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산해변바다정원캠핑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덕산해변바다정원캠핑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덕산해변바다정원캠핑장

덕산해변바다정원캠핑장

19.5Km    2025-06-26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해변길 82

덕산해변바다정원캠핑장은 강원도 삼척시 덕산해변 초입에 새롭게 조성된 캠핑장이다. 덕산해변 캠핑장으로 사용되다가 시설을 대폭 확충, 개선해서 새롭게 개장했다. 일반야영장과 오토캠핑장, 캐러밴이 함께 있는 종합캠핑장으로 미니스톱 편의점이 캠핑장 입구에 있다. 오토캠핑장에는 5 × 3.5m 크기의 큼직한 데크가 설치되어 있고, 전기, 샤워/화장실, 개수대가 완비되어 있다. 미니스톱 편의점에는 캠핑이나 해변휴양에 필요한 모든 물품이 구비되어 있다. 캠핑장에서 위로는 강 건너로 맹방해수욕장이 바라다 보이고, 바로 길 건너에 덕산해수욕장이 펼쳐져 있다.

근덕교가시장 (1, 6일)

근덕교가시장 (1, 6일)

19.6Km    2025-03-25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교가길 19
033-572-3011~3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의 근덕교가시장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수산물을 농어민이 판매하고 있는 자연발생적으로 조성된 시장으로 상설 점포보다는 노점이 주를 이루는 시장이다. 근덕 주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소규모 시장이다. 매월 1일과 6일에 장이 선다. 농산물과 수산물을 비롯하여 각종 잡화류도 판매하고 있다. 작지만 알차게 쇼핑할 수 있는 시장이다.

구수곡자연휴양림

구수곡자연휴양림

19.6Km    2025-03-19

경상북도 울진군 십이령로 2721 구수곡자연휴양림

구수곡(九水谷)은 매봉산 분수령을 따라 모여든 아홉 계곡물이 한 계곡으로 합수된 계곡을 구수계곡(九水溪谷)이라 부른다. 옛날 전설에 의하면 봉화 사람이 덕구온천 원탕에 갔다가 매봉산 분수령을 따라 길을 걷는 도중 길을 잃고 말았다. 그러나 이곳의 경관이 좋아 머루, 다래를 따 먹으며 세월을 보내다 갔다는 말이 구전되고 있다. 구수계곡은 10㎞에 달하는 처녀계곡으로 금강송, 박달나무 군락지 등 희귀 수목이 생립하고, 천연기념물인 산양 등이 서식하며, 수원이 풍부하고 18개의 소(沼)와 10개 폭포가 있으며 두 계곡의 종점에는 2개의 폭포가 신비의 극치를 더하고 있다. 더구나 7번 국도와 청정 동해 등이 가까이 있어 온천욕, 해수욕, 산림욕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휴양 관광지로 주목받고 있다.

덕봉산 해안생태탐방로

덕봉산 해안생태탐방로

19.8Km    2025-06-05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

‘해동여지도’와 ‘대동여지도’ 기록을 통해 본래 섬이었다가 후에 육지와 연결되었음을 알 수 있는 덕봉산은 산모양이 물독과 흡사하여 ‘더멍산’이라고 불렸다고 전해진다. 군 경계 철책을 철거와 함께 해안생태탐방로가 개방되면서 53년 만에 숨겨진 비경이 공개되었다. 대나무 숲이 우거진 산책로를 따라 전망대로 올라가는 내륙코스(317m)와 해상 기암괴석을 감상할 수 있는 해안코스(626m)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책로를 따라 정상에 오르면 상쾌한 해풍과 함께 탁 트인 바다 풍경과 맹방해변, 덕산해변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출처 : 삼척 문화관광)

맹방비치캠핑장

맹방비치캠핑장

19.9Km    2024-07-30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맹방해변로 140

맹방비치캠핑장은 강원도 지역 동해 해변에서 가장 긴 백사장을 보유하고 있는 맹방해수욕장 바로 옆 해송숲에 조성된 국민여가 캠핑장이다. 해송을 훼손하지 않고 친환경 건축공법을 이용해 자연 그대로를 보존하면서도 캠핑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하는 곳으로 공공 캠핑장의 모범사례로 알려져 있다. 맹방비치캠핑장은 스마트 캠핑 시스템을 도입하여 출입관리에서부터 화장실 등 편의시설 이용까지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곳에서는 주차장 및 화장실을 이용하는 전용키를 발급받아야 한다. 캠핑장에서 해변 쪽 이면도로를 건너면 바로 해수욕장이고 오른편으로는 마읍천이 흘러 민물과 바다를 함께 즐길 수 있다.

삼척 신리 너와집과 민속유물

삼척 신리 너와집과 민속유물

19.9Km    2024-12-09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문의재로 1223-9

신리에 위치한 너와집 형태의 주택과 이들 집에 딸린 민속유물들로 구성된 곳이다. 너와집이란 지붕에 너와라는 특이한 재료로 덮은 집을 말하는데, 너와는 붉은 소나무를 잘라서 도끼로 쪼갠 작은 널빤지를 이른다. 이 집들은 우리나라 산간지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옥이며, 평면 구성은 함경도 지방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겹집 양식을 보이고 있는데 한 용마루 아래 방이 두 줄로 배치된 집을 말한다. 이곳에는 국유의 너와집 2개 동과 이들 집에 딸린 통방아·채독·김치독·화티·설피·창, 윤영원[尹永源] 소유의 물레방아, 김해명[金海明] 소유의 코쿨·주루막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1970년대 초까지 여러 종류의 집들이 있었으나, 대부분 개조되어 현재 문화재로 지정된 집만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개인 또는 나라 소유의 부속 문화재의 용도는 다음과 같다. 물레방아를 비롯해 통방아[곡식을 찧거나 가루를 내는 도구], 채독[채소나 곡식을 담아두는 흙으로 만든 원형 모양의 항아리로, 입구가 좁고 바닥이 넓다], 김치통[김치 등을 담아두던 나무로 만든 통], 설피[눈이 쌓였을 때 짚신 위에 덧신고 다니기 편리하게 만든 살피], 창[창살로 만든 문], 주루막[새끼 따위로 촘촘히 엮어 멜끈을 달아 물건을 나르는데 씀] 등이, 너와집과 함께 1975년 10월 21일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다. 이곳은 우리나라 산간지대의 전통적인 가옥과 민속유물들을 보존하고 있는 곳으로, 집의 발달과정과 민속문화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