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가게]이방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백년가게]이방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백년가게]이방식당

[백년가게]이방식당

17.6Km    2025-08-21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옥야길 1

중소벤처기업부 2019년도 ‘백년가게’로 선정된 이방식당은 1977년 이방시장의 전통 먹거리인 수구레를 국밥과 국수로 팔았던 것을 시작으로 국물 맛을 더욱 진하게 개선하여 더욱 맛있는 수구레 국밥을 대표 메뉴로 이어가고 있다. 수구레는 소의 껍질과 쇠고기 사이의 아교질을 일컫는 부위를 말하며, 쫄깃하게 씹히는 맛이 미식가들의 입맛을 사로잡을 만큼 일품인데 수구레국밥 뿐만 아니라 수구레국수, 연탄석쇠불고기, 사골돼지국밥, 수구레양념볶음 등의 메뉴도 판매하고 있다. ‘음식은 문화이고 나눔이다’라는 선대 창업주의 영업방침에 따라 지역사회에 경로잔치를 열기도하고 불우이웃에게 식사를 제공하며 나누는 삶을 실천중이다.

이방시장

이방시장

17.6Km    2024-06-12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옥야길 2-7

1956년부터 이어져온 이방시장은 창녕군 이방면에 위치한 5일장으로 보통 이방장으로 불린다. 평상시에는 주차장으로 사용되다가 장날이면 이방시장으로 변한다. 시장 규모는 크지 않지만, 다양한 채소와 과일, 의류와 먹거리들이 있고 해산물을 판매하는 어물전도 있다. 또, 수구레 원조 국밥집이 있어 수구레 국밥을 먹기 위해 이방시장을 찾는 관광객들도 많다. 가까운 곳에 우포늪이 있어 여행 중 둘러봐도 좋은 시장이다. 특산품으로 마늘, 양파, 단감, 배가 유명하고, 향토 음식으로 수구레 국밥, 한우고기, 메기매운탕, 잉어찜, 붕어찜 등을 즐길 수 있다.

대자연횟집

17.6Km    2025-06-26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포천계곡로 75
054-931-4087

성주 포천계곡입구에 위치한 대자연 횟집은 싱싱한 각종 민물회와 매기매운탕 전문점으로서 기존의 전통과 맛을 더해 새로이 리모델링 하여 더욱 넓고 깔끔한 시설로 새로이 오픈했다. 계곡을 바라보며 식사를 즐기실 수 있고 이번에 한우곰탕은 새메뉴로 추가됐으며 닭,오리백숙은 예약주문시 가능하고, 포천파크 객실,펜션,레스토랑과 같이 연계되어 있어 손님들의 편의를 더하고 있다. 잔디밭 족구장 이용도 가능하다.

포천계곡

포천계곡

17.6Km    2025-08-19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화죽리

‘아홉 구비 홍개동 한 하늘이 열렸네. 백 년을 아껴 둔 이 산천일세. 새로이 정자 지어 몸을 누이니, 속세가 아니르세 별천 지로세’ 조선 후기 대표 선비인 응와 이원조 선생이 <포천구곡>이라는 시를 통해 포천계곡의 이름이 탄생했다. 계곡 상류의 폭포옆에 만귀정이라는 정자를 만들어 만년을 보냈던 곳으로 유명하다. 만귀정과 포천계곡은 성주 관광의 대표인 성주 10경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한 여름이면 수많은 피서객들이 만귀정 인근의 계곡에서 물놀이를 즐기는 피서 명소로도 잘 알려있으며 조선시대 선비와 같이 푸르른 산 경치와 폭포를 벗 삼아 청정한 자연을 만끽할 수 있다.

성주 포천파크

성주 포천파크

17.7Km    2024-10-16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포천계곡로 81
054-932-9339

성주포천계곡에 위치한 포천파크는 가야산 칠불봉이 보이는 경관과 가야산 줄기인 도덕산 아래 옛부터 대나무가 많아 대실, 죽곡으로 불리었던 가천면 화죽리에 위치해 있다. 전객실 최신주방시설이 완비되어 있는 콘도형 스탠다드 양실 12룸, 스탠다드 온돌12룸, 패밀리 온돌6룸, 넓은 잔디밭과 돌폭포 조경석이 있는 독채펜션, 독채 단체룸(2층), 캠핑카의 숙박시설이 있다. 또한 쾌적하고 분위기 있는 한식, 양식, 한정식 전문점인 포천 카페 레스토랑과 철갑상어회(매운탕), 민물회(매운탕) 전문점인 대자연 횟집을 연계로 운영하고 있으며, 건물 뒤 포천계곡이 흐르고, 느티나무 그늘 아래 있는 돌폭포들과 돌 박물관을 연상케 하는 각종 조경석들과 잔디정원 테마파크가 조경되어 있어 감상하실 수가 있다. 여름철에는 야외 수영장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포천파크야영장

포천파크야영장

17.7Km    2025-11-11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포천계곡로 81

포천파크 야영장은 경북 성주군 가천면에 있다. 성주군청에서 자동차로 20분이면 닿는다. 캠핑장은 상당히 고급스러운 분위기로 꾸몄다. 모던한 본관 건물, 여러 가지 돌 폭포 조경석, 고급 음식점까지 고급스러운 분위기의 부대시설이 가득하다. 양식과 한식 레스토랑, 야외 카페, 횟집, 콘도형 객실, 독채형 펜션, 야외 수영장 등 즐길 거리가 차고 넘친다. 캠핑장에는 카라반 3대가 있으며 객실 내부에는 침대, 냉난방기, TV, 냉장고, 취사도구, 조리도구, 개수대, 화장실, 샤워실 등이 있다. 사계절 내내 평일 주말 모두 운영 중이다. 캠핑장 인근에 가야산 국립공원, 홍류동 계곡 등 관광지가 많다. 캠핑장 내에 양식당, 한식당, 횟집도 있어서 먹거리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테크노폴리스중앙공원

테크노폴리스중앙공원

17.8Km    2025-11-11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테크노공원로 58

테크노폴리스중앙공원은 수상 데크 로드, 흙길 산책로, 야간 경관조명 분수가 어우러진 수변 공원이다. 공원 크고 넓은 편으로 산책하기 좋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흙길 산책로는 관광객들이 연못에 최대한 가깝게 접근해 산책할 수 있도록 조성했다. 게다가 해 질 녘 야간 조명이 켜지면 연못의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여러 산책로를 걸을 수 있어 많은 사람이 방문한다.

수포대

수포대

17.8Km    2025-03-17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가조가야로

수포대는 오도산 깊숙한 골짜기에 위치하고 있다. 오도산의 영봉을 지붕으로 삼아 그 주위에 전개되는 산수풍경은 천하절경이라 할만하다. 가조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6㎞되는 곳이다. 뾰족한 오도산이 발원한 물은 깊숙한 산골짜기 산자락을 적시며 크고 넓은 화강암반 수포대와 소를 만들고 그 위를 도란거리며 흘러넘친다. 그야말로 계곡의 맑은 물, 우거진 풍치림이 조화되어 절경을 이루는 곳이다. 또한 수포대를 품은 오도산은 자라와 관계된 오대산이라 불렸던 산으로 기러기포구에 자라처럼 우뚝 솟은 산으로 표현했다. 아름다운 산수도 이를 찾은 훌륭한 사람들과는 비길 수 없는 것으로, 동방오현인 일두 정여창과 한훤당 김굉필 선생이 이 수포대에서 5년간이나 강학하며 당시의 신학문인 성리학을 향토 선비들에게 전하며 자연을 노래한 유서 깊은 명소이다. 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수제자인 두 거목들이 베푸는 학문의 영향으로 산이름이 ‘오도(吾道)’로 바뀌고 마을 이름을 ‘대학동(大學洞)’이라 하였다.

성주자연오토캠핑장

성주자연오토캠핑장

17.9Km    2025-09-05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동신로 803

성주 자연 오토캠핑장은 경북 성주군 가천면에 자리 잡고 있다. 성주군청을 기점으로 약 14㎞ 거리에 있으며 자동차를 타고 참별로, 가야로, 포천 계곡로를 차례로 거치면 닿는다. 도착까지 소요 시간은 20분 남짓이다. 이곳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캠핑장 앞에는 포천계곡이 흐르고 있어서 자연 친화적인 캠핑을 즐길 수 있다. 캠핑장에는 파쇄석으로 이뤄진 일반 야영장 11면을 조성해놓았다. 사이트 크기는 가로 6m 세로 8m이며, 간격이 넓고 여유롭다. 개인 트레일러와 카라반 입장이 가능하고 전기,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관리소에서는 릴선, 화로대, 식기, 침낭을 빌려준다. 캠핑장은 연중 운영하며 예약은 전화와 온라인 실시간으로 받는다. 반려견 동반 입장이 가능하다. 캠핑장 주변에는 가야산 야생화 식물원, 가야산 국립공원 등 유명 관광지가 가깝다. 꿩 요리를 맛볼 수 있는 음식점도 있다.

오도산

오도산

18.0Km    2025-07-02

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 산제리

오도산은 도선국사가 깨달음을 얻었던 곳으로 오도산이라 한다. 가야산맥 중의 한 산으로 북동쪽에 두무산, 북쪽에 비계산, 서남쪽에 숙성산 등이 있어 가야산의 산각을 이룬다. 오도산의 원래 이름은 ‘하늘의 촛불’이라는 뜻의 천촉산 또는 까마귀머리처럼 산꼭대기가 검다고 해서 오두산이라 불렀다. 그러던 것을 한훤당 김굉필선생과 일두 정여창 선생이 오도산 산하 계곡을 소요하면서 우리나라 유도를 진작시킬 목적으로 유도는 우리의 道라는 뜻에서 오도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오도산 주위에는 두무산, 숙성산 등이 솟아 있으며 1982년 오도산 정상에 중계소를 설치하면서 그때 만든 도로를 이용해 일반 승용차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