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일의병기념공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항일의병기념공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항일의병기념공원

0m    1029     2023-03-07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청송로 4123

청송에서 가장 활발히 전개된 의병활동을 상세히 기록하여 잊혀져가는 우리의 민족정신과 역사를 알리고자 구한말 화전등 전투가 이루어진 자리에 항일의병기념공원을 조성하였다. 공원내에는 항일 의병기념관을 건립하여 나라와 겨레를 지키기 위해 스스로 민병이 되어 목숨을 바친 의병들의 참뜻과 정신문화가 전해질 수 있도록 역사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창양동 후송당

10.2 Km    17555     2023-04-23

경상북도 청송군 현동면 청송로 2587-13

이 가옥은 현 소유주 조창래의 조부인 후송(后松) 조용정(趙鏞正)이 건립하였다. 일자형의 안채와 ㄴ자형의 중문간채 그리고 ㄴ자형의 사랑채가 안마당을 감싸고 있어 전체적으로 보아 튼 ㅁ자형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안채는 1947년에 세운 건물로 우측부의 부엌을 제외한 각면에 툇마루를 돌렸으며 네모기둥을 세운 5량 가구의 팔작집이다. 사랑채는 1935년에 세운 건물로 앞면 툇기둥만은 둥근 기둥을 세웠다. 짧은 누하주를 세우고 난간을 설치하여 누집 모양으로 꾸몄으며, 후송헌이라 쓴 현판이 걸려있다. 이 밖에 행랑채, 곡간째, 창고 등이 있는데 행랑채의 대문간은 솟을지붕으로 처리하였다. 50칸이 넘는 큰 규모의 주택으로 각 건물의 배치 관계가 좋고 비교적 간소한 외관을 보여주고 있다.

중평솔밭

중평솔밭

10.4 Km    20394     2023-03-22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중평리 34

파천면 중평리 입구에 위치한 3천여평의 소나무 숲으로 수령 200여년의 소나무 80여그루가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는 곳이다.지반 정비가 잘 되어 있고 주변에 맑은 강이 있어 텐트를 이용하여 가족들과 함께 물고기를 잡으며 휴가철을 보내기에 적격이다.

주산지(청송 국가지질공원)

주산지(청송 국가지질공원)

10.4 Km    150337     2024-03-18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주산지리

주산지는 1720년 8월 조선조 경종 원년에 착공하여 그 이듬해 10월에 준공한 저수지다. 길이는 200m이고 평균수심이 약 8m인 주산지는 준공 이후 현재까지 아무리 오랜 가뭄에도 물이 말라 밑바닥이 드러난 적이 한 번도 없다. 주산지에는 뜨거운 화산재가 엉겨 붙어 만들어진 용결 응회암이라는 치밀하고 단단한 암석이 아래에 있고, 그 위로 비용결 응회암과 퇴적암이 쌓여 전체적으로 큰 그릇과 같은 지형을 이루고 있다. 비가 오면 비응결 응회암과 퇴적암층에서 스펀지처럼 물을 머금고 있다가 조금씩 물을 흘려보내기 때문에 이처럼 풍부한 수량을 유지할 수 있었다. 특히 주산지에는 150여 년이나 묵은 왕버들이 자생하고 있는데, 그 풍치가 아름다워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는 명소다. 암석, 물, 나무가 어우러져 사계절 다른 풍광을 선보이는 주산지는 2013년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될 정도로 가치가 매우 높은 자연유산이다. (출처 : 청송 국가지질공원)

사양서원

사양서원

10.8 Km    17420     2023-03-27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중평병부길 50-81

사양서원은 평산신씨 영해파 시조인 신현(申賢)을 주벽 (主壁)으로, 그의 아들 신용희(申用羲)와 원천석(元天錫)를 배향하고 있다. 1888년(고종 25)에 충청남도 논산군 두마면 용동 계룡산 아래에 있는 묵방리에 전국 사림의 공의로 화해사(華海祠)를 창건하여 신현(申賢), 신용희(申用羲), 정몽주(鄭夢周)를 배향하였다. 농지개혁 당시 서원의 땅이 분배되면서 사당의 유지관리책이 막연한 형편이 되자, 1966년에 종택이 있는 현 위치로 이건 봉안하였으며 문인 원천석(元天錫)을 봉안하였다. 사양이라함은 사천의 양지쪽을 뜻함에 있으며, 매년 음력 3월 15일 향사를 지낸다. 사양서원내의 화해사의 편액은 백범 김구 선생의 친필이다

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과 분가 고택

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과 분가 고택

11.0 Km    19488     2023-04-28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중들2길 16

이 집은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으로 27세 신한태(申漢泰, 1663~1719) 가 조선 숙종(潚宗)때 건축한 건물이다. 마을의 얕은 야산을 등지고 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는 이집은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안채와의 사이에 넓은 사랑마당이 있고 이 마당의 우측에 새 사랑채가 따로 서 있다. 안채 뒤 오른편 언덕위에 사당이 있고 안채좌측 뒤편에 남향하여 영정각과 서당이 나란히 배치되어 조선시대 사대부 저택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이 집의 안채는 정면 7칸, 양측면 5칸, 후면 5칸이며, '口'자의 정면에 좌.우 날개가 한 칸씩 돌출되어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정면 7칸 중 가운데 칸에 중문을 두었고 우측에 사랑방과 마루방으로 사랑채를 설치하였으며 사랑방 뒤쪽으로 중방을 두어 안마당과 통하도록 되어 있다.

청송 사남고택

청송 사남고택

11.0 Km    17664     2023-04-14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중들2길 26

이 집은 연화봉의 나지막한 산자락 아래 남향하여 자리잡고 있는 'ㅁ'자형 건물로서 평산신씨(平山申氏) 판사공파 시조 순의 19세손인 신치학(申致鶴)이 1780년경에 건축하였다.고택의 우측에 있는 서벽고택(棲碧古宅), 평산신씨종택 등과 동년대에 건립된 것으로 비교적 큰 건물이다. 사랑채는 기단을 높게 조성하여 누처럼 보이게 하였고 팔작지붕을 높지막하게 올려 마치 독립된 별동의 건물과 같은 느낌을 주게 하는 일반살림집으로는 특이한 구조이다.

서벽고택

서벽고택

11.0 Km    18190     2023-12-08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중들2길 22-2

청송군 파천면 중평리에 있는 조선시대 가옥인 서벽고택은 고려시대 개국공신 장절공 신숭겸의 31세손이며 판사공 휘현의 14세손 신한창이 분가하면서 지은 5칸 규모의 세간 집이었다. 그 후 1739년에 증손 신치구가 확장, 증축하고 신한창의 호 서벽을 따서 집의 이름을 붙였다. 건물은 정면 6칸, 측면 4칸 규모의 홑처마 정자지붕집이며 대문채와 안채, 동익사, 서익사가 맞붙어 있는데 안채의 2칸은 대청으로 꾸며 놓았고, 자연석 기단 위에 세운 납도리 3량가이다. 고택은 공간의 활용도와 구성에서 소박한 선비의 단아한 성품이 엿보이는 가옥이다. 이곳은 청송 슬로시티로 지정된 평산 신씨의 집성촌으로 사남고택과 서벽고택, 사양서원 등이 있는 청송의 유서 깊은 마을로 중평선비마을이라고도 부르며 마을 입구에는 중평솔밭이 있다.

청송오토캠핑장

청송오토캠핑장

11.2 Km    0     2024-05-20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얼음골로 690

청송 오토캠핑장은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에 위치해 있다.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캠핑장 앞으로는 구천 저수지가 있어 경관이 화려하다. 기존에 운영하던 캠핑장에 글램핑 14개 동을 새롭게 들인 곳이다. 객실 내부는 침대, 침구류, 소파, TV, 냉장고, 에어컨, 식기류, 취사도구, 개수대, 화장실, 샤워실 등 일상생활에 불편함 없이 꾸며 놓았다. 캠핑장은 52면으로, 바닥 형태는 파쇄석 9면과 데크 43면으로 이뤄졌다. 화장실과 샤워장은 남녀를 구분해 각각 4개소와 2개소가 있으며, 개수대는 어디서든 접근하기 쉽게 4개소를 마련했다.

절골협곡 (청송 국가지질공원)

11.7 Km    35175     2023-12-14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주산지리 산124

절골 협곡은 주왕산-가메봉-왕거암 능선 남동쪽 절골탐방지원센터에서 대문다리까지 약 5km구간(직선거리 약 3km)으로 매우 아름다운 경치를 자랑한다. 계곡은 응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응회암은 고온으로 분출되어 흐르면서 쌓인 회류응회암으로 뜨거운 화산재와 부석들이 서로 엉겨붙어 만들어진 용결응회암이다. 용결작용을 겪은 응회암은 식으면서 부피가 줄어들어 수직방향으로 틈이 많이 발달하게 되었고, 이 틈들을 따라 암석들이 떨어져 나가면서 깍아지르는 수직절벽들이 병풍처럼 펼쳐있는 긴 협곡을 형성했다. 절골 협곡에서는 피아메 구조가 잘 발달하여 화산분출지를 계산할 수 있는 중요한 증거들을 수집할 수 있다. 절골 협곡은 인공시설물을 최소화한 친환경적 탐방로로 관광객들은 여울을 따라 놓인 징검다리를 이용해 트레킹을 즐길 수 있다. 옛날 운수암이라는 절이 있어 절골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출처 : 청송 국가지질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