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Km 2024-04-2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김녕로 209
064-741-8772
제주국제관광마라톤축제는 1995년을 시작으로 일반인이 참가하는 국내 최초 시민참여 마라톤 대회로서, 청정 제주의 아름다운 해안을 바탕으로 마라톤 코스를 구성하여 남녀노소, 가족, 연인 등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스포츠 축제의 장이다. - 참가부문: Half(21.0975km) / 10km / 5km(걷기) - 참가자격: Half 만18세 이상 / 10km, 5km(걷기) 연령 제한 없음 - 공인: K.A.A.F(대한육상경기연맹)
16.1Km 2025-05-30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도두봉6길 4 (도두일동)
제주시에 위치한 카페 나모나모베이커리는 아늑한 분위기와 정성스러운 베이커리로 유명한 곳이다. 이곳은 제주도의 자연을 담은 다양한 디저트와 음료를 제공하며, 특히 직접 구운 빵과 케이크가 인기 메뉴이다. 다양한 종류의 빵과 디저트 라인업으로 고르는 재미가 있으며, 이색적인 음료가 가득하여 하나씩 맛보는 것도 좋다. 카페 내부는 따뜻한 조명과 편안한 인테리어로 꾸며져 있어, 방문객들에게 편안한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사진이 예쁘게 나오기로 유명한 무지개 해안도로 앞에 있어 함께 들러 사진을 찍기에도 좋다. 카페 나모나모베이커리는 제주 여행 중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기 좋은 공간이다.
16.2Km 2025-03-18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구좌해안로 237
하늘에서 바라본 모습이 한문 평(平) 자를 이룬 모양을 하고 있어 김녕이라고 불리는, 김녕마을에 있는 해수욕장이다. 거대한 너럭바위 용암 위에 모래가 쌓여 만들어졌으며, 성세기는 외세의 침략을 막기 위한 작은 성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하얀 모래에 부서지는 파도들이 시원한 소리를 내고, 코발트빛 바다 풍경이 제주 자연의 아름다움을 새삼 느끼게 해주는 곳이다. 해변가를 걷다 보면 제주의 바람으로 돌아가는 김녕풍력발전기들을 관찰할 수 있다. 인근에는 갓돔과 노래미돔이 잘 잡히는 갯바위 낚시터가 낚시꾼들에게 인기 명소이며, 용천동굴, 당처물동굴, 만장굴 등 다양한 굴이 근처에 위치해 있어 여름에 시원하게 피서를 즐길 수 있다. 김녕해수욕장은 특이한 지형으로 인해 지질트레일도 조성이 되어 있는데, 지질트레일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을 활용해 각 지역의 지질자원과 마을의 역사 및 문화와 어울려진 도보길이다.
16.2Km 2025-06-16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해안마을5길 29 (해안동)
스테이위드커피는 제주시 평화로 중산간 쪽 해안초등학교 근처에 있다. 핸드드립 커피전문점으로 세계 각국의 스페셜티 커피를 맛볼 수 있으며, 원두와 드립백 커피를 매장에서 판매하며 인터넷 주문도 할 수 있다. 커피 애호가들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20여가지 이상의 스페셜티 원두가 준비되어 있다. 스페셜 티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도 한가지씩 시향해보면서 나의 커피 취향을 알수있다. 스테이위드커피는 층마다 컨셉이 다른데 1층은 로스팅실에서 풍겨오는 원두볶는 향을 맡으며, 바리스타와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다. 2층에서는 주기적으로 바뀌는 전시회들을 즐기며 은 통창에 비친 제주도의 풍경을 바라볼 수 있고 3층은 조용한 공간에서 커피와 자신의 감각에 집중 할 수 있다.
16.2Km 2025-01-1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광로 128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3시까지 운영하는 고등어 김치찜, 생선구이백반(고등어, 조기, 옥돔 등 3마리), 육개장 전문점. 사위가 직접 잡은 제주산 생선만 사용하기 때문에 국내산 싱싱한 생선을 푸짐하게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계란 프라이는 따로 시킬 수 있지만 톳무침, 오이지무침, 깻잎절임, 콩자반, 파래부침개 등 소박하면서도 하나하나 정갈한 밑반찬들이 가슴 따뜻해지는 집밥같이 느껴진다. 제주공항 근처이다 보니 여행 다니면서 그리워지는 한식 밥상 먹기 좋은 곳이다.
16.2Km 2024-10-16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정의현로34번길 5-3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고택으로 성읍민속마을 안에 있다. 고평오의 증조부가 1829년(순조 29)에 지었다고 전해진다. 고택에는 안거리(안채), 밖거리(바깥채), 모커리가 배치되어 있다. 모커리는 안채, 바깥채 사이에 배치된 대문간 옆의 건물로, 수레간과 절구 등을 보관하던 헛간으로, 현재 있는 모커리 맞은편에 모커리 한 채가 더 있었는데 1970년대 중반에 헐었다고 한다. 지금 있는 건물들은 1979년에 수리한 것으로 바람에 지붕이 날리지 않도록 새끼줄로 그물처럼 덮어 놓았다. 배치 도면에서 남쪽에 위치하는 바깥채는 예전 면사무소 관원들이 숙식하던 곳이었다고 전해지며, 안채 대청의 쌍여닫이창은 제주 남부 일부 지방에서만 볼 수 있는 중요한 연구자료로 평가된다.
16.2Km 2025-03-2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손지오름은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에 위치한 오름이다. 이 오름은 한라산의 축소판 같은 생김새 때문에 한라산의 손자라는 의미로 손지오름이라고 불린다. 손지는 손자의 제주식 표현이며, 이 외에 손자봉, 손지악이란 이름도 같이 쓰인다. 손지오름은 따라비오름, 큰사슴이오름과 함께 가을철 억새가 아름다운 3대 오름에 손꼽힌다. 높이가 250m에 불과하지만 화구 능선에 오르기 위해서는 빽빽하게 들어선 억새 숲을 헤쳐 가야 한다. 억새가 한 방향으로 눕혀져 있는 것은 앞선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길이다. 길은 여러 갈래로 흩어져 있지만 모두가 정상을 향하고 있다. 손지오름의 볼거리는 억새 군락이나 시원한 오름 조망만이 아니다. 남쪽 알봉 아래로는 광활한 목장 지대가 자리하고 있다. 이곳의 초지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것이어서 방목된 소들은 홀로 봉우리에 오르기도 하고 때론 떼를 지어 평지를 활보한다. 손지오름에서 바라본 목가적인 풍경은 제주의 가을 정서와 매우 잘 어울린다. 누구나 오름의 정상에 서면 쉽게 내려오지 못하는 이유다.
16.2Km 2023-07-1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해안로 232, 1층
064-711-8616
제이학센은 제주 공항 인근에 위치한 양식 전문점으로, 슈바인학센이라는 독일 전통 음식을 제주 흑돼지로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무항생제 제주 흑돼지를 독일 흑맥주로 24시간 숙성시킨 후 3일간 조리와 훈연, 재숙성 과정을 거쳐 만들기 때문에 차별화된 맛을 느낄 수 있다. 게다가 제이학센은 도두동 무지개 해안 도로 바로 앞에 위치해 있어 전 좌석에서 오션뷰를 즐길 수 있으며,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제주도 기념품을 판매하는 소품샵도 있어 구경과 구매가 가능하다.
16.2Km 2024-02-2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해안마을길 73
73st는 제주시 해안초등학교 앞에 있는 대형 브런치 카페로 대표메뉴는 제주 고사리 오믈렛과 떠벅(떠먹는 버거)이다. 빵쌈의 경우 카페에서 직접 숙성하여 만든 통삼겹살과 모닝빵, 샐러드가 함께 나오는데 미니버거를 만들어 먹거나 따로 샐러드와 함께 먹는다. 이밖에 프렌치토스트, 스튜, 샐러드류 등 다양한 브런치 메뉴와 피자류가 있다. 테이블이 다양하고 창가에 빈백이 있으며 루프탑도 갖춰져 있다.
16.3Km 2024-09-20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정의현로34번길 22-10
19세기 초에 세운 것으로 보이며, 정의향교와 울타리를 사이에 두고 있는 제주 성읍마을 고창환 고택은 정의고을의 여인숙으로 쓰였던 일이 있어, 지금도 주민들 사이에는 여관집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문을 들어서면 왼쪽 곁으로 헛간채, 그 앞마당을 가로질러 안채가 있고 안채 뒤편으로 넓은 텃밭과 수목들이 우거져 집 주변과 조화롭게 어울린 자연이 격을 더한다. 안채는 한라산 산남지역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3칸 집으로 앞에서 볼 때 왼쪽부터 부엌, 대청, 안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부엌 뒤쪽에 작은방을 안방 뒤쪽에는 곡물을 쌓아두던 고팡을 마련하였다. 대청마루와 안방 앞쪽으로는 툇마루를 두고 대청마루에 두 개의 쌍여닫이 널문을 설치하였다. 그중 오른쪽 문에만 작은 생깃문(호령창)을 달았다. 생깃문은 주인이 일꾼이나 머슴을 부르거나 바깥사람과 대화할 때 쓰는 작은 창이다. 부엌 앞에는 물동이를 넣는 바구니인 물구덕을 얹어두는 물팡이 있다. 헛간채는 1칸으로 멍석이나 살림 도구 등을 두던 곳이다. 전형적인 민가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상방과 고팡과 안뒤와 정지 등의 공간구성이 어색함이 없이 매우 자연스러우며, 평범하면서도 부족함이 없다. 여관으로서 특이한 가옥 형태는 찾아볼 수 없지만 평범하고 단출한 옛 농가의 형태를 살피고 대문 없는 민가를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