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Km 2025-07-31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중앙로 218 이레한우
예원은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죽변리에 있는 중화 요릿집이다. 오래전부터 현지인들이 손에 꼽는 맛집이었고 이어 여행자들에게 알려지면서 전국적인 맛집으로 거듭났다. 대표 메뉴는 쟁반짜장의 일종인 해물 수사 짜장이다. 이 밖에 갖가지 해산물을 넣은 죽변 짬뽕을 비롯해 대게살 멘보샤, 탕수육, 삼선볶음밥, 문어 다리 해물짬뽕 등을 맛볼 수 있다. 울진종합버스터미널로부터 13㎞가량 떨어져 있다. 인근에는 죽변등대공원, 죽변항, 봉평해수욕장이 있어 연계 관광이 손쉽다.
18.7Km 2025-03-13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죽변중앙로 235-8
죽변해안스카이레일은 죽변 승하차장과 봉수항을 오가는 2.8㎞의 코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동으로 움직이는 모노레일로 여유롭게 멋진 자연경관을 관람할 수 있다. 또한 푸른 산과 마음이 뻥 뚫리는 동해 바다를 한눈에 볼 수 있어 마음의 평온을 찾을 수 있다. 사계절 색다른 풍경과 절경이 펼쳐지는 죽변해안스카이레일에서 잊지 못할 추억과 낭만을 만들어 볼 수 있다.
18.9Km 2024-04-29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등대길 52
울진 죽변등대는 울진지역에서 최초로 건립된 등대이다. 1907년 일본군이 러시아군의 침략을 감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프랑스인이 설계하였으며, 1910년 11월 24일 최초로 점등되었다. 한국전쟁 중 폭격으로 인해 등대 기능을 잃기도 했으나 1951년 10월 보수하였고, 이후 1970년 안개 시 보내는 소리 신호기를 설치하여 안개나 폭우 속에서도 선박의 항로를 인도할 수 있게 되었다. 등탑의 높이는 16m로 백색의 팔각형 콘크리트 구조로 되어 있으며, 불빛은 20초에 한번 반짝이며 약 37㎞까지 불빛이 전달된다. 통풍이 잘 되도록 창문의 위치를 각 층마다 다르게 설치하였다. 등탑 내부 천정에는 태극문양이 새겨져 있는데, 원래는 대한제국 황실의 상징인 오얏꽃 문양이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
19.0Km 2025-03-06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해양과학길 8
국립해양과학관은 2020년 7월 31일 개관한 곳으로 미지의 세계로 남은 바다의 신비를 흥미로운 전시물을 통해 만나는 공간이다. 국내 유일한 해양과학 전문 교육·전시·체험 기관이다. 393m에 이르는 국내 최장 해상 통로를 지나 바닷속 세상을 만나는 바닷속전망대, 다양한 심해어류 조형물을 전시한 잔디광장, 어린이 놀이 시설을 갖춘 해맞이공원도 휴식하기에 좋다.
19.0Km 2025-07-24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용화리
일월산 자생화공원 뒤에는 콘크리트가 풍화되어 흙빛을 내는 15층 높이의 계단식 사다리꼴 모양 콘크리트 구조물이 산에 파묻힌 듯 산의 일부로 남아 있다. 이 시설물은 1939년 일본 광업 주식회사에서 광물 수탈을 목적으로 건설한 광산 시설이다. 일월산에서 채굴한 광석을 이곳 선광장으로 운반하여 유용 광물인 금, 은, 동, 아연 등을 생산하였다. 부지 전체에 유기적인 시설물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각 시설물이 일월산 자락을 따라 계단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근대기의 산업 시설로 광산 시설 중 흔치 않으며 당시 선광장의 공정 과정과 근대 광업 발달사의 일면을 보여 주는 자료로 가치가 있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영양군에서는 2001년도에 폐광 지역 토양오염 방지사업의 일환으로 오염원을 완전히 밀봉하고 매립한 후 이 일대를 공원 부지로 조성하였다. 또한 2004년도에는 각종 편의 시설을 설치하고 일월산에서 자생하는 야생화 113,000본 (64종), 수생 식물 6,000본 (11종)을 식재하여 전국 최대 규모의 야생화 공원을 조성하여 관광자원으로 관리하고 있다. 주변 환경이 정비되고 일월산 자생화공원이 조성되어 있어 이곳 문화재 답사를 위한 학생들과 관광객들에게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19.0Km 2025-07-14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등대길 74-14
SBS 드라마 ‘폭풍 속으로’는 고기잡이 아버지 밑에서 자란 두 아들에게 다가온 운명적인 사랑과 파란만장한 삶을 그린 드라마로 울진 죽변리 일대에서 촬영이 이루어졌다. 동해안의 한적한 마을이었던 죽변면은 드라마 ‘폭풍 속으로’의 촬영지로 알려지면서 관광객들이 찾는 관광명소로 자리 잡았다. 이곳 드라마 세트장은 자연과 어우러진 경관이 아름다워 드라마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도 아름다운 풍경을 보기 위해 이곳을 찾는다. 촬영지 내에는 동해와 어우러진 빼어난 비경을 보여주는 주인공의 집을 포함하여 교회, 용의 꿈길(해안데크), 전망대 등이 있다. 근처에 있는 대나무 숲과 죽변 등대, 넓게 탁 트인 동해바다와 어우러진 한 폭의 그림 같은 주인공의 집은 이곳의 최고의 비경이라 할 수 있다.
19.0Km 2025-03-14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등대길 74-14
집 뒤편에서 절벽 아래를 내려다보면 잘게 부서지는 하얀 파도가 둥그런 반원의 띠를 두르며 끊임없이 그려내는 하트해변을 발견할 수 있다. 그래서인지 멀리 내려다보이는 바다와 바위가 두렵고 아찔하기보다 낭만적이다. 울진의 하트해변은 2004년 SBS에서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로 방영된 <폭풍 속으로> 촬영지이기도 하다. 드라마의 세트장 뒤에 하트 모양의 해변이 있다.
19.0Km 2025-07-25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용화리
경상북도 영양군의 최고봉인 일월산 자락에 조성된 자생화 공원으로, 일월산과 그 주변에 자생하는 우리 꽃으로 꾸며져 있다. 2004년 7월 16일 개원하였으며, 면적은 18만 99㎡이다. 하늘매발톱, 할미꽃, 쑥부쟁이, 동자꽃, 층꽃 등의 야생화 64종, 11만 3,000본이 식재되어 있, 공원 내에 조성한 약 330㎡ 크기의 인공연못과 수로에는 연꽃, 수련, 노란꽃창포 등의 수생 및 수변식물 11종, 6,000본이 식재되어 있다. 공원 주변은 소나무, 느티나무, 화살나무 등 향토수종 1만 1,000본을 심어 조경하였다. 그밖에 전망데크, 정자 등의 편의 시설과 면적 1,742㎡의 주차장 시설이 마련되어 있으며 영양군 출신의 청록파 시인 조지훈의 시비와 장승, 솟대 등의 조형물도 볼 수 있다. 공원 부지는 일제강점기 때 일제가 광물 수탈 목적으로 만든 제련소와 선광장이 있던 자리이다. 1939년부터 일제는 현재의 공원 건너편 일월산에서 채굴한 광석을 이곳으로 운반하여 유용광물인 금, 은, 동, 아연을 선별하고 제련하였다. 당시 제련소의 종업원 수가 500여 명에 달했고 인근 주민 1,200명이 거주하였으며 그때부터 전기가 공급되었다 한다. 광복 후에도 광산은 계속 운영되었으나 채산성이 떨어져 1976년 폐광이 되었는데 공원 일대는 금속 제련 과정에서 사용한 화학성 독성물질과 폐광석 등으로 토양오염이 심해져 풀 한 포기 자랄 수 없고 오염된 침출수로 인해 계곡에도 물고기가 살지 못한 채 30년간 방치되어 있었다. 영양군은 2001년에 32억 원을 투자하여 오염원을 완전히 밀봉하여 매립한 후 공원부지로 지정하였고 2004년에 8억 원을 투자하여 공원을 조성하였다. 지금도 공원 뒤쪽으로 선광장의 흔적이 남아 있다.
19.1Km 2024-01-22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죽변2길 (107, 시민닭갈비)
울진의 한적한 곳에 위치하여 주차공간이 넓다.울진의 현지인 맛집으로 유명해 여행객보다 현지인이 많다. 메뉴는 간단하게 춘천 닭갈비와 매운맛을 선호하는 고객들을 위해 매운닭갈비가 따로 있다. 가족외식하기 좋은 곳이다. 직접 처음부터 끝까지 구워주어 편하고 맛있게 음식을 먹을 수 있다.
19.1Km 2024-06-11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후정2길 72
1989년 해수욕장으로 처음 문을 연 후정해수욕장은 경사가 완만하며 깨끗하고 맑은 바닷물과 잔잔한 파도로 유명하다. 해안선을 따라 펼쳐진 백사장과 소나무 숲이 어우러져 시원함을 더해 주고 있다. 매년 7월 중순부터 8월 말까지 해수욕장을 개장하고 있으며, 백사장의 길이는 300m이며 수심은 1~2m로 얕은 편이다. 편의 시설로는 화장실, 샤워장, 식당, 매점, 방갈로 등을 갖추고 있다. 주변 관광지로는 신선한 회를 맛볼 수 있는 죽변항, 덕구온천, 망양정, 봉평해수욕장, 덕구계곡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