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셰프우렁각시장어총각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권셰프우렁각시장어총각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권셰프우렁각시장어총각

권셰프우렁각시장어총각

1.3 Km    1     2022-04-12

경상북도 안동시 충효로 4459
054-822-8102

가족모임을 하기 좋은 곳으로, 다양한 반찬을 먹을 수 있는 곳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민물장어구이다.

호계서원

13.4 Km    2903     2023-11-15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호계길 183

낙동강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언덕에 자리 잡은 호계서원은 안동 지방의 대표적인 서원이다. 1573년 지방 사림들이 백련사 절터에 여강서원을 세워 퇴계 이황의 위패를 봉안하고 도학을 강론하였는데, 1605년 이곳이 대홍수로 인해 유실되었다. 이후 1620년 이황의 큰 제자인 서애 류성룡과 학봉 김성일의 위패를 추가 배향하고 1676년 사액을 받고 [호계]로 이름을 바꾸었다. 원래 월곡면 도곡동에 있었으나 안동댐 건설 수몰지구로 1973년 지금의 위치로 옮겨 세웠다. 호계서원은 안동 유림의 본거지이자 안동 선비문화의 상징으로, 300여 년 동안 안동 정신문화의 중심 역할을 담당했다.

법흥동 고성이씨탑동파종택

법흥동 고성이씨탑동파종택

1.3 Km    21508     2023-08-25

경상북도 안동시 임청각길 103

*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 *

고성이씨(固城李氏) 탑동파의 종가집이다. 현재까지 고성이씨 탑동파의 종손(宗孫)들이 살고 있다. 이 건물은 조선 숙종 때 좌승지로 증직된 이후식(李後植)(1635∼1765)이 안채를 건축하였으며, 이어 사랑채와 대청(永慕堂)을 그의 손자 원미(元美)(1690∼1765)대에 완성했다. 대청의 북쪽에 위치한 북정(北亭)은 7대조인 진사 이종주(李宗周)가 1775년(영조(英祖) 51)에 건립하였다.원래 이 집터는 신라시대 고찰인 법흥사가 있던 자리라고 한다. 지금도 이 집 앞에는 국보 제16호로 지정된 신세동 칠층전탑이 있다.

*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과 함께가기 좋은 여행지 *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은 신세동 칠층전탑[新世洞七層塼塔]과 안동 임청각 정침 군자정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 같이 보는 것이 좋다. 버스나 택시를 이용해서 법흥지하도 앞에서 내린 후 법흥지하도를 통과하면 바로 왼쪽에 국보인 신세동 칠층전탑이 있고, 그 바로 앞에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이 있다. 그리고 고성이씨 탑동파 종택을 마주 보고 섰을 때 왼쪽 길로 약 3분 정도 걸으면 안동 임청각 정침 군자정이 나온다.

[문화재 정보]
- 분 류 : 가옥
- 지 정 : 국가민속문화재 (1984.1.14)
- 소재지 : 안동시 법흥동 9-2
- 시 대 : 조선시대

속초아지매가만든생선찜

속초아지매가만든생선찜

1.3 Km    1     2021-03-11

경상북도 안동시 강남4길 38
054-856-3356

신선한 재료로 신선하고 다양한 생선 요리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생선찜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토닥토닥한옥스테이

토닥토닥한옥스테이

1.4 Km    0     2024-03-29

경상북도 안동시 서동문로 50-5 (태화동)
010-6658-4208

안동 시내에 위치한 토닥토닥한옥스테이는 입구부터 감성이 가득한 숙소로, 큼지막한 마당과 시원한 창문이 숙박객을 반갑게 맞아준다. 아늑하고 포근한 침실 2개와 욕조가 있는 화장실, 캠핑 감성이 가득한 거실, 깔끔한 주방이 인상적이다. 야외에는 다이닝룸과 빨래방, 옥상이 있는 별도 건물이 있다. 밤에는 마당에서 불멍을 하거나 마당 한켠에 있는 족욕 공간에서 따뜻한 족욕을 하면서 함께한 이들과 도란도란 추억을 나눌 수 있다.

안동 예안이씨 충효당

13.5 Km    18841     2024-06-07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우렁길 73

예안 이씨 16대손인 풍은 이홍인의 후손들이 사는 집으로 명종 6년(1551)에 지은 것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다가 순국한 이홍인 부자의 충과 효가 얽혀있는 유서 깊은 집으로 안채와 사랑채가 맞붙어 있고 안동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ㅁ자형 평면을 이루고 있다. 내부의 중앙은 뜰로 꾸민 소박한 집으로 남쪽과 서쪽에 바깥으로 통하는 대문이 있다. 남문이 본래의 대문이지만 지금은 서문을 대문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서문 바깥에 평행하게 있던 바깥채를 철거한 뒤에 드나드는 문도 옮긴 것으로 보인다. 공간에 비하여 넓고 튼튼한 문틀을 하고 있으며 드나드는 문이 많아 흥미롭다. 서쪽에는 一자형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을 가진 쌍수당이라는 별당이 있다. 쌍수당이란 충과 효를 한 집안에서 다 갖추었다는 의미로, 이홍인이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나서 왜적과 싸우다 장렬하게 순국한 충의를 기리고 그 후손 한오의 지극한 효를 기리는 것이다. 이 집은 부분적으로 수리를 하고 변형도 되었으나 나직한 야산을 배경으로 하고 풍산평야를 바라보며 자리 잡고 있는 대부분의 상류주택과는 달리 소박하고 서민적인 민가 성격이 강하다.

사빈서원

13.6 Km    1747     2024-06-14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푸레실길 82

이 서원은 조선 중기 학자 청계 김진(1500~1580) 선생과 그의 아들 5형제의 유덕을 추모하고 후학을 양성할 목적으로 1709년 사림과 자손들의 공의에 의하여 세워졌다. 1871년 서원철폐령에 의하여 훼철되어, 중건과 이전을 거듭하여 현재의 모습인 강당과 주사만 남아 있다. 당초에는 임하면 사의동에 위치하였으나 임하댐 건설로 인해 1987년 현 위치로 옮겨졌다. 강당은 정면 6칸, 측면 2칸의 제법 규모가 큰 편에 속한다. 자연석 기단 위에 자연석 주초를 놓고 그 위에 원주와 각주를 혼용해서 세웠는데 중앙 대청은 정면 4칸으로 매우 넓게 하였다. 대청을 중심으로 해서 좌우에 통칸 온돌방이 드리워져 있어 일반적인 강당 평면형식이다. 우물마루 상부는 5량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박공지붕이다. 건물 정면에는 ′경덕사′라는 편액이 있는데 이것은 묘우의 현판을 강당에 옮긴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교육 기능은 사라지고 매년 3월과 9월 중정에 향사를 지낸다. 사빈서원 입구 경원루 앞에는 널리 배우고 독실하게 실천하자라는 뜻의 [박학독행] 비석이 새겨져 있으며, 옆에는 유교 문화를 계승하고 선비 양성을 위해 지은 금장각 도서관이 있다.

산온 리트릿

산온 리트릿

13.7 Km    0     2024-04-24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우렁길 90-8
010-2523-5799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위치한 산온 리트릿은 산 아래 조용하고 한적한 공간에서 아늑한 하룻밤을 선사하는 특별한 공간으로, 약 250평의 너른 공간을 한팀이 오롯이 사용할 수 있다. 실내는 프라이빗하게 나눠진 두개의 침실과 두개의 화장실, 거실, 넓은 주방, 다도룸 등이 모던한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고, 야외에는 마당, 바베큐존, 수영장, 불멍존이 있다. 노을을 보며 준비된 우롱차로 다도를 즐기고, 아침 찬 공기와 함께 라벤더향 목욕을 하며 하루를 시작해보기를 추천한다.

임하댐

임하댐

13.8 Km    22785     2023-06-10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주변에 다양한 관광시설이 있는 다목적댐, 임하댐높이 73m, 길이 515m, 총저수량 5억 9500만㎥, 유역면적 1,461㎢이다. 4대강 유역 종합개발계획의 하나인 다목적 수자원개발사업에 의해 건설된 다목적 사력댐으로, 1984년 12월 착공하여 1993년 12월 31일 준공되었다. 낙동강의 제1지류인 반변천의 상류 18km 지점에 있다. 임하댐이 준공되면서 낙동강 유역의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어 하류지역의 홍수피해를 줄이고, 수질개선은 물론 낙동강 중·하류 지역의 늘어나는 물 소비량을 충당할 수 있게 되었다. 시설 용량은 5만㎾(2만5천㎾×2대)이며, 연간 9600만kWh의 전력을 낙동강 부근 중소도시들에 공급한다. 4억 9700만㎥의 용수 공급과 8000만t의 홍수조절 능력을 갖추고 있다. 주변에 각종 체육시설과 관광시설이 있고, 물 홍보관에는 댐에 대한 다양한 자료와 이 지역에 사는 여러 종류의 물고기들이 전시되어 있다. * 현황 : 형식 사력댐, 높이 73m, 길이 515m사업기간 1984∼1993년 12월 31일

체화정

체화정

13.8 Km    17939     2023-11-14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풍산태사로 1123-10

예안 이씨 진사 만포 이민적이 학문을 닦고 형인 이민정과 함께 기거하기 위해 1761년(영조 37)에 창건한 정자이다. 상체지화의 줄인 말인 체화는 형제의 화목과 우애를 뜻하는 말로 두 형제간의 우의를 돈독히 한 장소로도 유명하다. 정자의 크기는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중층 팔작지붕집이며 앞에는 방장, 봉래, 영주의 삼신선산을 상징하는 3개의 인공섬이 있는 연못이 있다. 담락재라는 현판은 조선 최고의 서화가인 단원 김홍도가 썼다. 조선시대 정자인 체화정은 전통조경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여름이면 연꽃이 가득한 연못과 배롱나무가 그 진가를 발휘하여 많은 출사객이 모이는 장소로도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