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2Km 2024-09-13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동서북12길 16-23
055-247-4830
부림시장 떡볶이 골목에 위치한 가장 오래된 집 중 하나인 6.25 떡볶이는 화분 받침에 받쳐 나오는 떡볶이가 유명한 집이다. 이 집은 좌판으로 시작하였는데, 그때 당시 손님들이 낮은 간의 의자에 쪼그려 앉아 떡볶이 그릇을 직접 들고 먹는 모습이 꼭 6·25 피난민 같다고 하여 6.25 떡볶이라는 이름을 지어줬다고 한다. 또 그때 당시 쪼그려 앉아 먹다 보니 국물이 줄줄 흘러 손이며, 옷에 묻어 화분 받침대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지금은 테이블과 의자를 마련하여 국물을 손에 묻히거나 옷에 흘릴 염려가 덜해졌지만 예전처럼 화분 받침대에 떡볶이 접시를 담아낸다. 화분 받침대에 받쳐져 나오는 떡볶이는 이 식당의 상징적인 메뉴이자 추억의 메뉴이다.
14.3Km 2025-04-03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복요리로 7 어시장유료주차장
마산어시장은 200여 개의 횟집과 수족관이 있으며 고급어종에서 부터 서민 밥상의 주인공인 고등어, 명태까지 무공해 청정해역인 남해안에서 갓 잡은 모든 선어를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곳이다. 마산의 건어물과 젓갈을 저렴한 가격에 골라 사는 재미가 있는 곳이며 마산의 대표 축제로 자리매김한 마산어시장 축제로 싱싱함과 활력을 그대로 맛보고 느낄 수 있는 다양한 볼거리와 참여의 공간을 제공한다. CNN 선정 경남 Best 9 관광지에 선정된 곳으로 마산어시장에서는 고객 만족과 행복지수가 업그레이드 되며 아케이드, 너른 마당, 쉼터 조성 등 시설 현대화로 인해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고객만족을 위한 트랜드 발굴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마산창이 설치된 이후 창원부사가 조창에 관원과 조군을 배치하고 선창주변에 마을이 하나 둘 들어서면서 시장(마산장)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당시 마산장에선 어민들이 어획한 각종 수산물을 비롯해 농산물, 옷감, 유기그릇 등이 거래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1899년 마산포가 개항되면서 외국의 공산품들이 들어와 시장 활성화와 함께 마산경제를 지탱하는 근간이 됐다. ‘만기요람’에 마산포의 객주(현재 수협의 기능과 유사)가 130호나 됐다는 기록으로 미뤄 당시 구마산 어시장이 상당히 번창한 것으로 짐작된다. 조창을 중심으로 한 어시장은 마산항 매립과 함께 현 위치인 동서동 합포로~해안로 사이와 수협 주변으로 확장된다. 마산항은 일본의 국권침탈 이후 1914년 현재의 남성동 우체국·극동예식장 일대 1만 1,000여 평을 매축한 것을 시작으로 1927~1940년 사이 수차례와 홍콩바(대우백화점 뒤 편)~수협 사이 구항 6만 7,000여 평을 매립하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 한류의 매력을 만나는 여행 정보 - 영화 <헤어질 결심> 서래와 해준이 서로의 배우자와 함께 재회한 시장으로 250여 년간 시기별로 달라지는 제철 생선과 다양한 수산물을 판매하는 어 시장이며 활기찬 기운이 가득하다. 시장을 걷다 보면 말없이 눈빛만으로 이야기를 나누는 둘의 모습이 그려진다.
14.3Km 2024-12-30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동서북10길 68
055-243-0011
고려당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창동에 위치한 전통 있는 빵집이다. 1959년에 개업하여 현재까지 6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마산 지역을 대표하는 빵집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창동예술촌 근처에 위치해 있어 지역 주민들과 관광객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대표 메뉴로는 꿀빵, 파이만주, 호두타르트 등이 있으며, 특히 생크림스틱이 인기 있는 제품 중 하나이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고려당은 마산을 방문하는 이들에게 추억과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장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4.3Km 2024-12-18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남성로 137
055-246-6260
[중소벤처기업부 2018년도 ‘백년가게’로 선정] 1951년부터 3대에 걸친 60년 이상 운영 중인 마산, 창원지역에 유명한 한식당이다. 직접 담근 장과 젓갈, 직접 재배하는 채소로 고유의 맛을 낸다. 해산물이 풍부한 마산의 장점을 반영해 해산물을 중심으로 나오는 한정식 전문점이다. 푸짐하지만 정갈한 음식들로 오랜 단골이 많다.
14.3Km 2024-08-27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동서북14길 21-1
055-244-1157
창원 고려당 인근에 있는 분식점으로 1971년 개업한 전통 있는 분식점이다. 주메뉴인 전통 단팥죽은 국산 팥을 이용하여 오랫동안 고아서 만든 장인 정신이 깃든 단팥죽이다. 이외에도 냄비우동, 냄비라면, 김밥, 떡볶이, 오징어튀김, 어묵 등을 판매하며 모두 전통적인 분식집 메뉴들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분식점으로 많은 추억을 간직한 곳이다.
14.4Km 2024-12-11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오동서6길 10
055-246-1467
50년 전통의 창동분식은 간장소스 찍어먹는 김밥과 냄비우동이 인기인 분식집이다. 가게 안 곳곳에서 정겨운 느낌이 묻어나는 분위기이다. 쫀득한 식감을 지닌 박고지를 넣어 김밥을 만드는 것이 독특한데, 노란 연겨자를 풀어넣은 간장을 찍어먹을 수 있다. 이 집의 김밥은 특별하게 단무지가 들어있지 않고, 시금치와 계란, 박고지 3가지 재료만 들어있다.
14.4Km 2025-03-16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삼계로 63
첨두 서원은 임진왜란 때 왜적과 맞서 공을 세워 선무 원종 이등 공신에 책록된 노경종을 추모하여 교하 노씨 후손들이 건립한 서원이다. 1981년 향교 유림에 의해 서원으로 승격되었다. 서원으로 승격된 시기에 대해서는 기록들 사이에 차이가 있다. 1731년에 서원으로 건립되었다가 고종 시기 서원 철폐령에 의해 폐쇄되었으며, 1947년 복원 이후 1950년에 소실되었다가 1955년에 재건되었다고 한 기록이 있는가 하면, 첨두재로 건립되었다가 1981년 유림의 공의를 얻어 서원으로 승격되었다는 기록도 있다. 첨두서원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목조 건물로 팔작지붕의 구조이다. 첨두서원의 강당 서쪽에 사우가 배치된 이른바 서묘동학의 구조이다.
14.4Km 2025-03-17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오동서6길 24
창동예술촌은 옛 마산 원도심권 (창동/오동동 권역)의 잃어버린 상권 기능을 재생시키기 위한 도시재생사업으로 50~60년대 문화·예술의 중심지였던 마산의 추억과 향수를 느낄 수 있는 ‘문신예술골목, 마산예술흔적 골목, 에꼴드창동골목’이라는 3가지 테마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예술과 예술인이 융화하는 창동예술촌은 현재 50여 개의 입주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12개의 시설에서 체험공방을 운영하며 방문객들에게 현장체험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14.4Km 2023-08-09
산업도시였던 창원은 마산, 진해와 통합된 이후 아름다운 바다도시로 탈바꿈했다. 도시의 화려한 네온사인과 항구의 투박한 매력이 공존하는 거리는 여름 밤바다를 즐기기에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하다.
14.4Km 2025-03-19
경상남도 고성군 마암면 옥천로 352
장산숲은 경상남도 기념물로, 경상남도 고성군 마암면 장산리 장산마을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약 600년 전 조선 태조(1392~1398) 때 호은 허기 선생이 마을의 지형적 결함을 보충하기 위하여 조성한 숲이라고 전해진다. 처음에는 길이가 1,000m에 달했다고 하나 지금은 길이 100m, 폭 60m 정도만이 남아있다. 조선 성종(1469~1494) 때 이퇴계 선생의 제자였던 허천수 선생이 이 숲에 정자를 짓고 연못을 만들어 낚시와 산놀이를 즐겼다고 하며, 연못 중앙에는 조그만 섬이 만들어져 있어 숲의 풍경을 한층 아름답게 해주고 있다. 현재 숲을 이루고 있는 나무는 약 250여 그루로 우리나라 온대 남부지역에서 주로 자라는 느티나무, 서어나무, 긴잎이팝나무, 소태나무, 검노린재나무, 배롱나무, 쥐똥나무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고성 장산숲은 마을의 지형적 결함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숲으로 옛 선조들의 자연이용이 슬기로웠음을 엿볼 수 있는 훌륭한 자연유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