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Km 2024-06-27
경상북도 김천시 옥산길 12
양조장카페는 경상북도 김천시 남면 옥산리에 있다. MBC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방송 오늘 저녁에 소개된 바 있다. 옛 양조장이 카페로 탈바꿈한 이곳은 빈티지한 멋을 풍기는 외관에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도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아메리카노다. 이 밖에 카페라테, 바닐라 라테, 생과일 오렌지주스, 레모네이드, 달고나 라테 등 여러 가지 음료가 준비되어 있다. 체코의 전통 꿀 케이크 등 각종 디저트도 맛볼 수 있다. 동김천IC에서 가깝고, 주변에 김천 녹색 미래과학관과 애니멀 필드가 있다.
15.3Km 2025-03-12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구교리길 94
영동 가학루는 황간향교 앞에 있는 누각이다. 이 누각은 자연경관을 즐기던 곳으로, 조선 태조 2년(1393)에 황간현감 하첨이 지었다. 임진왜란(1592) 때 불탔으나 새로 짓고 여러 차례 보수했다. 가학루라는 이름은 경상도관찰사 남공이 마치 학이 바람을 타고 떠다니는 듯하다 해서 지은 것이다. 앞면 4칸, 옆면 4칸 규모의 1층 건물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기둥과 난간만 있어 사방이 탁 트인 형태로 시원하다.
15.3Km 2024-12-02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 부항댐길 50
054-431-2011
산내들 오토캠핑장은 경상북도와 전라북도, 충청북도가 접하는 민주지산 삼도봉에서 발원하여 내려온 맑고 깨끗한 물을 담은 김천 부항댐 아래 위치하고 있어 청정 자연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체험, 휴양 여행지이다. 인근에는 시원한 댐의 풍광을 맞으며 산책할 수 있는 데크로드와 물놀이 시설이 있으며, 지역 향토 먹거리로 유명한 지례흑돼지를 맛볼 수 있는 식당가가 있다. 실내외 취사장, 온수 샤워장, 다목적체육공간과, 야외 공연장 등 전국 최고의 시설을 갖춘 산내들 오토캠핑장에서 아름다운 밤하늘의 별을 세며 가족, 연인, 친구와 함께 소중한 추억을 남길 수 있다.
15.3Km 2024-07-01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황간로 1676 음식점
원조동해식당은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마산리에 있는 다슬기 전문 식당이다. TV 프로그램에 여러차례 소개된 맛집으로 대표 메뉴는 올뱅이 국밥이고, 올뱅이 비빔밥, 올뱅이 무침, 올뱅이 된장조림, 올뱅이 전도 있다. 오전 7시 30분에 영업을 시작하기 때문에 여행길에 아침식사를 하기위해 찾는 손님들도 많다. 황간 IC에서 가깝고, 주변에 반야사와 월류봉이 있다.
15.4Km 2025-03-16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구교리길 88
황간향교는 태조 3년(1394)에 마을 뒷산에 세웠으나 현종 7년(1666)에 흙으로 쌓은 성안으로 옮겼으며, 영조 28년(1752)과 고종 9년(1872)에 수리하였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대성전, 명륜당과 고직사 등의 부속건물이 있는데 앞쪽은 배움의 공간, 뒤쪽은 제사공간을 형성하는 전학후묘의 배치형태를 따르고 있다. 명륜당은 학생들이 공부하던 강당으로 앞면 5칸, 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 자 모양을 한 화려한 팔작지붕집이다.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해 여러 성현들을 모시는 제사공간으로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 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집이다. 또한 주춧돌에 연꽃무늬가 새겨진 것으로 보아 사원건축양식과 정자, 주택양식이 절충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는 국가로부터 지원을 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1894) 이후에는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 가을에 걸쳐 제사만 지내고 있다. 이곳에 보관되어 있는 책들은 지방 향토사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15.4Km 2024-12-10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 부항로 109-38
경북 김천시 지례면, 부항댐 아래에 자리 잡고 있는 산내들 패밀리어드벤처파크는 `물`을 테마로한 자연 친화형 놀이공원으로 도심에서 접하기 어려운 카약, RC카 레이싱,드론, 물놀이 및 각종 체험 프로그램등을 온 가족이함께 글램핑을 즐기면서 접할 수 있는 테마형 놀이공원이다.부항댐의 수려한 자연 경관과 어우러진 최고시설의 글램핑장은 물론 국내최초로 약500미터 길이의 초대형 인공 수로에서 즐기는 카약 체험장, 국제규모의 F1 레이싱 코스를 본딴 R/C카 레이싱 서킷 및 드론 레이싱 코스를 갖추고 있다.또한 고가의 카약, GPS 장착 FPV드론 및 R/C카는 모두 대여가 가능 함으로 합리적인 가격으로 온 가족이 부담없이 함께하는 더 없이 좋은 놀이와 체험의 장이 될 것이다.주변 시설로는 인조잔디 축구장, 농구코트, 게이트볼장 및 물놀이장을 갖추고 있어 어린이 뿐 아니라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즐거움을 선사해줄 최고의 공간이 될 것이다.
15.7Km 2025-01-09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황간로 1618
안성식당은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마산리에 위치하고 있다. TV 프로그램에 여러 차례 소개된 맛집으로 대표 메뉴는 올뱅이 국밥이다. 이 밖에 올뱅이 비빔밥, 올뱅이전, 올뱅이 무침, 올뱅이 된장조림 등 다양한 다슬기 요리가 준비되어 있다.
16.0Km 2024-06-14
경상북도 김천시 개령면 동부1길 212
계림사는 직지사의 말사로 신라 눌지왕 3년(419년) 아도화상이 창건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창건 이후 조선 후기까지의 연혁은 전하지 않으며 1832년(순조 32) 성일이 중창하였고, 1922년 춘담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른다. 건물로는 대웅전과 응향각, 칠성각, 요사가 있다. 유물로는 마애비로자나불좌상과 높이 20m, 넓이 5m에 이르는 대형 괘불탱화가 전한다. 이 탱화는 언제 누가 제작하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가뭄이 심할 때면 마을 입구에 있는 쌍샘가에 모셔 놓고 기우제를 지냈다고 한다. 계림사 이름의 유래는 풍수지리로 볼 때 산세가 드세어 좋지 않은 사건이 많으므로 아도가 이를 미리 알고는 마을사람들에게 절을 짓고 닭 천 마리를 기르면 살인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일러주었다. 이에 마을 사람들은 아도가 일러준 곳에 절을 지어 닭을 키웠다고 한다. 그러나 기르던 닭이 자꾸 죽어 절 이름을 아예 계림사(鷄林寺)라고 고치고 닭 기르는 것을 대신했다고 한다. 또 계림이라는 말은 신비스러운 숲이라는 뜻도 되며, 절을 짓고 좋지 않은 일이 일체 없어져 경주의 계림과 같은 신비의 숲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기도 한다. 계림사가 자리잡은 감문산에는 예로부터 명당은 많으나 묘는 들어서지 않았다. 명당이라고 해서 묘를 쓰기만 하면 마을 입구에 있는 쌍샘의 물이 변하여 마실 수 없게 되기 때문이었다. 이 같은 일은 최근에도 종종 일어나 마을사람들이 산을 뒤져 몰래 매장한 묘를 파낸다고 한다.
16.1Km 2025-04-30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임계길 240-27
043-744-6040
영동 옹기공방은 서울에서 활동하던 여봉구 씨가 우리 전통 옹기를 제작하기 위해 영동으로 내려와 300년 전 가마터가 있던 자리에 그 얼을 잇고자 문을 연 곳이다. 옹기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과 도자기, 옹기의 전반적인 제조 과정을 배울 수 있는 배움의 장을 제공하고 있다. 이곳 옹기공방에서는 고급스러운 도자기가 아니라 소박한 찻잔, 미니 항아리 등을 직접 만들고 정성껏 천연유약을 바르면 세상의 하나밖에 없는 옹기가 탄생하게 되는 된다. 이때 사용하는 천연유약의 재료를 이곳 영동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는 것이 옹기장이 주인장이 영동으로 내려온 이유라 한다. 옹기장이 주인장의 한마디에 가슴 따뜻하게 이들의 옹기사랑이 느껴진다. 중국 흙으로 만든 그릇이 판치는 것이 못마땅했던 그는 우리 흙으로 된 건강한 도자기를 만드는 것은 물론, 흙을 만지는 기쁨을 알리기 위해 공방을 체험 장소로 개방했다. 도자기를 만드는 것은 흙을 만지는 기쁨과 함께 1,250도 고온을 견뎌내는 인내와 기다림의 예술이다. 옹기공방에서는 도예체험 외에 황토염색, 효소체험, 물놀이 등 아이들과 함께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이 마련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닭장, 포도밭 등 시골에서 놀며 배울 거리가 가득하다.
16.3Km 2025-03-05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목화실길 7
충청북도 영동군에 위치한 노근리 평화공원은 1950년 한국전쟁 당시 발생했던 노근리 양민 학살사건으로 희생된 영령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조성된 공원이다. 공원 내에는 방문자센터, 평화기념관, 위령탑, 조각공원, 사건현장, 전망대, 평화기원마, 야외전시장, 교육관 등의 시설이 있다. 평화기념관은 공원의 주제성을 부각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으로, 상설전시실 및 영상실 등을 포함하며 위령탑과 연계하여 노근리 평화공원의 랜드마크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노근리에서 희생된 영령들의 넋을 기려 유족들의 아픈 상처를 위로하고, 영동군의 상징성을 부각하며, 공공성과 예술성을 함께 갖춘 작품이 탄생할 수 있도록 기념비적인 형태와 현대적인 조형미를 결합하여 위패봉안시설을 갖춘 위령탑을 설치하였다. 조각공원에서는 사건의 본질적인 정신과 한민족의 미래를 보여줄 수 있는 공간으로, 노근리 주민들의 당시 모습과 아픔을 다양한 조각상을 통해 느낄 수 있다. 공원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쌍굴다리는 노근리 사건이 발생한 현장으로 당시의 상황을 짐작할 수 있다. 평화교를 건너 평화기원마당에 도착하는데, 이곳은 이용객의 휴식 및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추모 및 추념 등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난 뒤 사색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대규모 이벤트 행사 시 이용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피크닉 장소로 이용되는 다목적 공간이다. 야외전시장에는 노근리 사건 당시 공중 폭격을 했던 비행기와 동일 기종인 F-86F 전투기와 군용 트럭, 지프가 전시되어 있다. 교육관은 청소년들의 교육장소 및 국제 학술행사 시 보조공간으로서 약 3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이며, (구) 노송초등학교 부지에 건립되었다. 각종 세미나 개최 시 숙박 장소로서의 기능도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