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루노리캠핑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마루노리캠핑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마루노리캠핑장

마루노리캠핑장

14.6 Km    2     2023-07-01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지정면 지정로 1234

마루노리캠핑장은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에 자리하고 있다. 광주원주고속도로 동양평IC에서 양동, 단석리 방면으로 도착까지 소요 시간은 10분 안팎이다. 이곳은 오토캠핑 40면, 글램핑 4면을 갖췄다. 오토캠핑의 경우, 전기와 화로사용기 가능하며, 지정된 화장실, 샤워장, 개수대를 사용해야 한다. 글램핑은 복층형이다. 1층에는 취사도구, 식기류, 테이블, 의자, 냉난방기, 개수대가 구비돼 있고 2층은 침실이다. 화장실과 샤워실은 외부에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마련했다. 다양한 볼거리와 놀거리가 있는 곳으로, 테마별 체험은 파티쉐, 승마, 풍물놀이, 자연생태 체험, 야생 체험은 물고기 잡기, ATV, 캠프파이어가 있다. 부대시설로 수영장, 트램펄린, 놀이터, 운동장을 갖췄다. 매점에서는 캠핑 소모품을 비롯해 식품, 생수 등을 판매한다.

봉산동당간지주

봉산동당간지주

1.5 Km    21970     2023-07-02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개봉교길 41

당간지주는 신라시대에 창건하였다고 전하는 천왕사지의 경내에 서 있다. 1910년 「국권침탈」 당시 한쪽이 파손된 것을 1980년 4월 30일 복원하였다. 이 지주는 그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인정되어 1975년 6월 강원도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당간지주는 전하는 바에 따르면 신라 말기에 천왕사(天王寺)라는 사찰에 세워졌다고도 하며, 지금 있는 곳이 신라 초기 창건한 비마라사터라고도 한다. 형태는 커다란 자연석의 양쪽을 파서 지주석을 끼우고 가운데 당간이 앉을 자리를 둥그스럼하게 깎았는데, 간대석(竿臺石) 윗면에는 당간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당간 구멍[竿孔]을 팠다. 지주는 본래 네모꼴 돌기둥의 모를 죽이고 맨 윗부분은 4면에서 줄여 올라가서 가운데가 뾰족하게 한 것이었다. 이런 형식은 맨 윗부분을 4분 원형으로 깎은 다른 당간지주에 비해 독특한 모습이다. 현재는 복원 작업으로 다른 지주와 같은 형식을 하고 있다. 석재는 화강암이며, 높이 4.3m, 폭 55㎝이고, 간대석 크기는 1.8m×1.22m×75㎝이다. *당간지주는 주로 사찰에서 그 세를 알리거나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세우는 당간의 받침대이다. 괘불(掛佛)을 내걸기 위한 괘불대의 지주로 사용되기도 한다.

태종대(횡성)

태종대(횡성)

14.6 Km    18471     2023-07-03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강림면 태종로 287

태종대는 강림면 치악산 국립공원 매표소 바로 위에 위치한 곳으로 태종 이방원과 스승이었던 운곡 원천석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고려 말 4처사의 한 사람이었던 운곡 원천석은 조선조 태조인 이방원의 스승이었다. 운곡은 태조가 고려를 전복시키고 조선을 세우고 또한 그의 아들들의 피비린내 나는 왕권 다툼에 실망과 분노를 느낀 나머지 모든 관직을 거부하고 개성을 떠나 이곳 강림리에 은거하고 있었다. 험한 산골이었던 이곳에 방원이 임금으로 등극하기 전인 1415년 옛 스승인 운곡을 찾아 다시 관직에 앉히고 정사를 의논하고자 이곳을 찾았다. 그러나 강직하고 절개가 곧았던 운곡은 방원과의 만남을 꺼려 일부러 치악산 골짜기로 몸을 숨겨 만나 주지 않았다. 방원이 자기를 찾아다니는 것을 안 운곡은 개울가에서 빨래를 하는 노파에게 자신을 찾는 사람이 오거든 횡지암 쪽으로 자신이 갔다고 일러 주라고 신신당부를 하고는 운곡은 반대 방향으로 피신했다. 방원은 노파가 가르쳐 주는 곳으로 스승인 운곡을 찾았으나 끝내 운곡을 찾지 못하고 돌아갔다. 그 당시 방원이 머물던 곳을 ‘주필대’라고 불러오다가 나중 방원이 태종으로 등극하자 ‘태종대’로 부르게 되었다. 나중에 태종이 임금이 되어 다시 운곡을 부르자 차마 어명을 어길 수 없던 그는 상주 차림으로 옷을 갈아입고는 대궐에 들어가 태종의 형제간 살육의 비인도적인 처사에 대해 무언의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또한 임금인 줄 모르고 거짓을 아뢰었다가 나중에 그분이 지엄하신 임금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노파는 죄책감에 자신이 빨래하던 바위 아래 소에 몸을 던져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 후 이 노파가 빠져 죽은 소를 사람들은 ‘노고소’라 불렀으며 이곳 마을에서는 매년 이 노파에 대한 제를 올렸다고 한다. 부근에는 방원이 만나지 못한 스승을 향해 돌아가면서 예를 갖춰 절을 했다는 ‘배향산’이 있고 임금님의 수레가 넘었다는 ‘수레넘이’ 고개가 부근에 있다. 그리고 치악산 기슭에는 운곡이 머물렀던 ‘변암’이 그 당시 대쪽같던 운곡의 굳은 절개를 오늘의 우리들에게 이야기해 주고 있다.

고산낚시터

14.7 Km    18636     2023-11-06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호저면 호저로 1140
033-731-4151

고산낚시터는 강원도 원주시 호저면 고산리에 있는 약 40,00평에 이르는 수심이 깊고 물이 맑은 산간계곡지에 위치한 관리형낚시터아다. 상류로부터 1급수의 맑은 계곡물이 흐르는 곳으로 향어와 붕어 잉어 ,메기 등이 서식해 낚시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다. 여름이면 상류의 얕은 개울에서도 쉽게 피라미를 잡을 수 있어 온 가족이 물놀이를 겸한 피서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겨울에는 저수지 상류에서 열리는 고니골 빛축제도 즐길 수 있다.

구 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

구 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

1.5 Km    2     2023-07-03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중앙로 88

조선식산은행은 1918년에 설립한 특수한 은행으로, 일제강점기 일제의 경제적 침략에 큰 역할 했던 곳이다. 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은 2층 건물로 1934년 원주 지역에서 가장 처음 세워진 은행이다. 1943년에는 한국인 150명을 포함하여 498명의 행원을 채용하였으며, 조선총독부 산하 최대의 금융기관으로 활동해왔다. 1948년 광복 이후 일본으로부터의 자본 도입이 소멸하면서 은행업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다가 1954년 ‘한국산업은행법’에 따라 한국산업은행으로 재출범해 오늘에 이르렀다.
건물 외관은 전체적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상하로 긴 창문을 반복 배치하여 수직성을 강조하고 있다. 내부 공간은 천장을 높게 처리하고, 외벽은 인조석 질감의 몰탈 마감 등 일제강점기 은행건축이 가지고 있는 전형적인 특징을 잘 보여주는 건물이다.

장군본가

장군본가

1.5 Km    2340     2023-09-25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행구로 53
033-765-3065

강원 원주시에 위치한 한식 전문점이다. 강원도의 산나물과 원주의 특산물인 당도 높은 복숭아를 접목시켜 다양한 메뉴를 개발하였다. 그리하여 장군 본가에서는 다양한 장아찌와 복숭아불고기를 맛볼 수 있다. 이 외에도 한우 모둠구이, 돼지왕갈비 등 다양한 구이 메뉴도 준비되어 있다. 또한 넓은 단독 주차장과 단체 및 개인 손님이 편안히 식사할 수 있는 개별 룸 시설이 완비되어 있다.

한아름정육&숯불구이

한아름정육&숯불구이

1.5 Km    1     2023-07-02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천매봉길 32-14
033-766-4177

소고기와 돼지고기 구이를 모두 맛 볼수 있다. 강원도 원주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꽃등심이다.

클라우드펜션민박

14.8 Km    1     2023-07-02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초면 백교길 107

강원도 원주에 위치하고 있는 클라우드 펜션 민박은 지하 200m 암반수를 사용한 야외 노천탕이 제공된다.

치악신림오토캠핑장

치악신림오토캠핑장

14.8 Km    2     2023-07-01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신림면 성남로 194

치악신림오토캠핑장은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에 위치하고 있다. 캠핑장 가운데 드넓은 잔디광장에서 뛰어놀기 좋다. 야외수영장, 아이들을 위한 놀이동, 두가족사이트 등 가족단위 여행객들을 위해 잘 조성된 곳이다. 캠핑장 바로 앞을 흐르는 계곡에서 물놀이를 하기에도 좋다.

용운사지 삼층석탑

14.8 Km    0     2023-07-03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호저면

용운사터에 석불과 나란히 서있는 고려시대 3층 석탑이다. 1973년 7월 31일 강원유형문화재 제43호로 지정되었다. 탑 주변에서 ‘용운사’라 새긴 기와가 발견되어 절 이름을 알게 되었다. 신라 말기의 단아하고 섬세함과 고려 초기의 화려한 특징을 고루 갖추었다. 탑은 2층 기단에 3층의 탑신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기단 맨 윗돌 위에는 연꽃을 두른 두툼한 괴임돌을 두어 탑신의 1층 몸돌을 받치도록 하였다. 탑신의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으며, 낙수면의 경사는 느리고, 수평을 이루던 처마는 네 귀퉁이에서 살짝 들려 있다. 꼭대기에는 노반 위로 복발, 앙화, 보륜이 차례로 올려져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