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매묵집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할매묵집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할매묵집

할매묵집

15.2 Km    2     2022-11-08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로 1598

할매묵집은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면 어은리에 있다. 현대적인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에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메밀 묵밥이며, 도토리묵밥과 웰빙 보리밥도 인기가 많다. 이 밖에 황태 손칼국수, 잔치국수, 선짓국밥 등을 판다. 성주IC에서 가깝고, 주변에는 성주역사 테마공원과 성주 참외 체험형 테마공원이 있다.

성주 포천파크

성주 포천파크

15.2 Km    18805     2023-09-14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포천계곡로 81
054-932-9339

성주포천계곡에 위치한 포천파크는 가야산 칠불봉이 보이는 경관과 가야산 줄기인 도덕산 아래 옛부터 대나무가 많아 대실, 죽곡으로 불리었던 가천면 화죽리에 위치해 있다. 전객실 최신주방시설이 완비되어 있는 콘도형 스탠다드 양실 12룸, 스탠다드 온돌12룸, 패밀리 온돌6룸, 넓은 잔디밭과 돌폭포 조경석이 있는 독채펜션, 독채 단체룸(2층), 캠핑카의 숙박시설이 있다. 또한 쾌적하고 분위기 있는 한식, 양식, 한정식 전문점인 포천 카페 레스토랑과 철갑상어회(매운탕), 민물회(매운탕) 전문점인 대자연 횟집을 연계로 운영하고 있으며, 건물 뒤 포천계곡이 흐르고, 느티나무 그늘 아래 있는 돌폭포들과 돌 박물관을 연상케 하는 각종 조경석들과 잔디정원 테마파크가 조경되어 있어 감상하실 수가 있다. 여름철에는 야외 수영장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포천파크 레스토랑

15.2 Km    15067     2023-07-27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포천계곡로 81
054-931-9338, 932-9339

가야산 끝줄기로 이어지는 성주포천계곡 입구에 위치하여 있고, 계곡을 끼고 있는 자연녹지지역인 만큼 물과 공기가 좋고 자연 풍경이 그려진다. 여름에는 야외 파라솔에서의 식사 및 음료 주문도 가능하고, 펜션을 함께 운영하고 있어 각종 모임이나 단체에 이용하기에 좋다. 넓은 잔디밭과 족구장(배드민턴장)은 항상 개방되어 있다. 120석의 좌석과 인도홍(인테리어레드)의 바닥돌로 꾸며진 고급 인테리어로 편안하고 즐거운 식사를 하시기에 충분한 휴식공간과 분위기를 연출한다.

포천파크야영장

포천파크야영장

15.2 Km    0     2023-09-20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포천계곡로 81

포천파크 야영장은 경북 성주군 가천면에 있다. 성주군청에서 자동차로 20분이면 닿는다. 캠핑장은 상당히 고급스러운 분위기로 꾸몄다. 모던한 본관 건물, 여러 가지 돌 폭포 조경석, 고급 음식점까지 고급스러운 분위기의 부대시설이 가득하다. 양식과 한식 레스토랑, 야외 카페, 횟집, 콘도형 객실, 독채형 펜션, 야외 수영장 등 즐길 거리가 차고 넘친다. 캠핑장에는 카라반 3대가 있으며, 객실 내부에는 침대, 냉난방기, TV, 냉장고, 취사도구, 조리도구, 개수대, 화장실, 샤워실 등이 있다. 사계절 내내 평일 주말 모두 운영 중이다.
캠핑장 인근에 가야산 국립공원, 홍류동 계곡 등 관광지가 많다. 캠핑장 내에 양식당, 한식당, 횟집도 있어서 먹거리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무주 더 스위트 글램핑

무주 더 스위트 글램핑

15.3 Km    0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무풍면 오두재로 96

풀존, 밸리존, 루프탑 등 다양한 글램핑장이 구비되어 있다. 계곡과 워터 슬라이드가 있는 무주 최대 크기의 야외 대형 수영장을 보유하고 있다.

홍류동계곡

15.3 Km    35731     2023-10-30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가야산로 1502-9

가야산 국립공원에서 해인사 입구까지 이르는 4km 계곡으로, 가을 단풍이 너무 붉어서 흐르는 물에 붉게 투영되어 보인다고 하여 홍류동 계곡이라 한다. 주변 소나무 숲 사이로 흐르는 물이 기암괴석에 부딪히는 소리는 고운 최치원 선생의 귀를 먹게 했다 하며, 선생이 갓과 신만 남겨두고 신선이 되어 사라졌다는 전설이 있는 곳이다. 농산정과 최치원 선생의 시구를 새겨놓은 큰 바위가 있다. 홍류동 계곡에는 주요 문화재 자료인 농산정과 낙화담, 분옥폭포등 19명소가 있으며, 특히 농산정 맞은편에는 암각된 최치원 선생의 친필을 볼 수 있어 더욱 유명하다. 합천군에서 자랑하는 관광지 합천8경 중 제3경에 지정되어 있다.

대자연횟집

15.3 Km    15535     2023-06-14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포천계곡로 75
054-931-4087

성주 포천계곡입구에 위치한 대자연 횟집은 싱싱한 각종 민물회와 매기매운탕 전문점으로서 기존의 전통과 맛을 더해 새로이 리모델링 하여 더욱 넓고 깔끔한 시설로 새로이 오픈했다. 계곡을 바라보며 식사를 즐기실 수 있고 이번에 한우곰탕은 새메뉴로 추가됐으며 닭,오리백숙은 예약주문시 가능하고, 포천파크 객실,펜션,레스토랑과 같이 연계되어 있어 손님들의 편의를 더하고 있다. 잔디밭 족구장 이용도 가능하다.

캠핑 뜨락 오토캠핑장

캠핑 뜨락 오토캠핑장

15.4 Km    0     2023-10-05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조마로 1211-10

캠핑 뜨락 오토캠핑장은 경북 김천시 조마면에 자리 잡고 있다. 김천 시청을 기점으로 강변로, 양금로, 조마로를 지나 30분이면 도착한다. 이곳은 산새 소리가 지저귀는 숲속에 위치했다. 덕분에 고즈넉함과 청량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캠핑장에는 사이트 내 주차가 가능한 오토캠핑장 21면이 있다. A 구역은 데크 2면과 잔디 5면으로 이뤄졌으며, B 구역은 잔디 10면, C 구역은 파쇄석 4면이다. 데크 크기는 가로 3.6m 세로 6m, 잔디는 가로 7.5m 세로 9.5m, 파쇄석은 가로 6m 세로 8m다. 사이트마다 일반 식탁 크기의 바위 테이블을 배치한 것이 눈에 띈다. 화로 대, 전기,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으며, 관리소 겸 매점에서 릴 선과 화로대를 빌릴 수도 있다. 캠핑장 인근에 김천 부항댐 물 문화관, 도동서원 등이 있어 연계 관광하기에 좋다.

심원사(성주)

15.6 Km    31454     2024-06-05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가야산식물원길 17-56

심원사는 경상북도 가야산 동쪽 자락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로 창건연대가 8세기경으로 추정되는 천년고찰이다. 도은 이숭인이 지은 시에서 심원사를 이미 고사(古寺)라 칭한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 훨씬 이전부터 그 자리를 지켜왔던 사찰로 보인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정조 23년(1799)에 편찬된 범우고에는 폐사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어 이미 폐사된 것으로 추정되며 지난 2003년 다시 중창되었다. 대웅전과 극락전, 목탑 형식의 아름다운 약사전이 자리하고 있으며 그 아래에는 9세기 초에 조성된 심원사 삼층석탑과 아름다운 형식의 광배, 석조 유물 등 다수의 문화재가 있으며 탑의 양옆으로는 똑같은 형식으로 건축된 관음전, 문수전이 자리하고 있다. 현재 심원사는 1,700년 한국불교의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산사에서 수행자의 일상을 경험하는 전통문화체험인 템플스테이를 운영한다. 프로그램은 타종 및 108배, 꿈등 만들기, 일출 명상, 만물상트레킹, 염주 만들기, 향낭 만들기, 스님과의 대화가 있으며 개인은 물론 가족 단위의 체험도 가능하다. 지친 일상의 휴식과 나를 되돌아보는 수행의 시간을 통한 재충전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거창 내오리 지석묘

15.7 Km    14500     2023-12-08

경상남도 거창군 주상면

거창 내오리 지석묘는 황강 상류 내오리 야산의 끝 언저리에 있으며, 옆으로 내오천이 흐르고 있는 구릉지대에 3기가 있다. 이 가운데 제일 남쪽에 있는 것은 ‘탁자식’으로 덮개돌(상석)의 크기는 길이 2.86m, 너비 2.50m이다. 북쪽으로 약 5m 지점에 있는 것은 현재 덮개돌만 땅 위에 드러나 있는데 탁자식 지석묘의 형태를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덮개돌의 크기는 길이 2.7m, 너비 2.4m이다. 나머지 1기는 파괴되어 지금은 그 흔적만 남아 있는데, 하부 구조가 일부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석묘 내부에서는 민무늬토기·돌칼·돌화살촉 등이 출토되었다. 이 지석묘는 땅 위에 4개의 평평한 돌을 가지고 시신을 안치할 공간을 만들고, 그 위에 윗돌을 얹어 놓은 북방식 지석묘의 형식으로 영남지방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는 탁자식의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청동기시대 지석묘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