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정사 템플스테이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월정사 템플스테이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월정사 템플스테이

19.2Km    2024-07-05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033-339-6606

월정사는 오대산에 자리한 천년고찰로 643년,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창건했다. 절은 팔각구층석탑과 석조보살좌상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아름드리 전나무 1,700여 그루가 늘어선 전나무숲길로 이름났다. 유서 깊은 절은 템플스테이를 상시 진행한다. 고즈넉한 산사에서 스님의 일상을 체험하고 한국 불교문화를 배우는 시간은 자신을 돌아볼 기회가 된다. 월정사 템플스테이는 크게 체험형과 휴식형, 두 가지로 나뉜다. 영어·중국어·일본어 템플스테이도 마련했다. 체험형 템플스테이는 주말 동안 여러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몸과 마음을 재충전하는 데 주력한다. 공양(절에서 먹는 식사)과 예불(부처에게 절하는 의식), 108배 염주 만들기, 침묵 명상, 스님과 차를 마시며 이야기하는 차담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짜여 있다. 108배 염주 만들기는 절을 한 번 할 때마다 염주를 한 알씩 꿰는 수행법이다. 휴식형 템플스테이는 1박 2일 동안 산사에서의 휴식에 중점을 둔다. 공양 등 일부를 제외하면 전나무숲길을 산책하거나 명상하며 자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까페지수인봉평

까페지수인봉평

19.2Km    2024-09-23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봉평면 메밀꽃길 10-8

‘카페지수 인 봉평’은 직접 로스팅한 깊은 풍미의 커피와 숙성된 도우로 만든 수제 화덕피자 그리고 프랑스 파리에서 전수받은 정통 프랑스빵들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최고급 프랑스산 밀가루와 버터로 만든 빵의 풍미가 좋다. 매장 내부 분위기는 다양한 식물들과 나무문양의 가구로 구성되어 편안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고 주차장 자리가 넓은 편이며 뒤뜰에는 작은 정원도 꾸며져 있다.

오대산중대불량문

오대산중대불량문

19.2Km    2025-04-02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현재 월정사 성보박물관에는 중대 적멸보궁과 관련하여 작성 시기가 다른 2종의 불량문이 소장되어 있는데 이 책은 그중의 하나다. 중대는 오대산신앙의 중심이며, 적멸보궁은 비로자나 법심불이 상주하는 장소로서 일찍부터 신성시되어 왔다. 또한 불량이란 뜻은 문자 그대로 부처님의 양식을 이르는 말이지만, 이보다는 어떤 전각이나 불상을 영구히 유지하기 위한 재정적인 후원을 의미한다. 오대산중대불량문[五臺山中臺佛糧文]은 조선후기의 중대 적멸보궁의 중창사실과 이를 재정적으로 후원한 일반 시주자 및 인근 사찰의 시주 스님을 기록한 것이다. 겉장은 황색 표지이며, 표지에는 ‘보궁유진 중대불량문’이라고 되어 있어서 적멸보궁에서 보관용으로 기록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용다사동종

용다사동종

19.2Km    2025-01-02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이 동종은 조선시대의 종 중에서도 극히 퇴락한 형식으로 양식적으로는 대수롭지 않지만 1787년(정조 11) 화천 용화산 용다사에서 처음 주성되었다는 소위 원명과 1878년(고종 15) 양구 심곡사에 시주되었다는 추명이 있지만, 원주 구룡사에서 보관해 오던 동종이다. 이 시기에 한글 명문이 새겨진 종이 드물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 1977년부터 강원특별자치도향토박물관에서 전시되다가 1999년 9월 월정사로 옮겨져 현재 성보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종의 정상부에는 한 몸체에 용머리가 서로 반대쪽으로 있는 오메가(Ω) 형[一體雙頭形]의 용뉴가 있다. 천판(天板)은 반구형(半球形)으로 종신(鐘身)과의 사이에는 한 줄의 띠를 돌려 구분하고 있는데, 용뉴를 중심으로 연꽃무늬를 조잡하게 돋을새김(陽刻)하였다. 종신에는 세 줄의 띠를 돌려 4개의 부분으로 구획하였을 뿐, 상, 하대와 보살입상, 유곽 등 일체의 장식을 구비하지 않고 소면(素面)으로 처리하였다. 그러나 종신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한글과 한자로 된 명문이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이중 하단부의 한자 명문은종을 처음 주성할 때의 주종기로, 1787년(건륭[乾隆] 52, 정조 11) 낭천(狼川) 용화산(龍華山) 용다사(龍茶寺)에서 처음 종을 주조하였음을 알 수 있다. 낭천은 현재의 화천군이며, 용화산은 화천군과 춘천시의 경계를 이루는 산이나 용다사는 그 위치를 알 수 없다.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19.2Km    2025-03-27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은 자장율사가 창건한 월정사 안에 있는 탑으로, 그 앞에는 공양하는 모습의 석조보살좌상이 마주 보며 앉아 있다. 탑은 8각 모양의 2단 기단 위에 9층 탑신을 올린 뒤,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을 새겨 놓았고, 아래와 위층 기단 윗부분에는 받침돌을 마련하여 윗돌을 괴어주도록 하였다. 탑신부는 일반적인 석탑이 위층으로 올라 갈수록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과 달리 2층 탑신부터 거의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1층 탑신의 4면에 작은 규모의 감실(불상을 모셔두는 방)을 마련해 두었다. 지붕돌은 밑면에 계단 모양의 받침을 두지 않고 간략하게 마무리하였고, 가볍게 들려있는 여덟 곳의 귀퉁이마다 풍경을 달아 놓았다. 지붕돌 위로는 머리장식이 완벽하게 남아 있는데, 아랫부분은 돌로, 윗부분은 금동으로 만들어서 화려한 아름다움을 더해주고 있다. 고려시대가 되면 사각형 평면에서 벗어난 다각형의 다층석탑이 우리나라 북쪽지방에서 주로 유행하게 되는데, 이 탑도 그러한 흐름 속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고려 전기 석탑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당시 불교문화 특유의 화려하고 귀족적인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으며, 전체적인 비례와 조각수법이 착실하여 다각다층석탑을 대표할 만하다. 또한 청동으로 만들어진 풍경과 금동으로 만들어진 머리장식을 통해 금속공예의 수법을 살필 수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마카 카페

마카 카페

19.2Km    2024-12-17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봉평면 메밀꽃길 10-16

평창 봉평면에 위치한 곳으로, 메밀꽃밭을 바라보며 마시는 커피 전문점이다. 애견동반이 가능하여 가족들과 함께 방문하기 좋은 카페이다. 연계관광지로 흥정계곡과 메밀꽃밭이 있다.

봉평메밀 초가집옛골

봉평메밀 초가집옛골

19.2Km    2025-08-08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봉평면 메밀꽃길 7

100% 순메밀을 이용하여 전통방식 그대로 각종 메밀 음식을 판매하는 메밀 전문식당이다. 식사 메뉴는 메밀국수이며 곁드는 메뉴로는 메밀전병,메밀무침,수육과 같이 다양하다. 특선메뉴로 메밀 장칼국수, 감자 옹심이를 판매해 다양한 맛 또한 즐길 수 있다. 인테리어는 전통적 건축 양식인 한옥형태가 돋보이며 넓은 주차장 또한 마련되어있다.

황병산 토종닭

황병산 토종닭

19.2Km    2024-12-17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차항길 250-8

오랜 시간 동안 황병산 토종닭만의 각종 조리비법으로 조리한 토종닭 요리는 최고의 맛을 보장한다. 옻 백숙, 능이백숙, 닭볶음탕, 염소전골, 곤드레정식 등의 다양한 식사 메뉴가 있다. 닭백숙이나 오리백숙은 1~2시간 전에 예약 시 기다리지 않고 먹을 수 있어 예약 후 방문을 추천한다.

푸우의 정원

푸우의 정원

19.2Km    2024-09-23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봉평면 메밀꽃길 10-9

봉평면에 위치한 양식당으로 야외 테라스도 마련되어 있는 넓은 규모의 음식점이다. 북미 가정식 느낌의 스테이크, 특허받은 감자 돈가스와 메밀 돈가스, 그리고 돼지고기 야채 스튜, 홈메이드 샌드위치, 샐러드 등 다양한 종류의 메뉴들을 판매하고 있다. 야외 테라스는 정원이 꾸며져 있어 동화 같은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트리고

트리고

19.2Km    2025-01-15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봉평면 메밀꽃길 10-1

이효석 선생의 생가가 있는 봉평면에 위치한 빨간색 모던한 건물의 베이커리 카페이다. 가드닝이 잘 된 마당은 물론 실내도 외부의 자연을 즐길 수 있는 창과 어우러져서 잘 가꾸어진 이색 스타일의 감성 카페이다. 직접 구워내는 다양한 베이커리류가 인기가 많다. 특히 소금빵의 인기가 높고, 쌉싸름하고 고소한 메밀의 향과 봉평에서만 느낄 수 있는 상큼한 매력을 담은 커피, 메밀 우유와 에스프레소, 메밀 크림과 메밀 팝콘이 올라간 시그니처 아인슈페너인 트리고 크림 라테, 유기농 메밀 아이스크림이 카페 라테 위에 올라간 유기농 메밀 아이스크림 라테 등이 대표 메뉴다. 인근에 메밀꽃밭, 효석달빛언덕, 봉평재래시장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