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Km 2025-03-28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첨찰산(해발 485m)은 전남 진도 내 최고봉이다. 쌍계사와 운림산방을 품에 안고 있으며 봉화대가 있는 정상에 오르면 다도해가 한눈에 굽어 보인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첨찰산 상록수림 사이의 골짜기를 따라 삼림욕을 하면서 산에 오르는 기분이 매우 좋다.
5.2Km 2025-01-03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성죽골길 35
061-544-2182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진도개는 품성이 우수하고 민첩하며, 청각·후각이 발달하여 집을 잘 지키고 주인에 대한 충성심이 강한 세계적인 명견이다. 세계축견연맹과 영국켄넬클럽에 등록되어 있으며, 진도축산사업소 사육장에서 관람·체험할 수 있다.
* 진도개이야기
지난 1993년 10월, 5년생인 진도개가 대전의 애견가에게 팔려갔으나 옛 주인을 잊지 못하고 7개월에 걸쳐 팔백리길을 달려 옛 주인인 진도군 의신면 돈지마을 박복단 할머니에게 돌아옴으로써 전 국민들을 놀라게 하였으며, 이후 주인의 정성스런 보살핌으로 임신까지 하여 또 한번 화제가 되었다. 돌아온 백구는 주인의 극진한 보살핌속에 2000년 6월, 1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돈지마을 주민은 마을 광장에 동상과 비석을 세워 백구의 마음을 기리고 있으며, 그 자손은 현재 진도군 진도개 축산사업소에서 보호 관리되고 있다.
* 진도개 축산사업소
진도개 축산사업소에서는 사무실, 홍보실, 진료실, 연구실, 사육장, 훈련장 등 여러시설을 갖추고 DNA분석, 기본체형 측정, 진도개 골격연구, 진도개품평회, 진도개심사방역 등 기초연구사업을 펼치며 전문훈련사를 통한 생생한 훈련모습을 선보이는 등 볼거리 제공까지 하고 있으며, 해외보급을 통한 세계적 애견단체인 영국켄넬클럽에 공식등록됨으로써 세계적인 명견으로 위상도 정립하고 있다.
* 진도개 전국 품평회
진도개 전국 품평회는 진도개의 본 고장인 진도에서 매년 열리는 전국 애견가들이 참여하는 화합과 축제의 장이다. 진도개 품평회는 진도개 심사는 물론 수렵견대회, 개와 함께 달리기, 진도개 사진전, 민속공연 등 다양한 행사가 펼쳐지는 자리로 진도군은 진도개를 홍보하고 우수한 진도개의 보급 확대하기위해 진도아리랑축제(매년 11월초) 기간에 전국품평회를 개최한다.
5.5Km 2025-01-20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소포길 119-4
소포에는 많은 민속놀이와 전통민요가 지금까지 옛 모습 그대로 전승 보전되어 오고 있다. 거지 행세를 하며, 적군의 동태를 파악하여 우군에게 알려주어 승리를 하였다는 걸군농악, 아녀자들이 마음속에 담아두었던 한풀이를 베를 짜며 노래로 불렀던 베틀노래, 사주팔자에 명이 짧은 어린애의 수명이 길어지도록 기원한 명다리굿, 만선의 꿈을 안고 출항하여 고기잡이를 하면서 부르던 닻뱅노래 등이 있다. 진도의 특산품인 검정쌀을 이곳 소포리에서 최초로 재배하여 전국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오염되지 않은 갯벌에서는 뻘낙지와 청정해역 바다에서 모자반과 김을 비롯하여 친환경 재배로 생산되는 진도 대파, 월동배추 등이 유명한 지역이다.
5.8Km 2024-05-31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매년 12월부터 이듬해 2월 사이의 겨울철이면 진도읍 수유리, 군내면 덕병리 해안일대와 둔전리 둔전저수지에 백조(고니와 큰고니, 천연기념물) 떼가 몰려와 장관을 이룬다. 이곳은 한국 남해안 지역에서 월동하는 고니류 집단의 일부에 불과하나, 한국의 서남부에 위치한 유일한 월동 둥지이며 또한 한반도 서남부해안을 거쳐 이동하는 고니 집단의 평화로운 휴식처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무분별한 간척 사업 등으로 습지가 사라지면서 매년 철새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6.0Km 2025-03-26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청룡안길 130-12
오독오독 씹히는 간재미회에 인정까지 버무려 주는 사람들 간재미가 맛있는 고장이라면 단연 진도를 꼽는데, 그중에서도 간재미가 많이 나는 곳이 바로 청룡마을이다. 이 조그마한 포구는 간재미며 각종 생선을 낚아올리는 전형적인 어촌으로 간조시 노출되는 넓은 간석지에서 바지락 및 고둥 캐기와 진도만의 개매기 체험을 통해 각종 어류를 잡는 체험을 즐길 수 있다.
6.1Km 2025-03-28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서부해안로 411
쉬미항은 봄철 유채꽃과 목련이 아름다운 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한적하고 조용하여 부둣가에서 사색을 하기에도 좋다. 진도의 항구 중 주변 부속 섬으로 정기선이 다니는 곳은 진도항과 쉬미항이 있다. 진도항 다음으로 큰 항구가 바로 쉬미항이다. 쉬미항은 주로 진도의 북서쪽 섬들을 연결하는 포구로, 가까운 섬 중에는 가사도를 중심으로 다수의 섬들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진도유람선이 출항하면서 이전보다 더 붐비는 포구가 되었다. 진도유람선의 운항 경로는 저도 → 광대도 → 송도 → 혈도(구멍섬) → 주지도(손가락섬) → 양덕도(발가락섬) → 방구도(방귀섬)을 돌아 다시 쉬미항으로 도착한다.
6.3Km 2024-08-30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금골길
금골산(해발 193m)은 "진도의 금강"이라고 불리는 명산으로 기암절벽으로 이루어진 산에 세 개의 굴이 있고 5층석탑(보물)과 산 중턱의 굴에 마애여래좌상(전남 문화재자료)이 음각되어 있으며 해언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한다. 1498년 정언벼슬을 지낸 이주(李胄)가 무오사화 때 이곳에 유배되어 금골산의 아름다움에 감탄, 『금골산록』을 지어 서거정의 동문선에 실려 오늘에 전해오고 있다.
* 금골산 5층석탑
군내면 금성초등학교 교정 안에 위치하고 있는 석탑으로 고려 때 이곳에 해원사(또는 해언사)라고 부르는 절이 있었다고 전해지나, 현재는 이곳 산 언덕에서 약 200m 떨어진 산골에 해언사가 복원되어 있다. 교정에 절이 있었다는 증거로는 석탑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학교교지 정리 중 웅장한 석재며, 초석, 옥돌 흔적 등의 출토로도 알 수 있다.
* 금골산 마애여래좌상
금골산 산중턱에는 배꼽 부분이 깊게 패인자국이 남아있는 마애여래좌상이 있는데 이 조각상에는 욕심을 부려서는 안 된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6.8Km 2024-05-28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하미길 39
진도읍에서 서남쪽 방면에 위치한 남진 미술관은 서예가 장전 하남호 선생이 개인 재산을 들여 건립한 미술관이다. 1989년 11월 29일 800여 평의 대지 위에 지상 3층에 5개 전시관으로 구성된 미술관을 건립하였다. ‘남진’이라는 명칭은 장전 선생의 이름 가운데 자인 ‘남’ 자와 부인의 이름 ‘진’자를 합하여 지은 것이다. 5개의 전시관에 한국화, 서양화, 서예, 조각 등 각 분야에 걸쳐 현대 원로작가, 조선시대 이후 작고한 원로작가, 원로작가의 대형 작품, 고려청자, 이조백자 등이 주제별로 나뉘어 전시되어 있다. 새로운 전시 기획으로 인해 현재 휴관중이며 자세한 사항은 진도군청에 문의하면 된다.
7.1Km 2024-08-19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만길안길 51-17
0507-1470-7587
진도하루는 전라남도 진도군 만길리에 위치한 조용한 펜션이다. 독채로 구성되었고 전 객실에 개별 자쿠지와 바베큐장이 있으며, 포근한 침구류, 스탠바이미 등을 갖춰 숙박의 편안함을 더했다.숙소 안 예쁜 천장으로 일출과 일몰의 아름다움도 감상할 수 있다. 조식으로 빵, 주스, 샐러드, 요거트, 크림치즈 등을 무료로 제공하고, 저녁엔 호스트가 직접 조리한 야식(민어전, 육전, 꽃게탕)을 판매한다. 노래방은 유료로 이용 가능하다.
7.3Km 2024-10-17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용장산성길 92
진도의 용장성은 삼별초가 진도에 설치한 대표적인 항몽 시설이다. 산성은 진도 북쪽 해안의 산 능선에 있으며 북쪽 해안에는 진도의 관문인 벽파진이 있는데 울돌목으로 이어지는 조운로의 길목이기도 하다. 배중손을 지도자로 한 삼별초는 왕족인 승화후 왕온을 새 왕으로 받들고 관부를 구성하고 관리를 임명하여 몽고에게 항복한 고려 조정에 대립, 정권을 세웠다. 1,000여 척의 배에 재물과 인원 등을 싣고 진도 벽파진에 도착, 용장성에 터를 잡은 후 산성을 개축하고 성안의 용장사를 궁궐로 삼고 각종 건물을 지어 왕을 황제로 칭하였다. 2009년~2010년에 진행된 궁궐터 전면 조사를 통해 20여 채 이상의 건물이 치밀하게 배치되었는데, 마치 개경 만월대를 연상시키는 구조여서 계획하에 궁궐이 조성되었다고 보인다. 현재 성의 대부분은 원형이 사라진 상태이며, 성지가 부분적으로 남아 있고 성내의 용장사지 및 행궁지가 보존되고 있다. 주변에 용장성 홍보관과 고려항몽충혼탑과 배중손을 모시는 정충사가 있어 연계하여 방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