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Km 2025-03-16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용화해변길 23
7번 국도변, 삼척에서 남쪽으로 24km 지점의 용화해변은 반달형 모양의 긴 백사장을 자랑하는 동해에서 유명한 피서지이다. 바닥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맑은 에메랄드빛 바다와 800여 미터가량 펼쳐진 고운 모래사장 그 옆에 펼쳐진 기암괴석 또한 장관이다. 이러한 용화해변을 품고 있는 마을이 용화마을이다. 아름다운 비경을 자랑하는 미항(美港)의 존재가 알려지고, 차별화된 어촌체험프로그램이 더해지면서 2000년대 들어 관광어촌으로 발전했다. 2010년에는 근덕면 궁촌리∼용화리 사이 5.4㎞ 바닷가에 해양레일바이크 시설이 설치되고 뒤이어 용화리∼장호리를 잇는 바다 위 874m에 ‘해상 케이블카’가 설치되면서 레일바이크를 타고 용화리 해변에 도착한 뒤 다시 해상 케이블카를 타고 장호항까지 바다 위를 건너는 이색관광이 소개되며 이를 체험하려는 관광객들이 더욱 많이 용화마을을 찾게 되었다. 용화어촌체험마을에서는 여름 레포츠인 스노클링과 투명카누를 체험할 수 있으며 서핑도 할 수 있다. 물놀이 후 용화마을을 둘러보는 것도 추천한다. 용화마을 담에는 벽화들이 그려져 있다. 해변의 모습과 용화마을의 모습이 벽화로 그려져 정겨움을 느끼게 한다. 용화해변 한편에는 해신당이 있어 1년에 한 번 굿을 하여 바닷가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행사가 열리기도 한다. 근처에 공양왕릉, 신리너와집, 신흥사, 초당굴등 관광지가 많아 함께 둘러볼만하다.
7.6Km 2025-03-19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 178-1
월천해수욕장은 삼척시에서 남쪽으로 약 40㎞ 떨어진 곳에 있는 원덕읍에 있는 해변으로, 강원도에서 제일 아래쪽인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다. 매년 여름에는 해수욕장으로 운영되며, 약 8,264㎡ 면적의 야영장도 개장하고 있다. 수려하고 아름다운 자연환경이 일품이기 때문에 굉장히 매력적인 해변으로 각광받고 있다. 해변 옆에는 월천유원지를 볼 수 있는데 캠핑 중심의 시설이 갖추어진 마을 관리 휴양지이다. 해변과 함께 관광하기 좋다.
7.7Km 2024-07-30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삼척로 2246
하쿠나마타타는 커피에 사용되는 시럽부터 시그니처 음료까지 직접 만들어 제공하고 있습니다.두 아이를 키우는 부부가 운영하는 작은카페로 반려견 동반이 가능한 카페입니다.아이가 아프거나 집안 사정으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마감 시간은 문의해 주세요.
7.8Km 2024-06-05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용화리
용화해변은 삼척시 근덕면에 위치한 작은 해수욕장이다. 삼척 시내에서 남쪽으로 24km 정도의 거리에 위치하며, 옆으로는 용화천이 흐르고 뒤편으로는 송림이 우거져 있다. 반달형의 아름다운 해안선은 기암괴석과 함께 장관을 이룬다. 해변 자체는 수심 1~1.5m, 백사장 길이 1km 정도로 크지 않으며, 마을 쪽으로 깊숙이 들어와 있어 파도도 높지 않아 아이들이 뛰어놀기에 좋고, 해변 가운데로 시냇물이 흐르고 있어 담수욕도 함께 즐길 수 있다. 해수욕장 개장 기간에는 스노클링, 바나나 보트 등 해상 레저를 즐길 수 있다. 주변에 각종 편의 시설과 민박, 횟집들이 많이 모여있어 이용하기에 편리하다. 용화해변 주변으로 즐길 거리가 많다. 해양 레일바이크가 이곳에서 출발하며, 삼척해상케이블카도 탈 수 있다. 전망대도 있어 용화해변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다.
7.9Km 2024-08-19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용화길 27-34
010-9104-4623
코아페바다펜션은 강원도 삼척 용화해수욕장 바로 앞에 자리한다. 객실은 1층과 2층은 원룸형, 3층은 복층형으로, 복층형 객실에는 스파가 있다. 전 객실 호텔급 구스 침구를 사용해 안락한 휴식을 선사한다. 1층 카페에서는 안내와 함께 웰컴티를 제공하고, 구명조끼와 튜브를 대여해준다. 탈수기과 건조대가 있어 수영복 등을 건조하기에 좋다. 바비큐는 실외 바비큐장 또는 실내 자이글일 이용하면 된다. 인근에 장호항, 삼척레일바이크탑승장이 있다.
8.0Km 2023-12-07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용화길 27-66 W펜션
033-574-4343
더블유펜션은 강원도 삼척 용화해수욕장 앞에 위치한 숙소로, 6개의 스위트룸과 9개의 디럭스룸으로 구성되어 있다. 깔끔한 객실에서 오션뷰를 감상할 수 있다. 1층에 공동바비큐장이 있고, 넓은 주차장이 있어 차량 이용에 편리하며, 도보 2분 거리에 해수욕장이 있다. 주변 관광지로 해양레일바이크, 해상케이블카, 용굴 촛대바위 등이 있다.
9.5Km 2025-03-27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덕읍 고포월천길 87
고포마을은 경상도의 가장 북쪽 마을이자 강원도 동해안의 가장 남쪽 마을이기도 하다. 전체 20여 가구밖에 되지 않는 동네 하나가 두 개의 도에 걸쳐 있는 것이다. 즉, 동네의 한복판을 흐르는 작은 개울을 경계로 해서 북쪽은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 2리이고, 남쪽은 경북 울진군 북면 나곡 6리이다. 그러나 주민들 간에는 같은 마을 사람이라는 유대감과 공동체 의식을 갖고 있다. 예컨대 월천 2리에 하나뿐인 포구를 나곡 6리 주민들도 아무 거리낌 없이 이용하고, 월천 2리에 사는 사람들의 농토는 대부분 나곡 6리에 몰려 있다. 서로 말씨나 풍속도 똑같을 뿐만 아니라 마을 잔치를 열거나 미역을 채취하는 따위의 공동작업도 도(道)의 구분 없이 전체 주민들이 함께 참여한다. 이곳은 원래 돌미역의 생산지로 유명하다. 고포미역은 임금께도 진상했던 명품이다. 이곳 바다는 수심이 얕고 물빛이 맑아서 햇빛이 물속 깊숙이 비춘다. 게다가 동해안에서는 조류가 가장 빨라서 양질의 돌미역이 자랄 수 있는 천혜의 조건을 갖추었다는 것이다.
9.8Km 2025-03-11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초곡길 176
황영조 기념공원은 1992년 제25회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라톤 경기에서 우승한 삼척 출신의 황영조 선수를 기념하기 위해 그의 고향 초곡리에 조성되었다. 황영조의 인간승리의 과정과 우승의 감격을 기리고, 청소년들에게는 용기와 꿈을 심어주기 위하여 조성한 기념공원이다. 기념관과 기념탑 등이 들어서 있으며, 이 중 기념관은 건축면적 987㎡, 지하 1층~지상 3층으로 건립되었다. 초곡리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공원에는 황영조 선수의 동상과 시상대, 생가 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매년 기념으로 삼척에서 마라톤 대회가 열리고 있다. 20분 정도면 충분히 둘러볼 수 있어 짧은 관광코스로 적합하며 동해대로를 빠져나와 초곡마을로 내려가는 2차선 도로변에 위치해 있어 드라이브하기도 좋다. 기념관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1층 제1전시실은 황영조 선수가 올림픽을 제패하기까지의 성장과정과 훈련과정 등을 소개하는 각종 사진 자료가 전시되어 있고, 제2전시실은 올림픽 우승 당시의 기념사진과 각종 마라톤대회 참가 사진·물품·영상물이 있다. 2층은 기념품 판매장으로 역대 올림픽 포스터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3층은 휴게실이다.
9.8Km 2024-06-18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초곡길 176
초곡항 근처에 자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마라톤 선수인 황영조를 기념하는 기념관이다. 드넓은 동해와 마주한 포구 초곡리는 황영조선수가 나고 자란 고향이다. 그 마을 언덕배기, 바다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곳에 황영조 기념관이 자리 잡고 있다. 이 기념관은 1992년 제25회 스페인 바르셀로나올림픽 마라톤을 제패한 황영조선수의 인간승리 과정과 그 전후 이야기를 전시하여 청소년들에게 용기를 심어주기 위해 조성되었다. 기념관은 지하 1층~지상 3층의 건물이다. 1층 제1전시실은 황영조 선수가 올림픽을 제패하기까지의 성장과정과 훈련과정 등을 소개하는 각종 사진 자료들이 전시돼 있으며, 제2전시실은 올림픽 우승 당시의 기념사진과 각종 마라톤대회 참가 사진·물품·영상물이 전시되고 있고 기념품 판매장이 있다. 3층은 휴게실이다. 기념관이 있는 황영조기념공원에는 황영조 선수의 동상과 시상대, 생가 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매년 기념으로 삼척에서 마라톤 대회가 열리고 있다. 20분 정도면 충분히 둘러볼 수 있어 짧은 여행코스로도 적합하다. 동해대로를 빠져나와 초곡마을로 내려가는 2차선 도로변에 위치해 있어 바다 전망을 바라보며 드라이브를 하기에도 좋은 장소이다.
10.0Km 2025-03-21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궁촌길 1162
명종 22년에 사명대사가 궁방사와 다소 거리가 있는 현위치에 절을 옮겨지어 운망사[雲望寺]라 하였다가 임진왜란으로 전소되자, 인조 19년 벽봉 스님이 중건하고 절 이름을 영은사로 바꾸었다. 그 후 순조 5년 봄에 화재로 인해 대웅보존을 비롯한 10여동의 건물이 전소되어 다음해에 당시 삼척 부사 심공저의 지원을 받아 중건하였다. 순조 10년에 학송스님이 석가여래삼존불을 봉안하였으며, 철종 6년 서암스님이 괘불을 조성하였다. 그 뒤 고종 1년에는 심검당을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의 영은사는 대웅보전을 위시하여 팔상전, 심검당과 설선당, 삼성각, 칠성각, 요사채 등의 건물들과 괘불, 부도 및 비 등의 많은 문화유산이 남아 있으며, 산내 암자로는 대원암·삼성암 등이 있다. (출처 : 삼척시청 문화관광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