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Km 2025-04-03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궁항길 46-8
통영시내 남쪽 미륵도 방면 삼덕리에 위치한 작은 어촌마을이다. 마을은 종합안내센터, 체력단련장, 샤워장, 숙박시설, 어업체험 등의 시설을 갖추고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어촌체험은 날씨가 나쁘지 않은 한 매일 갯벌에 물이 빠지는 시기에 맞춰 선착순으로 들어가 체험할 수 있다. 바지락, 해삼, 고둥, 돌게 등을 직접 잡을 수 있으며 동시에 스노클링을 즐길 수 있다. 숙박시설이 있어 7인실 부터 최대 20인까지 인원에 따라 가족 여행이 가능하다. 숙소 바로 앞 해수욕장을 이용할 수 있어 여름철 피서지로도 좋다.
5.1Km 2024-11-26
경상남도 통영시 용남면 해간길 46-87
010-4740-9453
2024 KCA 한국소비자 산업평가 숙박업 모범 펜션으로 선정되었다. 전 객실에서 스파를 즐기며 아름다운 바다를 감상하실 수 있는 오션뷰 펜션으로 잊지 못할 아름다운 풍경을 선물한다. 깨끗한 시설과 편안한 서비스 준비되어 있는 사계절 비치&스파 펜션에서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행복을 추억을 만들 수 있다
5.2Km 2024-04-17
경상남도 통영시 평인일주로 486-1
055-644-2700
비치캐슬호텔은 취사가능한 리조트형 가족호텔로 특급호텔 수준의 인테리어와 편의시설로 통영의 관광명소로 새롭게 태어났다. 호텔단지는 럭셔리 펜션형의 비치동과 200명 이상 수용가능한 캐슬동으로 운영되고 있다. 호텔 정면에서 바라보는 바다 위 석양의 황홀함은 감동 그 자체로 멋진 광경이다. (정보제공자: 통영시청)
5.2Km 2024-07-24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봉전상촌길 46
통영캠핑스토리는 통영 최초의 캠핑장으로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언제나 상쾌하고, 밤이면 반딧불이를 만날 수 있는 캠핑장이다. 캠핑장은 파쇄석 사이트로 되어 있으며 한 건물에 개수대, 화장실, 샤워장이 함께 있어 편리하다. 사이트 공간이 넓어 여유 있게 텐트를 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전기 사용이 가능하며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놀 수 있는 작은 모래 놀이터와 작지만 아담한 유아용 풀장이 있어 어린이들이 심심치 않게 보낼 수 있다. 나무 그네가 있어 가만히 앉아 있으면 자연 힐링이 되는 듯 편하다. 사이트 옆으로 파라솔이 쳐진 피크닉 식탁이 설치되어 있어 편하게 식사를 할 수 있다. 캠핑장의 또 다른 장점은 캠핑장에서 10분이면 통영의 유명관광지에 모두 갈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달아공원, 통영수산과학관, 미래사, 도남동 관광지, 통영 케이블카, 토지박물관, 통영스포츠파크 등과 가깝다.
5.2Km 2024-12-13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논아랫개길 148
055-645-5638
휴펜션은 산양일주도로에서 조금 벗어난 아주 조용하고 바다 풍경이 아름다운 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답하마을 바닷가에 위치하고 있어 펜션앞으로 탁트인 바다전망과 병풍처럼 둘러싸인 미륵산이 아릅답다. 넓은 야외 공터에서 바다를 바라보며 야외 바비큐를 즐길 수 있으며, 펜션 바로 앞 선착장에서 체험낚시,물놀이,고동줍기을 즐길 수 있다. (정보제공자: 통영시청)
5.2Km 2024-07-10
경상남도 통영시 장문로 179
1971 카페는 폐교한 장문 초등학교를 리모델링한 이국적인 오션뷰 카페다. 죽림 시가지와도 가깝고 통영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차로 5분 거리에 있다. 1969 BBQ라는 고깃집도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전용 주차장이 넓어 주차 걱정이 없다. 카페 내부는 탁 트인 느낌으로 1층과 루프탑으로 운영하고 있다. 화이트톤의 인테리어와 바다를 향해 바닥부터 천장까지 나 있는 통창은 시원한 개방감을 준다. 메뉴는 아메리카노를 비롯한 커피류와 초코 라테, 고구마 라테 등의 라테 류, 1971 카페만의 시그니처 차와 에이드가 마련되어 있다. 야외 마당에는 작은 분수대와 선베드, 파라솔 의자, 바다를 따라 심어진 야자수가 마치 리조트를 연상케 한다. 루프탑에 있는 나무 둥지 역시 이곳만의 시그니처 공간으로 가족 나들이와 데이트 장소로도 추천한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5.2Km 2025-07-30
경상남도 통영시 장문로 179
장문 1969는 폐교된 장문 초등학교를 리모델링하여 만든 고깃집이다. 깔끔한 인테리어에 대리석 테이블, 분위기 있는 조명으로 고깃집이라기보다 여느 양식 레스토랑처럼 꾸며져 있다. 인테리어와 달리 고깃집은 정육 식당처럼 이용할 수 있는데, 냉장고에 진열된 고기 중 원하는 고기를 골라 계산대로 가지고 가면 된다. 고기 종류는 돼지고기와 돼지갈비, 소갈비 등 다양하며, 결제 후 교실처럼 이름이 붙여진 식사 공간으로 이동해 식사하면 된다. 초등학생 이상부터 1인당 상차림비를 받고 있으니 참고하면 된다. 고기 외에 식사 메뉴로는 황칠 갈비탕과 황칠 밀면, 소고기국밥, 육회, 육회비빔밥 등이 있다. 장문 1969 옆 건물은 1971 카페로 식사 후 바다를 바라보며 커피 한 잔의 여유를 즐겨보는 것을 추천한다.
5.2Km 2024-05-29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논아랫개길 134-44
055-642-7614,010-6429-7612
천혜의 자연테마와 최고의 시설을 갖춘 통영최고의 펜션 꾸메푸메펜션을 찾아보자. 아름답고 수려한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위치해 있는 이곳은 사랑하는 연인과 가족과 함께 멋진 추억 여행을 위해 떠나고 싶은 이들을 위해 항상 정성과 정열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고 있다. 바다가 있어 더욱 아름다운 펜션 꾸메푸메는 최고급 통나무로 만들어진 아늑한 실내와 야외에서 즐길 수 있는 데크 시설과 바베큐장, 스쿠버, 낚시등 해양레저를 즐길 수 있는 시스템이 기다리고 있다. 아름다운 여름 추억을 만들고 싶다면 꾸메푸메펜션을 적극 추천한다.
(정보제공자: 통영시청)
5.2Km 2024-12-16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논아랫개길 134-48
010-7105-0716
맑은 공기와 아름다운 정경이 어울 어진 곳에서의 하루를 생각한다면 산양읍 신전리에 위치한 예향펜션을 찾아가자. 전 객실이 바다를 한눈에 안고 나무와 황토로 지어진 친환경 웰빙 펜션이다. 펜션앞 작은 몽돌해수욕장이 있어 연인과 가족들이 해수욕을 즐기고 돌아오기에도 안성맞춤이다. 150명의 인원이 수용 가능한 예향펜션은 단체인원도 수용이 가능하며 객실 내에서 취사도 가능하다. 통영버스터미널과 통영시내에서 12인승차로 픽업도 가능하며 야외 BBQ장이 있어 실외의 오붓한 자유공간도 누릴 수 있으며 거북선 모형 체험과 갯바위 낚시도 빠질 수 없는 놀거리 이며 금강송, 미인송, 오엽송, 금송, 해송 등의 객실이 나누어져 있어 다양한 형태의 방과 시설을 선택할 수 있다.
(정보제공자: 통영시청)
5.3Km 2024-08-30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한산일주로 70
한산도의 이충무공 유적지는 통영시 한산면 두억리 제승당 일원에 조성된 건물, 비석, 동산문화재 광장, 조경물 등과 풍치림야를 통칭한다. 임진왜란 때 충무공 이순신이 본영을 설치하고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의 직무를 수행하던 곳으로 1963년 1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좌수사로 있던 이충무공은 좌수영 함대를 이끌고 그해(1592) 5월 4일 1차 출동하여 옥포, 합포, 적진포해전에서 대승하고, 5월 29일의 2차 출동에서 적의 주력함대를 궤멸시킨다. 이어 7월 4일 제3차 출동에서 세계 해전사에 빛나는 한산대첩(7월 8일)을 승리로 이끌었다. 한산대첩으로 조선 수군은 제해권을 완전히 장악하여 왜군의 소위 [수륙병진작전]은 수포가 되게 된다. 이어 8월 24일의 제4차 출동에서는 부산포에 집결해 있는 일본함대 100여 척을 격파하는 대승을 거둔다. 이에 선조는 1593년 8월에 이충무공에게 당시 편제에도 없던 삼도수군통제사를 제수하고 경상, 전라, 충청 삼도의 수군을 통괄 지휘하게 하는데, 이 무렵 이충무공은 한산도에 진영을 옮기고 장기전에 대비한다. 한산도 두억개에 터를 고르고 진영을 설치하기를 정유년(1597) 2월 26일 파직되어 서울로 압송되기까지 3년 7개월 동안 하였는데, 운주당을 비롯한 각종 공해, 창고와 부대 시설이 어느 정도의 규모로 어떻게 건립되었는지는 문헌상 명확한 기록이 없어 확인할 수는 없다. 현재 난중일기와 시조 및 한시 등이 전하는데 그중에서도 한산도에서 어느 날 밤 달을 보며 읊었던 [한산섬 달밝은 밤에]가 유명하다. 정유재란으로 한산 진영이 불타버리고 폐허가 된 지 142년만인 영조 15년 (1739) 조경 제107대 통제사가 이곳에 유허비를 세우고 운주당 옛터에 예대로 집을 짓고, 제승당이라는 친필현판을 걸었다. 그 후 영조 30년(1760) 이충무공의 후손 이태상제121대 통제사가 낡은 건물을 중수하면서 유허비를 손질하고 비각을 뒤로 옮겨 세웠다. 그로부터 117년 뒤인 고종 14년(1877) 공의 10세손 이규석 제198대 통제사가 제승당유허비를 새로 다듬어 세우고 옛비는 그 옆에 묻어 두었는데 최근에 다시 발굴하여 2기를 함께 보존하고 있다. 건양 원년(1896) 통제영이 혁파되고 뒤이어 주권을 일제에 빼앗기게 되자 지방 유림에서 제승당을 관리하였으나 재원 조달이 어려워 점점 퇴락하여 가고 있었다. 이에 통영 군민들은 제승당의 퇴락을 두고 볼 수 없다 하여 1932년 3월 15일 [한산도제승당중건기성회]를 창립하고 모금 운동을 벌이는 한편, 한산도민들은 따로 [모충계]를 결성하여 [충무영당] 건립과 충무공 영정 봉안을 추진하여 1933년 6월 2일 [한산도 제승당 준공식]과 [충무공영정 봉안식]을 동시 거행하기에 이르렀다. 40 여 년 후 1976년 국가 예산을 투입하여 대대적인 정화 사업을 벌여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곳 유적지에는 충무사, 제승당, 수루, 한산정 등 당우를 비롯하여 유허비 2기, 한글유허비 1기, 통제사송덕비 7기, 비각 5동과 5개문(내삼문, 외삼문, 홍살문, 충무문, 대첩문), 기타 부속건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