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척산관광예술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무척산관광예술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무척산관광예술원

12.5 Km    1     2020-03-25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안양로358번길 38
055-338-2323

기존의 한옥을 중심으로 전통한옥을 계속 복원하고 농장을 연계하여 전통 문화와 농업농촌이 만나 만들어진 무척산 관광 예술원은 방문객들이 생활 활력소를 찾고 자연의 소중함을 느끼며 삶의 여유를 얻을 수 있다.

굽은소나무와오리도둑한재미나리

굽은소나무와오리도둑한재미나리

12.5 Km    0     2024-01-19

경상북도 청도군 양지길 173

굽은소나무와오리도둑한재미나리는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평양리 한재 마을에 있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한재 미나리는 청도의 대표 특산물로 이름 높은데 이 음식점은 한재 미나리를 육류에 곁들여 먹는 요리가 별미다. 대표 메뉴는 생오리이며, 이 밖에 생삼겹살, 미나리 비빔밥, 미나리 전, 촌두부 등을 맛볼 수 있다. 내부에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청도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새마을운동 발상지 기념공원, 청도 레일바이크가 있어서 연계 여행에 나서기 수월하다.

춘천집

춘천집

12.6 Km    4607     2023-01-09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한재로 380
054-373-4730

※ 영업시간 11:00 ~ 17:00 청도 한재마을에서 재배하는 무농약 미나리와 수육을 함께 맛볼 수 있는 음식점이다. 한재마을에서 유일하게 수육으로만 20여 년간 영업 중인 식당으로, 12월 초부터 4월 중순까지 쉬는 날 없이 점심시간에만 영업하고 4월 말이면 문을 닫아 12월에나 다시 문을 연다. 한재미나리가 가장 연하고 맛있을 때만 영업을 하는 주인장은 5월부터는 산으로 들로 다니며 산나물을 캐다가 장아찌를 만들어 둔다. 연근, 돼지감자, 생강, 마늘, 달래, 깻잎, 취나물, 감, 토마토, 양파, 다시마, 양배추 등 수십 가지장아찌를 담가 그때그때 밥상에 함께 내어 미나리와 함께 풍족한 한상이 차려진다.

탐복미나리가든

탐복미나리가든

12.6 Km    4706     2023-09-15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한재로 382
054-371-7755

탐복미나리가든은 7월부터 9월은 쉬고 10월부터 6월까지는 쉬는 날 없이 한재 미나리와 삼겹살 밥상을 차려내고 있다. 삼겹살을 주문하면 한재 미나리가 한 다발 나오는데, 삼겹살을 불판에 구우면서 미나리를 한 줌 올려 가위로 툭툭 잘라 숨만 죽으면 삼겹살과 함께 먹으면 된다. 살짝 숨이 죽은 미나리의 맛은 매우 부드럽고 향긋하여 삼겹살보다도 인기가 좋다. 탐복미나리가든도 밥상 위에 짭조름한 장아찌 반찬이 수두룩하다. 화악산 자락에서 나는 갖가지 산나물과 꽃, 열매 들로 장아찌를 만들어 밥상에 올린다. 그중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미나리 장아찌다. 아삭아삭 살아 있는 식감에 은은한 향이 조화롭게 어우러진다. 미나리 생채 무침을 밥에 넣고 비벼 먹는 미나리 비빔밥도 이 집의 별미다. 탐복미나리가든은 반찬이나 찌개에 들어가는 된장과 청국장, 고추장을 직접 담가서 쓰고 있으며, 짙은 초록빛이 먹음직스러운 생미나리 전은 99% 미나리만으로 부쳐내는데, 검은콩 가루를 넣어 반죽해서 구수한 맛이 일품이다. 한 조각 큼직하게 찢어서 초간장에 찍어 먹으면 쫀득하면서 달큼한 미나리 향이 입안에 가득하다.

밀양관광펜션아름드리

12.7 Km    1     2022-12-26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표충로 826-14
055-351-0082

펜션 아름드리는 약 30평의 넓은 T자형 야외수영장과 썬 베드 및 넓은 정원과 풍부한 정원수 및 매실, 대추 등 많은 유실수가 있다. 밤에는 반딧불이와 함께 쏟아질듯한 별들을 하늘이 있고, 아침엔 온갖 새들의 소리를 즐겁고 여유로운 느낌으로 들을 수 있다.

작원관지

작원관지

12.8 Km    2     2023-03-02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검세리

밀양시 삼랑진읍 검세리에 있는 작원관지는 과거 영남지방의 동·서와 남북의 중요한 교통의 요지로, 작원관(鵲院關)이 있던 곳이다. 이곳은 여행하는 관원의 숙박소 기능과 왜적을 공격에 방어하는 기능, 작원진이라는 나루터로 출입하는 사람들과 화물을 검문하는 기능을 하였다. 즉 원(院), 관(關), 진(津)의 역할을 겸한 곳이었으며, 일제강점기 때 철도부설로 인해 철거하였다가 1995년에 원래 자리 인근에 작원관을 복원하였다. 임진왜란 당시 밀양부사 박진이 동래성 함락 이후 밀려오는 왜적에 대항해 벌인 작원관전투에서 희생한 군사들의 위령탑이 있고, 주변 기차길 밑에 있는 터널 밖 낙동강변은 낙동강 자전거종주길의 밀양 하남~양산 구간이다.

낙동강철교전망대

낙동강철교전망대

12.8 Km    3     2023-11-16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마사로 476

옛 기찻길을 활용한 전망대로 높이 15m의 철교 위에 올라 사방으로 탁 트인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낙동강 철교는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과 김해시 생림면을 연결하는 철교로, 하부구조는 일제강점기인 1940년에 만들어졌다. 상부구조는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착공되지 못한 채 광복을 맞았고, 1950년 다시 가설에 착수했으나 6·25전쟁으로 공사가 중단됐다. 결국 1962년에야 상부구조가 완성됐고, 당시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철교로 꼽혔다. 경전선 복선전철화사업으로 2009년 새로운 낙동강 철교가 건설되면서 기존의 철교는 레일바이크와 전망대 등 관광상품으로 개발되었다. 여름에는 철교 주변으로 우리나라 국화인 무궁화가 활짝 피어 더욱 매력적인 풍광을 연출한다.

금시당

금시당

1.3 Km    1     2023-10-26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로 24-183

밀양강변의 아름다운 풍광 속 아름드리 소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는 금시당은 자연 그대로의 순수함과 아름다움 그리고 유구한 역사까지 두루 갖춘 곳이다. 1996년 경남 문화재자료로 지정됐으며, 1566년 조선 중기 문신이었던 이광진 선생의 별업으로 세워진 곳이다. 현재 금시당은 그의 후손인 여주 이 씨 종중에서 소유· 관리하고 있으며, 선생의 사후, 아들 이경홍 선생이 선친의 뜻을 이어받아 후진을 양성하는 강학소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금시당 정원은 조용하고 절제된 운치와 여백의 미가 느껴지는 곳이며 정원 한 곳을 차지하고 있는 460여 년 된 은행나무는 말문을 막히게 할 정도로 웅장함을 자랑하고 있다. 특히 이 은행나무는 이광진 선생이 직접 심었다고 전해지는 것으로, 아직도 여름이면 무성한 푸른 잎을 자랑하고, 가을이면 노랗게 물든 잎을 자랑한다.

범도아리아글램핑

범도아리아글램핑

12.9 Km    0     2023-10-05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아불1길 13

범도 아리아 글램핑은 주변 경관이 뛰어난 곳에 마련되어 있어 천의 자연환경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여기에 더해 최고의 시설도 갖췄다. 신축으로 마련되어 전반적으로 시설이 깔끔하다. 개인 화장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내부에 전자레인지, 냉장고, 밥솥, TV 등도 갖춰져 있어 숙박에 불편함은 느껴지지 않는다. 관리동에 다양한 보드게임이 마련되어 있어 글램핑 도중 게임 시간을 가져도 좋다. 가까운 곳에 계곡이 있는 것도 범도 아리아 글램핑 위치의 장점이다. 그 외에도 바비큐를 즐길 수 있고, 화로대도 대여가 가능하다. 물론 장작도 판매하고 있다. 근처에 표충사와 얼음골 케이블카, 영남루, 트윈터널, 우리아이마음숲놀이터 등이 있으니 함께 둘러봐도 좋을 듯하다.

낙동강 레일파크

낙동강 레일파크

13.1 Km    0     2024-01-08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마사로473번길 41

김해 낙동강 레일파크는 낙동강 황단 철교 위를 달리는 레일바이크와 김해시 특산물인 산딸기와인을 전시·판매하는 와인동굴, 새마을호 열차를 활용한 열차카페 그리고 철교 위에 올라가 석양을 바라보며 여유를 즐길 수 있는 철교전망대 등이 조성되어 있어 온 가족이 함께 다양한 체험을 즐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