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가네숯불꾸이꾸이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황가네숯불꾸이꾸이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황가네숯불꾸이꾸이

황가네숯불꾸이꾸이

6.8Km    2024-07-30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중앙로 84

안녕하세요마장동생고기만 취급하는, 막창과 닭갈비 또한 맛이 좋은, 반려견 동반 가능한 영월 맛집 황가네 숯불꾸이꾸이입니다.

영월 장릉(단종) [유네스코 세계유산]

영월 장릉(단종) [유네스코 세계유산]

6.8Km    2025-10-28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단종로 190

장릉은 조선 6대 단종(재위 1452~1455)의 능이다. 단종이 1457년(세조 3) 노산군(魯山君)의 신분으로 세상을 떠나자 영월호장 엄흥도(嚴興道)가 단종의 시신을 몰래 거두어 현재의 자리에 가매장하였다. 이후 1516년(중종 11) 묘를 찾아 봉분을 만들었고, 1580년(선조 13)에 석물을 세운 후 제사를 지냈다. 1698년(숙종 24) 단종으로 왕의 신분이 회복되어 능의 이름을 장릉이라 하고, 현재의 모습으로 다시 조성하였다. 장릉은 일반적인 조선왕릉과 다르게 단종의 충신들을 위한 건조물이 있다. 장릉 입구에는 노산군묘을 찾아 제사를 올린 영월군수 박충원(朴忠元)의 뜻을 기린 낙촌비각(駱村碑閣), 재실 옆에는 단종의 시신을 거두어 묘를 만든 엄흥도의 정려각(旌閭閣), 단종을 위해 목숨을 바친 종친, 충신, 환관, 궁녀, 노비 등 268명의 위패를 모신 장판옥(藏版屋)과 이들에게 제사를 올리는 배식단(配食壇)이 있다.

에이플

에이플

6.8Km    2025-08-22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덕포시장길 9

건강과 환경을 생각하는 비건 베이커리 카페이다. 글루텐프리와 비건 베이커리를 매장에서 직접 굽는다. 동물성 식품은 물론 백밀가루와 백설탕도 지양하고 있다. 카페 메뉴 또한 설탕시럽을 사용하지 않고 비정제원당 시럽을 사용하며 두유와 우유 옵션 선택이 가능하다. 베이커리 및 카페음료 테이크아웃 시에도 환경을 생각한 생분해 가능한 일회용품으로 제공된다.

영월 오일장

영월 오일장

6.8Km    2025-08-07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덕포리

영월 민속 오일장은 덕포 오일장이라고도 불리며, 4와 9가 들어가는 날에 열린다. 장돌뱅이연합협동조합에서 운영하며, 조합원들은 영월뿐만 아니라 제천, 평창 등지를 순회하며 각지의 오일장에 참여한다. 시장 규모는 약 400m에 이르며, 참여 점포 수는 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40~150개 정도이다. 직접 재배한 신선한 과일과 채소류, 다양한 농산물, 수산물 등이 판매된다. 시장에서는 이곳에서만 맛볼 수 있는 음식들도 다양하게 제공된다.

단종역사관

단종역사관

6.8Km    2025-10-28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단종로 190

단종 관련 유적 및 유품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단종역사관이 2002년 4월 5일 영월읍 영흥 12리 장릉 경내에 개관되었다. 단종역사관은 잊히고 왜곡된 단종의 역사를 바로 잡고 이를 널리 알리고자 하는 자각과 재인식에서 계획되었으며, 단종과 지역의 우수성을 지역 주민과 전국의 관람객들에게 이해시키는 교육의 장(場)이다. 세종실록과 문종실록, 단종실록, 세조실록, 조선시대 관복인 대관복과 관복, 내관복, 단종의 세자책봉과 왕위책봉, 단종의 죽음과정에 대한 기록물, 단종의 죽음을 서술한 책인 『단종애사』와 관련된 여러 서적, 단종의 일대기를 그린 그래픽패널, 생육신과 사육신의 충절을 기린 위패, 족쇄와 신장, 태, 장, 착고 등 조선시대 형구, 태형과 장형, 유형, 사형 등 형벌의 종류, 단종어보와 정순왕후 어보, 조선시대 궁중복식모형인 조복과 영복, 조례복, 단종의 유배재현 영상물, 단종유배행렬 디오라마, 단종의 비인 정순왕후의 유물과 왕후의 능인 사릉(思陵) 디오라마 등이 1층과 지하 1층에 주제별로 나뉘어 전시되어 있다.

진미막국수 왕갈비탕

6.8Km    2025-10-23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단종로 27

진미막국수 왕갈비탕은 영월 대표 맛집이다.. 주요 메뉴는 막국수와 갈비탕으로, 각각 특색 있는 맛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막국수는 상큼하고 달달한 육수에 들기름 향이 더해져 풍미가 깊으며, 간이 적절하여 별도의 양념을 추가하지 않아도 충분히 맛있다. 갈비탕은 맑고 담백한 국물과 부드러운 고기가 조화를 이루어 깔끔한 맛을 낸다. 이외에도 돈수육 세트와 메밀왕만두 등 다양한 메뉴가 마련되어 있어 선택의 폭이 넓다. 함께 제공되는 깍두기는 맛이 좋아 곁들임으로서의 완성도를 높인다. 전반적인 서비스는 친절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현지 주민뿐만 아니라 관광객에게도 꾸준히 사랑받는 음식점이다.

영월중앙시장

영월중앙시장

6.9Km    2025-10-28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중앙시장길 7

1961년에 개설된 상가 건물형의 소형시장으로, 메밀전병과 메밀배추전을 파는 가게들이 모여있는 메밀전병 특화시장이다. 메밀전병은 메밀가루를 묽게 반죽하여 무, 배추, 고기 등을 소로 넣고 말아 기름에 지져낸 요리로 지역마다 안에 들어가는 소가 다양한데 강원도에서는 송송 썰어 양념한 갓김치를 넣었다고 한다. 테이블과 의자가 있어 즉석에서 먹을 수도 있고, 포장 및 택배 주문도 가능하다.

영월문화원

영월문화원

6.9Km    2025-03-11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단종로 12

영월문화원은 영월의 향토 문화와 역사, 지역문화를 계승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한 곳으로 조상의 얼과 지혜가 담긴 문화유산과 전설, 사라져 가는 옛 생활의 풍습 등을 기록하고 보존하고 있다. 영월문화원은 공연장, 전시실, 강의실, 체험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연극, 음악회, 전시회, 강연회, 문화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문화원별관과 문화사랑방에서는 지역주민을 위한 한문·서예·한시·사물놀이·한국화·가요·요가 등의 문화학교 강좌가 개설되어 있고 정월대보름 축제, 동강섶다리 축제를 매년 개최한다. 영월문화원을 소개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곳이 덕포생활문화센터이다. 이곳은 영월화력발전소가 폐쇄한 뒤 남부 발전소 후생관을 리모델링한 곳으로 지역주민은 물론 문화예술 활동을 하고자 하는 동호회를 위해 연습, 발표 공간을 제공하고 지역문화 공동체 형성을 위해 주민 커뮤니티 공간, 소통공간, 공연장 등 다양한 문화공간을 조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생활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현재 약 30여 동아리가 활동하고 있으며 지역축제 및 행사에 참여하여 다양한 생활문화를 형성해 가고 있다.

자규루 및 관풍헌

자규루 및 관풍헌

6.9Km    2025-05-27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중앙로 61

관풍헌은 조선시대 지방의 업무를 처리하던 관청건물로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의 건물과 부속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는 조계종 보덕사에서 포교당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곳에서 약 50m 정도 떨어진 곳에 자규루라는 누각이 있다. 자규루는 단종(재위 1452∼1455)이 세조(재위 1455∼1468)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유배되었을 때 잠시 지내던 곳이다. 단종은 이 누각에 자주 올라가 자규시를 지었다고 한다. 자규란 피를 토하면서 구슬피 운다고 하는 소쩍새를 가리키는 말로 자신의 처지를 견주어 지은 것이다. 원래는 세종 10년(1428) 군수 신권근에 의해 지어져 ‘매죽루’라 불렸으나 단종의 자규시가 너무 슬퍼 누각이름을 매죽루에서 자규루로 바꿨다고 한다. 그 후 많이 퇴락해 민가가 들어섰는데, 정조 15년(1791) 강원도 관찰사 윤사국이 이곳을 돌아다니다 그 터를 찾아 복원하였다. (출처 : 국가유산청)

물무리골생태습지

물무리골생태습지

7.0Km    2025-06-27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영월로 1713-12

물무리골 생태습지는 강원 고생대 국가지질공원 중 하나인 내륙습지다. 습지 일대에는 급한 경사를 보이는 해발고도 400m 이상의 산지가 발달해 있는데, 이들 산지 사이를 하천이 흐르면서 퇴적물이 이동해 아래쪽에 소규모의 평평한 내륙습지가 형성된 것. 이 같은 석회암 지대의 자연 내륙습지는 학술 가치가 매우 높다. 또 물무리골 생태습지는 조선 단종의 무덤인 장릉과도 이웃하고 있어 사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잘 다듬어진 산책로를 따라 걷다 보면 이곳에 뿌리내린 다양한 식물의 이름과 특징, 개화 시기 등을 설명한 푯말이 꼼꼼하게 붙여져 있다. 하늘 높이 뻗은 전나무숲길에선 시원한 나무 그늘에 쉬어갈 수 있는 평상도 마련돼 있다. 자연 습지라 벌이나 곤충도 다양한데, 입구에 마련된 기피제를 미리 사용하면 보다 안전한 탐방을 즐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