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불고택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백불고택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백불고택

백불고택

11.5 Km    0     2024-01-05

대구광역시 동구 옻골로 195-5

백불고택은 경주 최씨 광정공파(匡正公派) 자손 중 백불암(百弗庵) 최흥원(崔興遠) 선생의 종가(宗家)이다. 조선 인조 때 대암(臺巖) 최동집선생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지은 유서 깊은 경주 최씨 광정공파 종가는 대구시 민속자료 제1호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이 고택은 대구지역의 주택가운데 가장 오래된 건물로 안채와 사랑채 중사랑채, 보본당, 대묘, 별묘, 행랑채, 고방채 등이 담장 안에 균형있게 배치되어 있는데 조선시대 양반주택과 그 생활양식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대구에 있는 가장 오래된 조선 시대 고택으로서 귀중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고택이 자리한 옻골은 마을을 둘러싼 산과 들에 옻나무가 많이 자란다고 하여, 예로부터 ‘옻골’이라고 불렸다. 옻골은조선 중기의 학자인 최동집(崔東集)이 1616년에 정착한 뒤 400여 년간 자손 대대로 살고 있는 마을이다. 한옥 20채가 모여 있는 전통 한옥 마을이기도 하다.

옹심이칼국수

11.6 Km    1     2023-02-22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다사로 655

대구 달성군 다사읍에 있는 옹심이칼국수는 식당 이름이기도 한 ‘옹심이칼국수’를 비롯해 메밀과 감자를 주재료로 삼는 다양한 강원도 음식을 제공하는 식당이다. 이곳의 시그니처 메뉴인 옹심이칼국수는 두툼하고 쫄깃한 메밀면에 걸쭉하지만 자극적이지 않은 국물이 부어져 나온다. 여기에 감자로 만든 옹심이가 여러 알 들어가 있어 먹는 재미를 더한다. 감자를 강판에 갈아서 구워낸 감자전은 테두리는 바삭하고 안쪽은 쫄깃한 감자전 특유의 식감을 잘 살렸다. 감자만두는 얇고 쫀득한 만두피 안에 속이 실하게 차있어서 칼국수의 사이드 메뉴로서 손색이 없다. 주변을 와룡산, 박산 등 산들이 둘러싸고 있어 등산 후 식사를 즐기기도 좋다.

까사드테하

까사드테하

11.6 Km    0     2024-02-19

대구광역시 달성군 녹문길 16-11

까사드테하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삼산리에 위치한 한옥카페로 '카사'는 스페인어로 집을 '테하'는 기와를 의미한다. 내부는 한옥의 전통적인 틀 아래 현대적인 감각이 돋보이는 인테리어로 꾸몄다. 한옥에서 브런치를 즐기는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는 곳이다. 대표 메뉴는 아메리카노이고, 카페라테, 카푸치노, 팥스무디, 흑임자슈페너, 뱅쇼, 차 등도 맛볼 수 있다. 파동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워터파크 스파밸리가 있어 연계 여행에 나서기 좋다.

용연사(대구)

11.7 Km    42254     2024-05-08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용연사길 260

사찰 입구에 있는 용못에서 용이 올라갔다 하여 용연사라는 이름이 붙여진 이 사찰은 914년, 신라신덕왕 3년에 보양국사가 창건하고, 1419년 천일대사가 중창하였다 사찰 입구에 있는 못에서 용이 올라갔다 하여 용연사라는 이름이 붙여진 이 사찰은 914년(신라신덕왕 3년)에 보양국사가 창건하고, 1419년 천일대사가 중창하였다고 전하며 그 뒤 임진왜란 때 여러 전각들을 차례로 중건하였다.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9 교구본사 동화사의 말사이다.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곳으로 유명하며 유래는 신라시대 자장율사가 중국 오대산에서 기도 후 가피력으로 금란가사와 부처님 진신사리를 가지고 귀국한 데서 비롯한다. 이후 설악산 봉정암, 사자산 법흥사, 태백산 정암사, 오대산 월정사, 영축산 통도사에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하고 이를 5대 적멸보궁이라 하였다. 이곳 용연사의 진신사리는 임진왜란 당시 난을 피해 묘향산으로 옮겼던 사리를 사명대사의 제자인 청진이 다시 통도사로 모시던 중 사리 1 과를 이곳 용연사에 봉안하게 돼고이로서 건봉사 , 도리사와 더불어 우리나라 8대 적멸보궁이라 칭하고 있다. 금강계단은 부처님 사리를 모시고 수계의식을 행하는 곳으로 부처님이 항상 그곳에 있다는 상징성을 띠며 금강계단 앞에는 적멸보궁이라는 전각을 건립하는데 불상을 봉안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그곳 금강계단에 부처님을 상징하는 부처님 사리가 봉안되어 있어 예배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여기 용연사의 금강계단과 삼층석탑, 극락전,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 유물들은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지정되어 있다. 용연사 적멸보궁으로 가는 길은 숲이 우거져 산림욕을 하는 듯한 기분을 들게 하며 이 길목은 비슬산으로 가는 등산코스이기도 하다.

경산문화원

경산문화원

11.7 Km    17430     2023-11-16

경상북도 경산시 서상길 75

경산문화원은 1962년 경산 지역의 역사를 알리고 문화 전반에 대한 정보와 교율활동으로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설립되었다. 지역문화 발전을 위해 다양한 문화행사를 열고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누어 문화교실을 진행한다. 프로그램으로는 가요교실, 색연필 일러스트, 팝으로 배우는 영어, 근력운동, 서예, 합창교실, 장구민요, 무용, 문화강좌 등 미술과 음악 신체활동 등이 있으며, 선착순으로 현장 접수한다. 경산문화원은 KTX경산역에서 도보 약 15분 거리에 있으며 경산시여성회관, 경산청년회의소 등과 인접해 있다.

동해횟집

동해횟집

11.7 Km    4059     2023-06-12

경상북도 경산시 중앙로17길 35
053-815-7571

동해횟집은 경남 경산시 중방동에 위치한 활어회 전문점이다. 이곳은 오랜 시간 경산 시내 중앙로에 자리하여 시민들의 맛집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은 특히 밑반찬이 푸짐한 곳으로 유명하고 또한 싱싱한 활어회를 맛볼 수 있다. 메뉴는 모듬회, 회덮밥, 물회, 생선초밥, 광어, 우럭 등이 있다. 주변 관광지로 카페 파브롯, 조용한 산책길 중산지 등이 있다.

팔공산맥

팔공산맥

11.7 Km    2     2024-05-07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중앙대로 329

팔공산맥은 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동에 있다. 현대적인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매운맛과 순한 맛으로 구분되는 과실숙성돼지갈비다, 허브숙성생삼겹살, 항정살 생고기도 인기가 많다. 한우 메뉴로는 육회물회, 육회비빔밥 등이 있다. 점심특선으로는 돼지갈비정식, LA갈비찜, 한우불고기정식이 있으며, 주메뉴와 함께 돌솥 밥, 냉면, 알밥 중 한 가지를 함께 맛볼 수 있다. 칠곡IC와 대구 지하철 3호선 구암역에서 가깝다. 주변에는 운암지 수변공원과 신전뮤지엄이 있다.

옥포로&두류공원

옥포로&두류공원

11.7 Km    705     2023-08-10

대구역시 4월이 오면 벚꽃이 차오른다. 팔공산 순환도로, 수성유원지, 앞산공원, 옥포로, 두류공원로 등 도심과 산속 어디나 벚꽃이 가득하다. 이중 벚꽃 가로수가 남다른 자태를 뽐내는 옥포로와 대구 시민과 여행자의 쉼터인 두류공원 벚꽃길이 손꼽힌다. 하늘이 보이지 않을 만큼 빼곡하게 꽃이 핀 벚나무 아래를 걷다 바람을 만나면 그림처럼 꽃비가 내리는 길을 걷게 된다. 이 벚꽃 터널을 중앙에 두고 양옆으로 도보전용 논길과 우회 도로변 꽃길이 나란히 이어진다. 조명으로 도드라진 이월드의 83타워와 색색의 조명이 어우러진 야간벚꽃축제도 장관이다.

나불지 생태공원

11.7 Km    1     2023-10-18

대구광역시 동구 각산동 134

저수지였던 나불지를 생태공원으로 조성한 이곳은 나무테크가 잘되어 있고 물레방아, 전통담장이 있고 밤에 거닐 수 있도록 조명시설도 좋다. 둘레를 걷고 쉬고 정자에 앉아 팔공산 초례봉을 바라볼 수 있는 휴식공간이다. 사계절이 모두 아름답지만 특히 여름엔 연꽃들이 피어나 장관을 연출한다. 초례봉으로 이어지는 길도 마련되어 있어 습지생태와 산림을 함께 즐길 수 있는 힐링 공간이 되었다. 또한 곳곳에 포토존이 조성되어 있다.

헐티재골

헐티재골

11.7 Km    1     2023-12-06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금천리

청도군 각북면에서 대구 가창면으로 넘어가는 여섯 개의 고개 중 가장 서쪽에 위치한 해발 535미터 ‘헐티재’는 1980년 자동차 도로가 개통되기 전 청도와 대구를 연결하는 지름길로 이용되었다. 지명 유래는 과거 조선 시대에는 이 일대를 토현(土峴)으로 표기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헐티를 흙으로 표기한 것에서 유래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한다. 다른 하나는 고개가 험준하고 힘들어서 그 고개를 넘으면 숨을 헐떡이며 배가 고파 온다고 하여 헐티재라고 불리기도 한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헐티재와 고개 일대는 소나무 군락으로 뒤덮여 있으며 봄이면 진달래, 철쭉 또는 고산 식물로 주변경관이 아름답고 포장 도로로 잘 정비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이 드라이브 코스로 선호한다. 헐티재 정상은 조형물과 화단을 조성해 방문객들에게 산책과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