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등갈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신등갈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신등갈비

신등갈비

16.6 Km    1     2023-07-12

대구광역시 군위군 치산효령로 1414

신등갈비는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에 있다. 등갈비를 주재료로 각종 요리를 내놓는 곳이다. 대표 메뉴는 등갈비묵은지찜이다. 이 밖에 양념등갈비구이, 등갈비우거지감자탕, 등갈비묵은지감자탕, 매운등갈비구이 등을 맛볼 수 있다. 동군위IC에서 가깝고, 주변에 군위오펠GC, 장곡자연휴양림이 있다.

군위오펠GC

군위오펠GC

16.7 Km    1     2023-07-12

대구광역시 군위군 산성면 부흥로 227

경상북도 군위군 산성면에 위치한 군위 오펠은 해발 200m에 약 115만㎡가 넘는 천혜의 지형을 갖고 있는 18홀 골프장이다. 블랙스톤, 나인 브리지, 해남 파인비치 등을 설계한 미국의 골프플랜에서 코스 설계를 맡아, 한국을 대표하는 퍼블릭 코스를 표방하고 있다.
팔공산 자락의 아름다움이 병풍처럼 펼쳐져 천혜의 산세를 느낄 수 있는 산울 코스는 한 폭의 산수화를 감상하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하는 홀들로 거친 듯 섬세함을 필요하고 자연과 함께 호흡하는 드라마틱한 라운딩을 제공한다. 헤저드와 계류가 자연과 함께 어우러져 코스의 진수를 만끽할 수 있는 여울 코스는 플레이어로 하여금 도전과 모험심을 불러일으켜 차별화된 코스의 묘미를 느낄 수 있다.

낙봉서원

16.7 Km    1486     2024-02-02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낙성1길 84-7

구미시 해평면에 있는 낙봉서원은 1646년(인조 24) 유림의 뜻으로 세워진 조선 시대의 지방 교육기관으로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담당하였다. 1787년(정조 11)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나,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이후 1931년에 지방 유림의 발의로 복원된 이래 제향을 지내오다가, 1977년 묘우를 다시 세우고 김숙자, 김취성, 박운, 김취문, 고응척의 위패를 봉안하였다. 경내에는 사우인 상덕묘, 강당인 집의당, 동재인 세심재, 서재인 정교당, 그리고 신문과 양정문 등이 있다. 이 중 집의당은 마루를 중심으로 양쪽에 1칸짜리 방이 1개씩 있는 구조의 공간으로 서원의 여러 행사 장소로도 이용된다. 예전에 유생들이 거처하며 학문을 닦던 거경재와 명성재는 지금은 향사 때 제수를 마련하는 공간으로 사용되며 매년 3월 두 번째 정일에 향사를 지낸다.

기러기농장가든

기러기농장가든

16.8 Km    22117     2023-07-12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용매로 788
054-382-6337

경상북도 군위군에 위치한 기러기농장가든은 농림부에서 지정한 위해 요소 중점관리(HACCP)인증 사료만으로 사육하고 있으며, 손님들이 안심하고 맛있게 드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의성마늘장터 (의성명품마늘영농조합법인)

16.8 Km    3460     2024-05-28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구봉길 215-10

의성마늘장터는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자리한 곳으로, 의성의 특산물인 의성마늘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의성마늘의 수확 시기는 6월 중순 이후로 구가 단단하고 저장성이 탁월하며, 특유의 향과 강한 매운맛은 의성마늘의 자랑이다. 또한 김치를 담글 때, 즙액이 많아 적은 양으로도 양념에 맛을 더할 수 있고 김치의 신맛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느티담길캠핑장

느티담길캠핑장

16.8 Km    2     2023-07-12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흥로 362-33 야영장

느티담길 캠핑장은 경북 군위군 산성면 운산리에 자리 잡았다. 군위군청을 기점으로 25km가량 떨어졌다. 자동차를 타고 치산효령로와 부흥로를 번갈아 달리면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25분 안팎이다. 중앙선 철로 등 주변 풍경이 멋진 캠핑장에는 파쇄석으로 이뤄진 일반캠핑 사이트 7면이 마련돼 있다. 사이트 크기는 가로 10m 세로 9m 등 널찍하다. 개별 사용이 가능한 화장실, 샤워실, 개수대가 있어 편리하다. 주변에는 화본마을 등 군위를 대표하는 관광지가 많아 연계 관광이 손쉽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구미 낙성리 느티나무

구미 낙성리 느티나무

16.9 Km    0     2024-04-23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낙성리 230-1
054-880-3597

구미시 해평면은 내륙의 지명 중 해(海) 자를 쓰는 몇 안 되는 지역으로 드넓은 문량, 해평들을 가지고 있다. 낙성 1리 마을은 매봉산 아래 아담하게 자리 잡은 마을로 5개 자연부락으로 해평면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국도변에 연접한 시장에는 주로 상인들이 영업하며 그 외 지역은 전형적인 농촌 마을로 형성되어 있다. 낙성리의 자연부락인 앞 고을 지명의 유래는 해평현의 동헌이 있는 앞 마을이라는 데서 앞고을이라 하였으며, 서원마을이란 해평현 때 향교가 있는 곳으로 낙봉서원이 지금도 낙성리에 남아 있다. 아곡은 옛날 신라시대 파징현의 관아가 있던 곳으로 향교 및 사창이 있었다고 하여 옆에 있는 못을 아곡지라고 한다. 창마라는 마을은 해평현의 병기창이 있던 곳이었으며, 중리 마을은 마을의 중앙에 위치한다고 붙여진 이름이며, 금스골(金石) 마을은 고려 태조 왕건의 비 해량원 부인의 출생지이다. 창마에는 나무 둘레가 5.5m, 수령이 210년 정도 되는 느티나무 고목이 마을 앞을 떡 버티고 있으며, 앞에 있는 당산과 뒤에 있는 주산에 매년 정월 미명에 동제를 행사했는데 제수는 오곡으로 찰밥과 어포류이다. 지금은 나무 아래 쉼터를 조성하여 마을의 일들을 논의하고, 또 마을의 논공행상을 논의하는 장소로 사용하고 있다. * 관련 고사 60~70년대 땔감이 아주 귀하던 시절에 마을 사람이 이 나무에서 말라 떨어진 가지를 주워 땔감으로 사용하였는데, 온몸에 두드러기가 나고 부스럼이 났다고 한다. 그 이후로는 떨어진 나뭇가지도 절대로 함부로 하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전하여 오고 있다. 또한 이 동네에 사는 사람이 나무를 베어 사용하려고 톱을 갖다 대는 순간, 밑으로 드리워졌던 가지가 위로 치솟아 오르고 천둥 번개가 쳐 혼비백산하여 달아났다고 하며, 그때 치켜 올라간 가지가 지금까지도 늘어지지 않고 하늘을 향하고 있으며 동네 사람들이 두려워 그 나무에 매년 정월이면 정성스레 제사를 지내오고 있다.

빙계계곡

16.9 Km    57921     2023-12-07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경상북도 의성군 빙계3리 서원마을에 위치하고 있는 빙계계곡은 경북팔경(경북팔승)의 하나로 1987년 9월 25일 군립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얼음구멍과 바람구멍이 있어 빙산이라 하며, 그 산을 감돌아 흐르는 내를 빙계라 하고, 동네를 빙계리라 부른다. 삼복 때 시원한 바람이 나오며 얼음이 얼고, 엄동설한엔 더운 김이 무럭무럭 솟아나는 신비의 계곡이다. 깎아 세운 듯한 빙계계곡에는 절벽 사이의 골짜기를 따라 시원한 물이 흐르며, 여덟 곳의 이름난 빙계팔경이 있다. 빙계팔경은 계곡 입구에서부터 용추, 물레방아, 바람구멍, 어진바위, 의각, 석탑 등이 있다. 이중 용추는 개울을 깎아지른 듯한 절벽 밑 시냇물이 굽이치는 곳에 깊은 웅덩이가 있었다는데 현재는 메워졌다. 부처와 싸운 용의 머리가 부딪쳐 파인 데라 한다. 그리고 어진바위 인암은 옛날 서원터 앞에 자리한 너비 1.2m, 높이 2.4m가 넘는 큰 바위다. 바위 전면에 햇빛으로 인해 정오가 되면 [어질 인] 자 모양의 그늘이 나타나 세상인심을 선도하는 듯한 느낌이 든다고 한다.

남선옥

남선옥

16.9 Km    19806     2023-08-02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전통시장1길 8-1
054-834-2455

남선옥 식육식당은 국내산 순수 한우만을 취급하는 50년 넘는 전통의 한우 숯불구이 전문점이다. 메뉴는 오직 한우소고기양념밖에 없으며 달짝지근하고 짭조름한 양념이 고기에 잘 베여있다.주차장은 따로 없고 가게 앞 공터에 주차 가능하다.

의성읍 도서동의 회나무

17.0 Km    16802     2024-01-26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의성읍 도서동의 회나무는 수령 약 600년의 보호수이다. 1919년에 발행된 [노거수 명목지]에서 한반도 전체에서 둘레가 가장 큰 것으로 기록된 나무이다. 1972년 기록에서도 전국에 지정된 360건의 회나무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보고되었다. 의성읍 도서동의 회나무의 높이는 18m, 둘레는 10m 정도이다. 나무의 가지가 지상으로부터 3m 되는 지점에서 세 갈래로 갈라져 있다. 가운데 있는 가지는 고사하였고, 동쪽과 서쪽 가지만 살아남았다. 나무의 둘레가 크고 수고가 높기 때문에 생물학적 보존 가치가 높아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회나무의 관리와 보호를 위해 나무 아래에는 울타리가 설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