재’에서 담아보세요. "고택과 신축한옥이 공존하는 그 곳" ‘윤은재’ 툇마루에 앉아 마당정원과 한옥고택을 바라보시고 풍경소리를 들어보세요. 지쳐있던 마음이 편안해질 거예요.

금성산(전남)

17.5Km    2024-10-10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신광리

나주의 진산인 금성산의 높이는 451m로 낮은 산이지만 평야와 낮은 언덕이 많은 나주에서는 가장 높은 산이며, 4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동쪽 봉우리는 노적봉, 서쪽 봉우리는 오도봉, 남쪽은 다복봉, 북쪽은 정녕봉이라 불린다. 금성산은 고려왕실과 관련이 깊은 신령스러운 산이기도 했다. 고려조정은 전국에 있는 10개의 신령스런 산에서 매년 제사를 올렸는데, 충렬왕은 금성산에는 정녕공이라는 작호를 내려 제사를 지내게 했고 이후 금성산은 전국 8대 명산으로 인정받게 된다. 금성산이 유명한 것은 두 가지 이유가 있는데, 첫째는 외적을 방어했던 ‘금성산성’이 있기 때문이다. 금성산성은 고려 초에 견훤과 왕건의 싸움터이기도 했고, 삼별초의 나주공략에 맞서 건곤일척의 승부를 벌인 치열한 전쟁터였다. 금성산이 유명한 두 번째 이유는 신령스럽고 영험한 금성 산신과 당제 때문이다. 최근까지도 금성산 아래 계곡 등에서는 산신의 영험함을 얻기 위해 정성을 드리는 무속인들이 수 없이 많았다. 금성산이 명당이자 전국의 명산으로 인정받는 데는 이런 이유들이 숨어있다. 금성산에는 국립나주숲체원, 금성산생태숲, 다보사 등이 있다.

예향한정식

17.6Km    2025-03-17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천1길 79
061-333-1009

나주천 옆에 있는 건물이 150년 된 기생집의 원형을 그대로 살린 전통 한옥으로 꾸며진 한정식 전문식당이다. 정갈하게 차려진 음식과 옛 정취를 그대로 담고 있는 식당 내부와 정원 등 외국인에게 홍보하기에 좋은 곳이라 할 수 있다. 홍어, 돼지고기, 묵잡채와 토하젓 등 나주 특유의 전통 음식으로 꾸며진 50여 가지의 반찬과 요리가 준비되어 있으며, 특히 직접 담근 3년 된 묵은 김치의 맛이 일품이다. 주말에는 예약이 꼭 필요하며 식사 후에는 우리 전통차를 즐길 수 있다.

나주향교

나주향교

17.6Km    2025-03-16

전라남도 나주시 향교길 38

태종 7년(1407)에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으며 우리나라 3대 향교 중 하나로 규모가 크다. 이 향교에는 숙종 27년(1701)에 창건한 계성사가 있는데, 이로 말미암아 교궁의 배치가 다른 향교와는 크게 다른 특색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교궁의 배치는 대성전이 위에 있고 그 밑에 명륜당이 위치하고 있으나, 공자 아버지의 위패를 봉안하는 계성사가 있는 향교는 대성전과 명륜당의 위치가 바뀐 것이 특색이다. 호남 지방의 향교 중 계성사가 있었던 곳으로는 나주향교 이외에 전주향교와 함평향교 등이 있다. 이 향교의 대성전은 보물 제39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그 규모가 대단히 웅장할 뿐 아니라 양식, 격식이 뛰어나 조선 후기 향교 건축을 대표할 수 있어 건축학적 가치가 크다. 또한 나주향교는 조선시대 교육 시설의 규모를 따지면 성균관 다음이라고까지 지칭될 정도로 규모가 클 뿐 아니라 교육과 제사의 고유 기능을 간직하고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주변 문화재로 이곳에서 직선거리 약 400m 거리에 사신이나 관리의 숙소로 사용된 객사 금성관이 있다.

고려와 조선을 잇는 나주 역사 기행

고려와 조선을 잇는 나주 역사 기행

17.6Km    2023-08-10

견훤은 나주 지역을 중심으로 후백제를 세웠고, 고려 태조 왕건은 나주 완사천에서 훗날의 장화왕후와 연을 맺었다. 나주는 고려 성종 때 나주목이 된 이래 천년 목사 고을로 불리는 고장이다. 전주와 나주의 지명을 한 자씩 따서 ‘전라도’라 이름 붙인 데서 알 수 있듯이, 나주는 천년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역사의 고장이라 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