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14.4 Km    23367     2023-11-14

경상북도 안동시 이천동

경북 안동시 이천동 오도산에 자리한 연미사의 보물인 [이천동 마애여래입상]의 잔잔한 미소는 안동의 상징적인 얼굴로 잘 알려져 있다. 속칭 [제비원 미륵불]이라고도 불리는 이 석불은 바로 연미사의 오랜 역사에서 홀로 남은 고마운 부처님이자 우리 불교사에서도 몇 되지 않는 대표적인 미륵불이다. 또한, 이 석불은 대표적 민요인 성주풀이에도 나올 만큼 민초들이 오랜 세월 동안 뿌리내리려 한 민간신앙의 대상과도 닿아 있다. 서쪽을 향한 높은 암벽에 조각된 불신위에 불두를 따로 제작하여 올린 특이한 형태의 마애불로 머리 뒷부분이 일부 손상된 것 외에는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불두를 따로 제작하여 불신이 새겨진 암벽 위에 얹는 형식은 고려 시대에 널리 유행하는 형식이며, 얼굴의 강한 윤곽이나 세부적인 조각 양식으로 볼 때 11세기 경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옹천21세기찐빵

옹천21세기찐빵

14.4 Km    1     2021-03-11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경북대로 959-7
054-859-7058

저렴한 가격으로 독특한 찐빵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찐빵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연미사(안동)

연미사(안동)

14.4 Km    20153     2024-05-17

경상북도 안동시 제비원로 672

연미사는 경북 안동시 이천동 오도산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본사 고운사의 말사로 고구려 승려 보덕(普德)의 제자 중 한 명인 명덕이 바위에 불상을 새겨 모시고 연구사라고 한 것이 시초이다. 그 뒤 불상을 덮은 지붕이 제비와 비슷하여 연자루라 하였고, 승려가 거주하는 요사가 제비꼬리에 해당하고 법당이 제비부리에 해당한다고 해서 연미사라 불렀다. 연미사라는 이름은 원래 조선시대 영남지역에서 한양으로 오가는 길 여행객이 쉬어가는 숙소인 연비원, 속칭 제비원이라 불렀다는 데서 비롯됐다고도 한다. 연미사에 있는 보물인 이천동 석불의 잔잔한 미소는 안동의 상징적인 얼굴로 잘 알려져 있다. 속칭 제비원 미륵불이라고도 불리는 이 석불은 바로 연미사의 오랜 역사에서 홀로 남은 고마운 부처이자 우리 불교사에서도 몇 되지 않는 대표적인 미륵불이다. 또한, 이 석불은 대표적 민요인 성주풀이에도 나올 만큼 백성들이 오랜 세월 동안 뿌리내리려 한 민간신앙의 대상과도 닿아 있다. 연미사가 사찰로서는 매우 작은 규모이기는 하지만 미륵불이 담고 있는 미술적, 민족적 유산 가치는 뛰어나다.

제비원 석불

제비원 석불

14.5 Km    2     2024-02-02

경상북도 안동시 제비원로 672

안동시 이천동 태화산에 있는 불상인 제비원 석불은 고려시대 불상으로 정식명칭은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이다. 옛 연미사 절터에 있는 석불상으로 연미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로 신라 634년(선덕여왕 3) 명덕이 세운 사찰로 오랫동안 폐사로 남아 있었으나, 1918년 복원하였다. 자연 암벽에 불신을 새기고 그 위에 머리는 따로 제작하여 올려놓은 거구의 불상이다. 자연석에 머리 높이 2.43m, 전체높이 12.38m의 석불을 조각하였다. 몸체의 선각과 얼굴의 뚜렷한 인상이 매우 대조적이다. 머리의 육계가 큼직하고 윤곽이 뚜렷하여 매우 개성이 있는 모습이다. 몸체를 이루는 자연 암석도 위압적이지만, 입을 꾹 다물고 눈에 힘을 잔뜩 준 모습이 매우 권위적이며 힘이 있어 보인다. 눈, 코, 입의 선이 각지고 매우 뚜렷하여 이목구비가 분명한 인상이다. 자연 암석으로 이어진 목에는 삼도가 희미하게나마 새겨져 있다. 얼굴의 강한 윤곽이나 세부적 조각 양식으로 보아 11세기 무렵에 제작된 불상으로 추정되며 국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구공스테이 태화

구공스테이 태화

14.5 Km    0     2024-03-29

경상북도 안동시 어가골아랫1길 16-1 (태화동)
010-9403-0265

경상북도 안동시 태화동의 작은 골목에 위치한 구공스테이 태화는 1980년대에 지어진 한옥을 리모델링한 도심형 한옥 독채로, 침실, 주방, 거실, 화장실, 욕실,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공간인 거실에는 피로를 풀 수 있는 족욕탕과 빔프로젝트가 마련되어 있다. 거실 뒤편의 큰 창으로 자연풍경이 한눈에 들어와 자연의 여유를 즐길 수 있다. 앞마당엔 화이트 톤의 테이블과 캠핑의자를 비치해 특별하고 의미있는 시간을 즐길 수 있다.

제비원가든

제비원가든

14.5 Km    1     2021-03-11

경상북도 안동시 제비원로 649-2
054-855-5455

여러가지 시원한 국물음식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갈비탕이다.

의성 월소리 소나무

14.5 Km    17554     2024-06-13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월소3길 62-13

의성 월소리 소나무는 의성군 안사면 월소리에 있는 수령 약 200년의 보호수이다. 나무의 높이는 11m이며, 둘레는 직경 1m 정도이다. 나무는 줄기에서 세 갈래로 큰 가지가 뻗어 올라가는 모습을 하고 있으며, 자라나는 상태가 좋고 위엄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이 소나무는 조선 중기 광해군 때 평산 신씨가 이 마을에 정착하면서 심었다고 전하며 현재 당산목 또는 정자목으로 마을 주민들의 보호를 받고 있다.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있어 나무 아래에 넓은 그늘을 만들어 주고 있는데, 그늘 아래는 흙으로 바닥이 이루어져 있으며 시소, 철봉, 벤치 등이 있어 동네 주민들의 쉼터로 이용된다.

동굴매운탕

동굴매운탕

14.6 Km    2     2021-03-12

경상북도 안동시 강남로 26-2
054-859-3369

얼큰한 민물매운탕이 유명하다. 대표메뉴는 매운탕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서악사(안동)

14.6 Km    19311     2023-07-06

경상북도 안동시 서악길 67-14

서 익사(西岳寺)는 안동 태화산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이곳의 석양이 황홀할 정도로 아름다워 ‘서 악사로 전 일락(西岳寺樓前日落)’이라 하여 안동 팔경 중의 하나로도 속해 있다. 옛날에는 안동 간에 물이 많을 때면 태화산 아래까지 물이 찼다고 하며, 안동 간 갈대밭으로 짙게 깔리는 운무(雲霧) 또한 그 운치가 대단했다고 한다.

홍부용한식

홍부용한식

14.7 Km    1     2022-10-05

경상북도 안동시 태화10길 18-2
054-853-1650

안동시의 모범음식점에 선정된 매장이다. 대표메뉴는 뚝배기 불고기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