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보리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순수보리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순수보리밥

순수보리밥

11.6 Km    1     2024-01-17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남로23길 30

순수보리밥은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다. 매일 신선한 채소 등을 직송받아 사용하며, 순창에서 가져온 특별 비법의 청국장과 직접 만든 고추장으로 음식을 조리한다. 대표 메뉴는 직화 불고기 보리 비빔밥이며 벌교 꼬막 보리 비빔밥, 간장 새우장 보리 비빔밥, 순수 나물 보리 비빔밥 등을 맛볼 수 있다.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북구미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쥬쥬동산, 봉곡테마공원이 있어 연계 여행이 순조롭다.

봉곡테마공원

봉곡테마공원

11.6 Km    0     2024-05-23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로18길 30 봉곡테마공원화장실

봉곡테마공원은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다. 도심 속에 있지만, 수목이 우거져 자연 친화적인 느낌을 주는 공원이다. 여름철엔 분수를 운영하며 어린이 놀이터, 교통교육장, 배드민턴장, 농구장, 산책로 등이 갖추어져 있다. 한적하게 산책하거나 잠시 쉬어가기 제격이다. 북구미IC에서 가깝고, 주변에 금오산도립공원과 금오랜드가 있다.

므므흐스 부엉이버거

므므흐스 부엉이버거

11.7 Km    0     2024-02-19

경상북도 칠곡군 매원1길 9

므므흐스 부엉이버거는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매원리에 있는 소화가 잘되는 수제버거 맛집이다. 건물 외관이 공장형이지만, 내부로 들어가면 깔끔한 매장이 나온다. 실내와 야외 좌석 어디든 이용할 수 있고 테이크아웃 손님도 많다. 대표 메뉴는 매콤한 맛이 일품인 땡초페스토 오지지널 버거지만 특제 데리야키 소스를 넣어 단맛과 짠맛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데장부 버거도 인기다. 이 밖에 할라피뇨와 베이컨을 넣은 산체스 버거, 체다치즈 2장, 베이컨, 더블 패티로 구성된 아미 버거 등도 있다. 사이드 메뉴로 오레오 쉐이크나 프렌치프라이도 맛있다. 왜관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박곡종택, 송정자연휴양림이 있다.

영명사(칠곡)

영명사(칠곡)

11.7 Km    18332     2023-12-08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금오동천로 84

영명사는 금오산 아래에 자리한 사찰이다. 1926년에 창건한 영명사는 본래 인근에서 작은 주막거리를 하면서 배고프고 아픈 이들을 돕고 살던 신심 깊은 어느 불자가 아들이 없음이 안타까워 부처님께 귀의하는 의미로 사찰을 세운 것이라고 한다. 이 불자는 결국 아들을 얻지 못했지만 현재 영명사는 득남기도처로 유명하다고 한다. 영명사는 법당, 요사채, 목욕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웅전은 인법당 형태의 전각으로 내부에는 최근 조성한 청동아미타삼존불상이 봉안되어 있다. 창건 당시 모셨던 삼존불상은 손상이 많아 경기도 여주의 목아박물관으로 이전했다. 이 밖에도 극락회상 후불탱화를 비롯하여 지장탱, 칠성탱, 신중탱, 산신탱이 봉안되어 있다.

구미 낙성리 느티나무

구미 낙성리 느티나무

11.7 Km    0     2024-04-23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낙성리 230-1
054-880-3597

구미시 해평면은 내륙의 지명 중 해(海) 자를 쓰는 몇 안 되는 지역으로 드넓은 문량, 해평들을 가지고 있다. 낙성 1리 마을은 매봉산 아래 아담하게 자리 잡은 마을로 5개 자연부락으로 해평면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국도변에 연접한 시장에는 주로 상인들이 영업하며 그 외 지역은 전형적인 농촌 마을로 형성되어 있다. 낙성리의 자연부락인 앞 고을 지명의 유래는 해평현의 동헌이 있는 앞 마을이라는 데서 앞고을이라 하였으며, 서원마을이란 해평현 때 향교가 있는 곳으로 낙봉서원이 지금도 낙성리에 남아 있다. 아곡은 옛날 신라시대 파징현의 관아가 있던 곳으로 향교 및 사창이 있었다고 하여 옆에 있는 못을 아곡지라고 한다. 창마라는 마을은 해평현의 병기창이 있던 곳이었으며, 중리 마을은 마을의 중앙에 위치한다고 붙여진 이름이며, 금스골(金石) 마을은 고려 태조 왕건의 비 해량원 부인의 출생지이다. 창마에는 나무 둘레가 5.5m, 수령이 210년 정도 되는 느티나무 고목이 마을 앞을 떡 버티고 있으며, 앞에 있는 당산과 뒤에 있는 주산에 매년 정월 미명에 동제를 행사했는데 제수는 오곡으로 찰밥과 어포류이다. 지금은 나무 아래 쉼터를 조성하여 마을의 일들을 논의하고, 또 마을의 논공행상을 논의하는 장소로 사용하고 있다. * 관련 고사 60~70년대 땔감이 아주 귀하던 시절에 마을 사람이 이 나무에서 말라 떨어진 가지를 주워 땔감으로 사용하였는데, 온몸에 두드러기가 나고 부스럼이 났다고 한다. 그 이후로는 떨어진 나뭇가지도 절대로 함부로 하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전하여 오고 있다. 또한 이 동네에 사는 사람이 나무를 베어 사용하려고 톱을 갖다 대는 순간, 밑으로 드리워졌던 가지가 위로 치솟아 오르고 천둥 번개가 쳐 혼비백산하여 달아났다고 하며, 그때 치켜 올라간 가지가 지금까지도 늘어지지 않고 하늘을 향하고 있으며 동네 사람들이 두려워 그 나무에 매년 정월이면 정성스레 제사를 지내오고 있다.

대성글램핑

대성글램핑

11.8 Km    3     2023-08-02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금오동천로 120-8

대성글램핑은 경북 칠곡군 북삼읍에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한국 최초의 도립공원인 금오산 인근에 위치해 있어 등산과 캠핑을 겸하고자 하는 이들이 많이 찾는다. 캠핑장에는 글램핑 9개 동이 마련되어 있다. 깔끔함이 돋보이는 글램핑 객실 내부에는 침대와 테이블, 의자, 냉장고 등이 비치되어 있으며, 외부 전용 데크에는 테이블과 취사도구, 개수대가 있어 바비큐를 해먹기 좋다. 또한, 반려동물은 소형견에 한해 동반 입장이 가능하다.

금화지

금화지

12.0 Km    0     2023-10-12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로 51

금화지는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금화리에 있는 저수지로 상수원 보호 구역으로 오염되지 않은 자연미를 가지고 있다. 농업용수 개발을 목적으로 한 농업용 저수지로 1978년 8월 10일에 착공되어 1984년 11월 27일에 준공되었다. 제방 쪽 상류에는 금화계곡과 신라 시대에 창건됐다고 전해진 금곡사가 있다. 계곡 주변에 관광농원이 조성되어 있어 칠곡군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유명하다.

행화촌자연테마파크

행화촌자연테마파크

12.0 Km    1     2023-08-21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지천로 798-9

행화촌 자연테마파크는 경북 칠곡군 지천면에 있다. 칠곡군청을 기점으로 16Km가량 떨어졌다. 자동차로는 석전로, 호국평화로, 소학로, 지천로를 따라 이동하면 도착한다. 캠핑장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30분 안팎이다. 캠핑장에는 자동차 야영장 5면이 조성되어 있다. 바닥 형태는 파쇄석이며, 사이트 크기는 가로 6m 세로 9m다. 화장실과 샤워장은 남녀를 구분해 각각 4개소와 2개소, 개수대는 4개소가 있다. 개인 카라반과 트레일러 동반 입장이 가능하며, 소형견에 한해 반려동물 출입을 허용한다. 캠핑장은 대규모 수영장을 갖추고 있어 여름철이면 어린이들에게 인기다. 또한 두부 만들기, 동물 먹이 주기, 고구마 캐기, 된장 담그기, 감자 캐기 등 체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다.

소풍 수제초밥전문점

소풍 수제초밥전문점

12.0 Km    2     2022-10-31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남로 49

소풍수제초밥전문점은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동에 있다. 깔끔하면서도 아늑하고 고급스러운 일식 전문점 분위기에 테이블 간 간격도 넓고 단체석도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에도 좋다. 대표 메뉴는 런치 세트로 알밥, 우동, 장국 등과 함께 신선한 활어 초밥이 나온다. 이 밖에 활어, 연어, 달걀로 만든 모둠초밥을 비롯해 생연어 초밥, 광어초밥, 새우 초밥 등도 맛볼 수 있다. 특선 물회는 4~9월에만 먹을 수 있다. 북구미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쥬쥬동산, 봉곡테마공원이 있다.

낙봉서원

12.0 Km    1486     2024-02-02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낙성1길 84-7

구미시 해평면에 있는 낙봉서원은 1646년(인조 24) 유림의 뜻으로 세워진 조선 시대의 지방 교육기관으로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담당하였다. 1787년(정조 11)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나,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이후 1931년에 지방 유림의 발의로 복원된 이래 제향을 지내오다가, 1977년 묘우를 다시 세우고 김숙자, 김취성, 박운, 김취문, 고응척의 위패를 봉안하였다. 경내에는 사우인 상덕묘, 강당인 집의당, 동재인 세심재, 서재인 정교당, 그리고 신문과 양정문 등이 있다. 이 중 집의당은 마루를 중심으로 양쪽에 1칸짜리 방이 1개씩 있는 구조의 공간으로 서원의 여러 행사 장소로도 이용된다. 예전에 유생들이 거처하며 학문을 닦던 거경재와 명성재는 지금은 향사 때 제수를 마련하는 공간으로 사용되며 매년 3월 두 번째 정일에 향사를 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