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암호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암호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도암호

도암호

17.7 Km    1     2023-12-18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수하리

도암호는 1990년 남한강 최상류인 송천을 막아 만든 도암댐의 건설로 생겨난 강원도 평창에 있는 인공호수이다. 수질오염 문제로 2001년 발전 기능이 중단된 상태이며 한국수력원자력공사의 수질 개선 사업이 점차 효능을 입증하며 개선되는 중이다. 도암호는 산과 산사이 계곡을 메우고 있는 형태로 산세와 어우러진 풍경이 매우 아름답다. 특히, 단풍이 드는 계절인 가을에는 올림픽 아리바우길 4코스의 중간 포인트로 인근 안반데기를 거쳐 도암호까지 드라이브나 트레킹을 즐기며 강원도의 자연을 오롯이 체험하기 좋다. 도암호를 가장 아름답게 감상할 수 있는 단아한 정자와 우뚝 서 있는 표지석이 고요한 도암호의 운치를 더한다.

정선아리랑제

정선아리랑제

17.8 Km    72651     2024-05-02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봉양리
033-560-3013

*하기 대표 먹거리 정보는 전년도(2023년) 축제 내용으로, 2024년도 먹거리 정보는 업데이트 중에 있습니다.*

정선아리랑의 전승과 보존을 목적으로 시작된 정선아리랑제는 정선아리랑 보유자의 공연을 비롯해 다양한 장르의 공연과 민속 시연·체험이 가능한 축제이다. 아리랑의 진면모와 현대적으로 해석된 아리랑의 새로운 모습을 보여준다.

운기석9020(운기석9020협동조합)

17.8 Km    0     2024-05-20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봉양5길 36

운기석9020은 우리나라 정선에서만 채광되는 천연광물질인 운기석을 활용한 쥬얼리, 생활용품, 인테리어 소품 등을 제작 판매 및 체험을 하는 곳이다.
운기석의 시작은 1990년 아버지께서 운영하시던 사업을 물려받아 순수 운기석만을 좋아하는 친구들과 2020년 관광두레 사업을 함께 하며 재시작되었다.
운기석은 수억 년 전 바다였던 정선 땅이 돌출하여 육지로 변하였고, 그 깊은 바닷속 이암과 해초 등이 오랜 세월 지나면서 우리 몸에 유익한 화석으로 뭉쳐 운기석이 되었다. 천혜의 아름다운 나무무늬와 게르마늄 및 미네랄 성분 등을 지닌 건강한 보석이다.
현재 정선만이 가질 수 있는 디자인을 담은 기념품과 체험을 개발 중이며, 향후 보유하고 있는 광산을 활용하여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통해 휴식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 체험 프로그램 : 운기석을 활용한 마스크스트랩, 팔찌, 목걸이 등 / 스스로 습도조절을 하는 아트액자 만들기

무릉계곡 힐링캠핑장

무릉계곡 힐링캠핑장

17.8 Km    10553     2024-06-03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삼화로 467

무릉계곡 명승지는 신선이 노닐었다는 일명 무릉도원이라 불리며 두타산과 청옥산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계곡으로 수많은 기암괴석과 절경들이 장관을 이루고 있어 마치 현존하는 선경에 와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태고의 신비와 전설 속에 무릉 계곡 명승지에는 복잡한 일상에서 벗어나 편안한 휴식을 누릴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캠프장이 있다. 캠프장은 제1힐링캠프장과 제2힐링캠프장으로 나누어져 있고 유료로 이용되나 이용 요금이 저렴하다. 캠핑을 하면서 계곡과 산이 주는 자연의 편안함 속에서 힐링을 경험할 수 있다. 두타산-청옥산으로 이어지는 무릉 계곡 명승지는 전국 트래킹 명소로 손꼽히는 곳이며 트래킹을 하면서 무릉 계곡, 금란전, 옥류동, 학소대, 관음폭포, 선녀탕, 배틀 바위 산성 길, 두타산 협곡 마천루 등을 볼 수 있다.

무릉계곡캠프장

무릉계곡캠프장

17.8 Km    2     2023-07-01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삼화로 467

강원도 동해 무릉계곡에 위치한 캠핑장이다. 캠핑 사이트 주변을 빼곡하게 둘러싼 나무들로 그야말로 숲속 캠핑을 즐기기에 제격이다. 무릉계곡은 일명 무릉도원이라 불리며 두타산과 청옥산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계곡으로 수많은 기암괴석과 절경들이 장관을 이루고 있어 마치 현존하는 선경에 와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자연이 주는 힐링을 충분히 만끽할 수 있다. 캠핑시설은 총 50여 개의 데크가 설치되어 있고 취사장, 화장실, 샤워장 등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상유재 [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상유재 [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8.0 Km    13447     2023-07-02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봉양3길 22-8
010-5377-1162

상유재는 정선에서 가장 오래된 한옥으로 강원도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600년이 넘은 돌담 옆 뽕나무는 천연기념물이다. 사랑채와 안채로 구성되어 있는데, 안채에는 주인이 기거한다. 객실마다 온돌과 욕실을 갖춰 편의성을 높였고, 여행과 동행한 일행에 좀 더 집중할 수 있도록 TV를 놓지 않았다. 정선 읍내에 위치하여 정선아리랑시장까지 도보 이동이 가능하다.

청정신흥마을

청정신흥마을

18.1 Km    2     2023-07-03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서동로 825-1

강원도 동해시 신흥동에 자리한 농촌체험휴양마을이다. 정선군에서 42번 국도를 통해 동해시로 넘어오면 제일 먼저 마주하는 산촌이기도 하다. 뒤에 백두대간 줄기가 뻗어 있고 앞에 신흥천이 흐르는 고즈넉한 마을에는 130여 가구가 감자와 콩을 농사지으며 살아간다. 마을 이름에 ‘청정’이 붙은 것은 마을 일대가 상수도 보호구역으로 개발 제한을 받는 대신 청정한 자연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을은 김장하기, 전통 장 담그기, 옛날 손두부 만들기 등의 음식 체험, ‘시골에서 하룻밤을’ 숙박 체험을 제공한다. 음식 만들기 체험은 마을을 둘러보고 음식을 직접 만든 뒤 완성품을 집에 가져가는 일정으로 진행된다. 주민들이 재배한 배추로 김장을 하거나, 마을 특산품인 콩을 맷돌에 갈아 손두부를 만들며 농촌의 건강한 먹거리를 누릴 수 있다. 20명 이상 참여 시 진행되는 숙박 체험은 한국 전통놀이, 계곡 물놀이, 떡메(찐 쌀을 치는 데 쓰는 큰 방망이)로 떡 만들기 등의 다양한 체험을 아우른다.

※사전 예약 필수

백두대간동해소금길

백두대간동해소금길

18.1 Km    0     2024-06-11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신흥동 192-1
033-539-8547

옛사람들이 동해시의 북평장에서 산 소금을 지게에 이고 정선군으로 나르던 길이다. 선조들의 삶의 애환이 깃들어 있고, 동해시의 소금·해산물과 정선군의 산나물·약초가 오가던 물물교환의 장이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오늘날의 백두대간동해소금길은 18.7km의 걷기 길로 총 세 코스로 나뉜다. 각 코스의 시작점이 다르지만, 두 코스를 연계해 완주하는 방법도 있다. 1코스 백두대간 생태탐방로(7.1km, 왕복 5시간)의 주요 구간은 신흥마을 대형주차장~용소폭포~주막터~원방재다. 시원한 계곡과 소(沼)를 지나는 길로 징검다리를 여러 번 건너야 한다. 2코스 이기령 더바지길(6.6km, 왕복 4시간)의 주요 구간은 이기마을 장재터~미역널이 입구(주막터)~이기령 정상이다. 주막터를 지나면 울창한 낙엽송 군락이 나타나고, 미역을 널어놓은 듯 거대한 암반이 펼쳐진 미역널이를 지난다. 3코스 금곡동 옛길(5km, 왕복 4시간)은 무릉3지구(폐채석장 입구)를 출발해 미역널이 입구(주막터)에 도착하며 세 코스 중 가장 쉽다. 전망 포인트는 폐채석장의 K2호수 위다. 산자락에 둘러싸인 두 개의 에메랄드빛 인공호수가 이국적인 풍광을 그린다.


※1코스: 강원도 동해시 신흥동 192-1
※2코스: 강원도 동해시 이기동 83
※3코스: 강원도 동해시 삼화동 774

옹심이네

옹심이네

18.1 Km    4929     2023-07-26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비봉로 2
033-563-0080

감자 옹심이는 토속음식으로, 생감자를 갈아 녹말을 걸러낸 뒤 건더기와 섞어 동글동글하게 빚은 반죽을 멸치육수에 넣어 끓여 내는 음식이다. 칼국수나 메밀국수를 함께 넣기도 한다. 감자를 갈고, 반죽하고, 익히는 과정에서 식감이나 맛이 좌우된다. 오일장 뒤편에 자리한 ‘옹심이네’는 전분을 전혀 섞지 않고 100% 생감 자만으로 옹심이를 만든다. 씹는 순간 쫄깃하고 아삭한 식감이 동시에 느껴진다. ‘콧등 치기’라 부르는 메밀국수도 함께 끓여 낸다. 쉬는 날이 따로 정해져 있지 않으니 미리 문의하고 가는 편이 좋다.

동박골식당

동박골식당

18.1 Km    31003     2023-07-02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정선로 1314
033-563-2211

곤드레나물의 고향 정선, 정선에서도 곤드레나물밥의 원조로 알려져 있는 동박골식당이다. 이 식당의 곤드레나물밥은 지글지글 달궈진 돌솥에 한가득 담겨 나오는 게 특징이다. 콩나물 밥을 먹는 방법과 같이 양념장을 넣고 슥슥 비벼 먹으면 된다. 간장 양념장과 함께 고추장과 막장이 함께 나와 취향에 따라 간을 맞춰 비벼 먹는 게 요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