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강마을에코센터 오토캠핑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소금강마을에코센터 오토캠핑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소금강마을에코센터 오토캠핑장

소금강마을에코센터 오토캠핑장

9.5Km    2024-07-18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연곡면 진고개로 1826-11

소금강 마을은 오대산에서 내려오는 연곡천이 마을을 따라 흐르는 아름다운 농촌 마을이다. 빼어난 풍광이 마치 작은 금강산 같다고 하여 소금강이라 불린다. 다양한 농촌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그중에서 두부 만들기가 특히 인기가 많다. 마을 에코센터 뒤편으로 편의 시설과 함께 위치한 오토캠핑장에는 총 25개 사이트가 있다. 예약은 전화로만 가능하다. 차량으로 10분 거리에는 드라마 도깨비 촬영지인 영진해변이 있고, 15분 내외의 거리에는 강릉과 주문진의 해수욕장을 갈수 있어 피서철에 인기가 많은 캠핑장이다.

평창 오대산사고

9.7Km    2025-03-27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713-77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영감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사고지이다. 원래 이곳은 물, 불, 바람의 삼재가 침입하지 못한다는 길지였다고 한다. 1606년(선조 39) 건립 당시에는 실록각, 선원각, 별관, 그리고 수호사찰로서 영감사가 있었으나 주춧돌만이 남아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 월정사는 동대 만월사을 뒤로 하고, 그 만월산의 푸른 정기가 모인 곳에 들어앉아있다. 사시사철 푸른 침엽수립에 둘러싸여 고즈넉한 아름다움을 띤다. 영은사괘불 이외에도 다양한 문화재들이 전시되어 있어 함께 둘러본다면 더욱 좋다.

폭포골자연휴양림야영장

폭포골자연휴양림야영장

10.1Km    2024-07-17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연곡면 황어대길 46-3

폭포골 자연휴양림 캠핑장은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퇴곡리에 위치한 휴양림 단지로, 5단 폭포와 함께 아름드리 노송들와 계곡으로 둘러싸인 자연 친화적인 휴양림이다. 캠핑은 물론, 독채 펜션과 몽골 텐트도 함께 운영하고 있고, 약 60여 개의 사이트가 있는 규모가 큰 캠핑장이다. 폭포가 있는 계곡은 물놀이보다는 물멍하기 좋은 편이지만, 아래쪽 계곡에서 물놀이를 할 수 있고, 밤이면 쏟아지는 별들과 함께 불멍하기 좋은 운치가 있어, 가족 단위는 물론 친구끼리도 연인끼리도 방문하기 좋은 캠핑장이다.

주문진글램핑오토캠핑장

주문진글램핑오토캠핑장

10.4Km    2024-07-24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주문진읍 신리천로 951-9

주문진 글램핑 오토캠핑장은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에 자리 잡고 있다. 동해고속도로 북강릉IC에서 북강릉, 주문진 방면으로 달리면 도착한다. IC에서 도착까지 소요 시간은 30분 안팎이다. 이곳은 계곡과 인접해 있으며, 오토캠핑 6면, 캠핑 트레일러 1대, 글램핑 15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토캠핑장은 전기와 화로 사용이 가능하다. 캠핑 트레일러는 복층 구조로 이뤄졌으며, 내부엔 침대와 캠핑 용품 일체가 구비되어 있다. 글램핑은 3종류로 구분되어 있으며, 화장실과 샤워실이 외부에 있는 커플형을 비롯해 화장실 등이 내부에 있는 커플형과 패밀리형으로 마련되어 있다. 글램핑 내부에는 기본적으로 침대, 냉난방기, 냉장고, TV, 취사도구, 식기류가 구비되어 있다. 그 외, 관리소에서 선풍기, 토치, 타프, 이불, 전기장판 등을 대여해주기도 한다. 인근에 주문진해수욕장, 강릉 복사꽃마을, 백운사 등의 관광지가 있어 연계관광이 용이하다. 40년 넘게 운영 중인 메밀 전문음식점과 활어를 맛볼 수 있는 횟집 등 음식점도 즐비하다.

탁장사고을

탁장사고을

11.0Km    2025-03-21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북면 어성전길 258

탁장사마을은 오염되지 않은 청정계곡인 어성전계곡에 위치한 마을이다. 탁장사마을은 어성전의 빼어난 자연환경과 이 고장의 민속놀이인 탁장사놀이를 접목시켜 만들어진 전통테마마을이다. 계곡의 맑은 물, 천연림이 조화를 이루고 있고 마을을 휘돌아 감는 어성전천은 아름다운 자연의 극치를 이루고 여기에서 서식하는 어류는 물반 고기반으로 은어, 연어, 메기 등 풍부한 어족자원은 수많은 강태공들을 유혹하고 있는 자연의 보고라 할 수 있으며 물고기의 노는 모습이 아름다워 내천유어[奈川遊漁]라 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오대산 설경을 ‘천상의 극치’라 부른다

오대산 설경을 ‘천상의 극치’라 부른다

11.3Km    2023-08-09

겨울에는 겨울에 맞는 여행지가 있다. 오대산 월정사가 그런 곳이다. 오대산 깊숙한 곳에 자리한 암자도, 그곳으로 드는 관문인 전나무 숲길도 하얀 눈이 내리면 설국으로 변한다. 전나무는 가지가 휘어지도록 눈을 이고, 월정사 전각의 지붕도 눈을 품는다. 찬바람 불어도 춥게 느껴지지 않는 오대산의 겨울 풍경 속으로의 여행.

사명당 대선사 진영

11.3Km    2025-03-27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삼척 영은사에 소장되어 있던 사명대사 유정(1544~1610)의 진영이다. 사명대사 유정은 조선 중기의 고승이자 의병장으로, 산대사 휴정(1520~1604)과 함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승군의 지도자로 활약했으며, 전쟁이 끝난 후 외교사절단으로 파견되어 일본에 포로로 잡혀간 조선인들을 귀환케 하였다. 얼굴의 모습은 사실적으로 세밀하게 표현하였고, 근엄하기보다는 늠름한 기풍과 인자한 모습으로 표현하고 있다. 짙고 풍성한 턱수염은 가슴을 덮고 있으며, 우람한 어깨에서는 승장의 기백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얼굴은 밝게 그렸으나 입술은 유난히 붉은색으로 그렸다. 왼손에 주장자를 들고 있으며, 족좌대를 따로 그려 놓았고 청회색 법복, 붉은 가사, 화려한 의자 표현과 화문석의 표현기법 등은 전통적인 양식이기도 하지만 영원사 범일국사 진영과 같은 기법이기 때문에 동시에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정신적인 면을 강조하기 위해 얼굴이 강조되었기 때문에 상체보다는 하체를 빈약하게 표현한 도식적인 방법에 의해 그려져 전체적인 비례는 잘 맞지 않는다. 사명당의 진영은 현재 10여 점이 있으나, 사명당이 오대산에 주석한 인연이 있다. 이 그림은 범일국사의 진영과 같은 시기(1788)에 같은 작자에 의해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이다. 원래 범일국사진영(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과 함께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영은사의 칠성각에 봉안되어 있던 것인데, 1999년 6월 18일 월정사성보박물관으로 옮겨 전시 중에 있다. 그림의 보존상태가 훼손이 없이 깨끗하고 조선후기 진영의 전형적인 양식을 잘 보여준다.

평창 운흥사 천룡탱화

11.3Km    2025-02-06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평창 운흥사는 주위 경관이 매우 아름다워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찾는 관광지의 하나로 꼽히면서 시인 묵객이 즐겨 찾는 곳이었으며, 지금도 이곳을 찾으면 반드시 들러 보는 곳이 되었다. 운흥사의 천룡탱화는 우리나라의 우수한 문화적 수준을 알 수 있는 문화재이다. 그 시대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 더욱 주목할만하며 오랜 세월과 함께 우리나라의 유구한 역사가 담긴 보물 같은 문화재이다. 주변의 장릉, 청령포, 강원도 탄광문화촌 등도 방문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월정사 템플스테이

11.3Km    2024-07-05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033-339-6606

월정사는 오대산에 자리한 천년고찰로 643년,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창건했다. 절은 팔각구층석탑과 석조보살좌상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아름드리 전나무 1,700여 그루가 늘어선 전나무숲길로 이름났다. 유서 깊은 절은 템플스테이를 상시 진행한다. 고즈넉한 산사에서 스님의 일상을 체험하고 한국 불교문화를 배우는 시간은 자신을 돌아볼 기회가 된다. 월정사 템플스테이는 크게 체험형과 휴식형, 두 가지로 나뉜다. 영어·중국어·일본어 템플스테이도 마련했다. 체험형 템플스테이는 주말 동안 여러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몸과 마음을 재충전하는 데 주력한다. 공양(절에서 먹는 식사)과 예불(부처에게 절하는 의식), 108배 염주 만들기, 침묵 명상, 스님과 차를 마시며 이야기하는 차담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짜여 있다. 108배 염주 만들기는 절을 한 번 할 때마다 염주를 한 알씩 꿰는 수행법이다. 휴식형 템플스테이는 1박 2일 동안 산사에서의 휴식에 중점을 둔다. 공양 등 일부를 제외하면 전나무숲길을 산책하거나 명상하며 자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오대산중대불량문

오대산중대불량문

11.3Km    2025-04-02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현재 월정사 성보박물관에는 중대 적멸보궁과 관련하여 작성 시기가 다른 2종의 불량문이 소장되어 있는데 이 책은 그중의 하나다. 중대는 오대산신앙의 중심이며, 적멸보궁은 비로자나 법심불이 상주하는 장소로서 일찍부터 신성시되어 왔다. 또한 불량이란 뜻은 문자 그대로 부처님의 양식을 이르는 말이지만, 이보다는 어떤 전각이나 불상을 영구히 유지하기 위한 재정적인 후원을 의미한다. 오대산중대불량문[五臺山中臺佛糧文]은 조선후기의 중대 적멸보궁의 중창사실과 이를 재정적으로 후원한 일반 시주자 및 인근 사찰의 시주 스님을 기록한 것이다. 겉장은 황색 표지이며, 표지에는 ‘보궁유진 중대불량문’이라고 되어 있어서 적멸보궁에서 보관용으로 기록한 것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