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5.0M 2024-06-03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현충로 106
054-870-6232
청송 오일장은 조선시대 청송 도호부 때부터 객사를 운영하면서 시장 형태로 이어오다 1920년대에 정기시장으로 발전하였다. 평상시에는 손님이 많지 않은 시골 장터에 불과하지만, 오일장이 서는 날이면 아침 일찍부터 상인들이 모여들어 청송의 특산물인 사과를 비롯해 고추, 된장 등 다양한 지역 농산물을 거래한다. 청송장은 매달 4일과 9일에 열리며 청송읍 내 한국통신 앞 도로변 시외버스터미널에서부터 200~300m 정도의 거리까지 장이 선다. 청송군에는 청송장 외에도 모두 여섯 군데의 오일장이 있다. 진보장(3, 8일), 부남장(3, 8일), 도평장(5, 10일), 안덕장(4, 9일), 화목장(현서장 1, 6일)이며, 이 가운데에서 청송장이 가장 규모가 크다.
987.0M 2025-03-14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중앙로 415
청송의 대표적인 먹거리 중의 하나가 바로 ‘달기약수닭백숙’이다. 철분 함량이 높은 청송 달기약수로 푹 곤 닭백숙은 위장병에 효험이 있다 하여 더 유명한데 그 맛도 일품이다. 지방 성분을 제거하는데 탁월하다는 달기약수 때문인지 육질에서 느껴지는 담백함도 대단하지만 미숫가루를 탄 듯한 연한 갈색의 국물이 아주 담백하고 구수하다. 주왕산을 오르는 여행객들이 ‘달기약수 닭백숙’을 두고 흔히 하는 말인 ‘주왕산도 식후경’이 떠오르는 곳이다.
1.3Km 2024-12-04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금곡리
청송 금곡리에 6·25 전쟁 등에서 전사한 346위의 청송군 출신 호국영령을 추모하기 위해 ‘충혼탑’을 건립하였다. 청송군은 이곳 출신 전몰용사들의 숭고한 애국심과 애향심을 후대에 널리 계승시키며 나아가 그들 유족들을 위로하기 위해 대한군경원호회의 후원을 받아 1959년 5월 1일 이 탑을 준공하였고, 2002년 1월 8일 다시 건립하였다. 6·25 전쟁 등에서 청송 군민은 고향을 지키기 위해 북한군의 침략에 맨주먹으로 맞섰으며, 많은 젊은이들이 1950년 6월 25일 남침 이후 3년간의 전쟁 동안 아군의 후퇴 및 방어, 반격 및 북진, 38선 인근의 고지쟁탈전, 빨치산 토벌작전 등에서 조국을 지키다 전사 또는 부상을 당하였다. 청송군에서는 매년 현충일에 이들의 추모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출처: 국가보훈부 현충시설정보서비스)
1.3Km 2025-01-03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논시골로 14
054-872-8881, 8882
청송 주왕산(周王山)과 더불어 달기약수탕을 끼고 있으며 온천지구 휴양단지 내 위치하고 있는 아늑하고 조용한 분위기의 음식점이다. 선조들의 지혜와 슬기를 이어받은 모방할 수 없는 맛과 영양, 건강만점의 오리요리는 타육류의 산성에 비해 알카리성 음식으로 현대병 여성미용 등에 탁월한 효과를 지녔다.
1.8Km 2024-07-03
경상북도 청송군 중앙로 526
신동양식당은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부곡리 소재 청송달기약수닭요리거리에 있다. KBS 2TV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생정보, SBS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방송 투데이 등 여러 방송에 소개된 바 있다. 깔끔한 외관과 인테리어로 이루어졌으며,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토종닭을 부위별로 요리한 토종닭 풀코스다. 이 밖에 토종닭달기약수백숙, 능이버섯백숙, 오리백숙, 오골계백숙 등이 준비되어 있다. 청송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외씨버선길1코스와 달기폭포가 있다.
1.9Km 2025-03-28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약수길 16
1.9Km 2025-03-31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약수길 18-1
1.9Km 2025-03-31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중앙로 542
1.9Km 2025-03-31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중앙로 542
054-873-2167
2.0Km 2024-12-17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약수길 24
054-873-2078
경상북도 청송군에 있는 부산식당은 기력 회복에 좋다고 알려진 음나무, 두충나무를 재료로 사용하며 백숙, 닭 불고기로 유명한 식당이다. 청송군 향토 음식 지킴이의 집으로 선정되었으며, 향토 음식 아카데미를 수료한 주인장이 운영하는 곳이기도 하다. 손님들의 취향에 맞는 인삼, 황기, 녹두, 대추, 찹쌀 등을 이용하여 요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