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6Km 2024-07-02
경상남도 함양군 광풍로 107
옛날금호식당은 담백한 맛의 안의갈비찜, 안의갈비탕 전문 한식당이다. KBS1 TV프로그램의 ‘한국인의 밥상’에도 소개된 곳으로, 안의면에서는 안의갈비탕 원조 집으로 알려져 있다. 안의가 갈비로 유명한 이유는 과거 안의 현 시절, 시장 근처에 도축장이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함양, 거창 등지에서 많이 먹으러 왔기 때문이라고 한다. 국내산 한우의 기름을 제거한 후 끓여낸 갈비탕과 갈비찜, 매운갈비찜이 대표메뉴이다. 또, 청국장으로 직접 만든 콩장과 쌈장도 맛볼 수 있다. 한우로 끓인 갈비탕의 국물은 진국이다.
14.6Km 2024-11-06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송계로 767-34
갈천서당은 조선 명종 때 6현신의 한 사람으로 광주 목사를 지낸 갈천 임훈(1500~1584)이 벼슬을 그만둔 뒤, 고향에서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아우 임운과 함께 1573년 건립한 서당이다. 그 후 1878년에 후손들이 중건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임훈은 생원시에 합격하여 광주 목사를 역임하였고 장례원 판결사로 임명되었으나 이를 거부하고 낙향하여 후학 양성에 힘썼으며 효행으로 정려를 받았다. 갈천서당의 건물은 강당과 대문으로 되어 있다. 강당은 정면 5칸, 측면 1칸 반의 맞배지붕 홑처마이고 양측 면에 풍판을 달았다. 처마 밑에는 그 당시 사용하던 큰북의 외통이 걸려 있다. 대문은 맞배지붕 솟을대문이며 뜰에는 후손들이 세운 두 형제의 신도비가 나란히 세워져 있다. 신도비는 임 씨 형제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세운 것이다. 현재의 건물은 1878년에 후손들에 의해 다시 세워졌다.
14.7Km 2025-04-03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5길 194
해인사 고불암은 1200년 역사를 가진 해인사의 산내 암자로서 해인사 암자 중 가장 높은 해발 900m에 법당이 있으며, 전체적인 건축구조와 형상이 산내 암자 중 해인사와 가장 비슷하며 전통적인 목조건물과 현대적인 건축물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전통사찰식 목조건물은 법당을 중심으로 양옆에 육화당, 벽안당이 있고 앞으로는 고불루가 있다.
14.8Km 2025-06-26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매바위길 14
용추밸캠프리펜션은 6,611 ㎡(2천 평)의 넓은 부지에 펜션과 야영장이 함께 있는 캠핑장이다. 캠핑장 바로 옆으로는 용추계곡이 있다. 수많은 계곡 중에서도 가장 멋진 자리에 있는 캠핑장이다. 함께 운영되고 있는 펜션은 신축 건물로 깨끗하며 깔끔하다. 캠핑장 계곡에는 평상도 있어 당일로 놀러 오는 손님들로 늘 북적인다. 수심이 낮은 곳에서는 아이들이 물고기도 잡고 물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내고, 깊이가 있는 계곡에서는 어른들이 튜브를 타며 어린 시절 그때로 돌아가 물놀이에 한창이다. 화장실과 샤워장은 카페 화장실처럼 깔끔하고, 정리정돈이 잘 되어 있으며, 온수도 콸콸 잘 나온다. 캠핑장에서는 초보 캠퍼들을 위해 텐트를 대여해주고 있다. 주변 관광지로는 황매산 철쭉 축제, 연암 물레방아. 오도재, 함양 상림숲, 용추사, 용추폭포가 있다.
14.8Km 2024-08-08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하원리 1565-1번지
용추 돌모리캠핑장은 펜션과 오토캠핑장이 함께 있는 곳이다. 캠핑장은 자연이 주는 모든 선물을 그대로 받는 캠핑장이다. 캠핑장은 맑은 계곡과 울타리 사이사이에 자작나무가 많이 심어져 운치를 더해주고 있다. 사이트 바닥이 강자갈로 되어있어 아이들이 넘어져도 크게 다칠 위험이 적다. 캠핑장 안에 계곡이 있어 여름이면 물놀이는 계곡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계곡물이 수심이 깊지 않아 아이들이 놀기에 적합하다. 여러 군데의 사이트가 있지만, 펜션과 함께 있는 사이트는 펜션 이용 시 무료로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대가족이나 단체로 오는 캠퍼들이 이용하면 좋을듯하다. 캠핑장 옆쪽으로 가면 1급수의 계곡 수영장이 있다. 이곳은 수심이 깊어 어른들이 이용하기에 좋다. 용추 돌모리캠핑장은 반려견 동반 입장이 가능하다.
14.9Km 2024-08-01
경상남도 거창군 송계로 793
070-8856-3434
경남 거창의 덕유산 자락에 자리잡은 20년의 천연허브화장품 제조&유통 전문기업 하늘호수에서 자사의 노하우로 만든 천연화장품만들기 체험프로그램을 운영중이다. 한국관광공사 웰니스시설로도 선정되어 있고, 스킨, 에센스, 올인원워시 만들기 등을 직접 해볼 수 있으며, 체험 후엔 코스메틱카페에서 차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체험 당일에 한해서 하늘호수의 화장품을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해 볼 수도 있으며 예약은 필수다.
14.9Km 2024-07-04
경상남도 함양군 용추계곡로 410
송림회관은 경상남도에서 유명한 맛집이다. 사람들이 많을 때는 예약을 안 하면 자리가 없을 정도다. 식사를 하는 곳 바로 앞에 계곡이 있어서 시원함과 함께 경치도 보고 메뉴도 즐길 수 있다. 식당의 모든 테이블이 계곡뷰다. 한방에서 쓰이는 좋은 약재를 많이 넣어 만든 백숙은 건강한 향이 코끝을 자극한다. 기본 반찬은 깔끔한 맛으로 즐길 수 있는 미역 줄기, 오징어회 무침, 깍두기, 김치, 오이, 양파, 고추절임 등이 나온다. 백숙과 동동주를 함께 즐길 수 있다. 넓은 전용 주차장이 있어 편리하다. 떨어지는 물소리가 마치 용이 승천하는 것처럼 들린다는 데에서 유래했다는 용추폭포와 용추사가 인접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15.0Km 2025-06-26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덕유월성로 2188
민들레울은 수려한 계곡과 자연이 어우러진 달빛고운 남덕유산 월성계곡에 위치하며, 자연의 따뜻한 감성을 전달해 머무는 사람들이 힐링할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는 카페이다. 애견 및 애완동물 동반도 가능하다. 조용하 분위기 속에서 다양한 허브가 가득한 온실과 아기자기한 정원, 아름다운 월성계곡을 보면서 브런치와 음료를 즐길 수 있다. 거창 창포원, 거창 감악산, 거창 Y자 출렁다리, 그리고 거창 산림레포츠 파크 등 거창의 명소와 함께 방문하기에도 좋다. 자연을 사랑하고,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이들에게 민들레울은 소중한 쉼터가 되어가고 있다.
15.1Km 2024-08-28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강선대길 96-326
거창 모리재는 동계 정온(1569~1641)선생을 기리기 위한 재실이다. 정온은 남명 조식의 학맥을 계승하고 한강 정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1610년(광해군 2)에 진사로서 문과에 급제하였다. 1614년에 부사직으로 재임하던 중 영창대군의 처형은 부당하다고 상소하고, 가해자인 강화부사 정항의 참수를 주장하다가 광해군의 노여움을 사 제주도 대정에서 10년간 유배 생활을 하였다. 모리재는 동계 정온이 사망한 뒤 선생의 덕과 애국충절을 기리기 위해 지역의 유림들이 지은 건물이다. 정문으로 사용된 화엽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2층 누각으로, 자연석을 둥글게 다듬은 기둥을 세웠다. 화려한 팔작지붕의 처마가 처지는 것을 막기 위해 사방 처마 끝에는 받침기둥을 세워 지붕을 떠받쳤다. 본당인 모리재는 자연석 초석 위에 정면 6칸, 측면 2칸의 일자로 된 팔작지붕의 건물로, 지역의 유림들이 모여 선생의 학문을 추모하며 공부하였던 곳이다. 모리재는 재실로서 특이하게 남부 지방의 민가 형식을 띠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규모도 매우 큰 편이라 할 수 있다. 현재의 건물은 1921년에 중수한 것이며, 유생들의 생활공간이었지만 지금은 관리사로 쓰는 서무와 사당 등의 건물이 남아 있다.
15.3Km 2025-03-16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오례길 127-3
백촌 김문기(1399∼1456)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고 이를 계승하고자 세운 곳이다. 김문기 선생은 세종 8년(1426) 과거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으나 사육신과 함께 단종복위를 꾀한 사건으로 희생당하였다. 그 뒤 영조 7년(1731) 복관 되고, 영조 33년(1757) 충의(忠毅)란 시호가 내려졌다. 오례사는 선생의 후손이 1870년에 세웠으며, 1994년에 크게 보수하여 오늘에 이른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외삼문, 추원재, 내삼문, 사당이 있다. 사당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 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추원재는 앞면 4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출처: 국가유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