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 황산리 신씨고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거창 황산리 신씨고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거창 황산리 신씨고가

거창 황산리 신씨고가

10.3 Km    26634     2023-10-06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황산1길 109-5

조선 연산군 7년(1501)에 요수 신권이 이곳에 들어와 산 이 후, 이 마을은 거창 신씨의 집성촌으로 번창해 왔다. 마을의 중앙에 위치한 이 집은 1927년 신도성이 건립한 근대기 주택으로 원학고가라고도 부른다. 당시 이 집의 주인은 큰 지주였다고 하는데, 이 집은 그러한 집주인의 경제력을 잘 보여주고 있다. 사랑채와 안채는 모두 경남 지방의 일반적인 주택 양식인 홑집 대신에 겹집의 팔작지붕으로 지어 집주인의 부와 권위를 드러내고 있으며, 사랑채는 궁궐이나 절에서 볼 수 있는 고급스러운 장식물로 꾸몄다. 잘 다듬은 커다란 돌로 쌓은 받침돌과 기둥을 받친 주춧돌 위에 설치한 기둥 자리 등은 조선 중기 이전에는 벼슬이 높은 양반 집안에서도 보기 힘든 모습이다. 그 밖에 안채와 그 건물을 둘러싼 크고 화려하게 지은 부속건물들도 집주인의 경제력을 과시하고 있다. 그러나 안채의 늘어난 방 수, 좁아진 대청, 집안에 들어선 화장실 등은 전통의 격식에서 벗어난 것으로, 20세기 초 실용성을 중시하던 가옥의 변모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 점에서 1920년대에 지어진 이 가옥은 격식의 해체, 실용성의 증가, 심화된 경제적 계층화 등 복합적인 사회 현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

원학고가[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원학고가[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0.3 Km    11505     2023-02-14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황산1길 109-5
010-5359-2224

경상남도 거창 명승지 수승대가 자리한 황산마을은 거창 신씨의 집성촌이다. 마을 중앙에 위치한 원학고가는 500년의 멋이 깃든 명품고택으로, 사랑채와 안채의 웅장한 팔작지붕, 큰 대들보와 둥근 주춧돌, 궁이나 절에서 볼 수 있는 고급스러운 장식물이 명망 높은 집안임을 보여준다. 사랑채, 중문채, 대문채에서 숙박이 가능하고, 사랑채에는 욕실 겸 화장실이 딸려있다. 한옥의 고즈넉한 정취를 느끼며 여름철 거창국제연극제를 즐기기 좋다.

안의진갈비탕

안의진갈비탕

10.3 Km    2     2022-12-06

경상남도 함양군 강변로 291-1

안의버스터미널 앞에 있는 안의진갈비탕은 외관도 내부도 깔끔하다. 미국산 초이스 등급을 사용하며 부드러움과 소고기 특유의 고소함이 있다. 기름을 잘 제거해 느끼함이 없고 무게감 있는 진함과 어울려 먹기 좋다. 초이스 등급은 한우 1등급과 동일한 급으로 부드러운 육질을 느낄 수 있다고 한다. 한우가 아니기에 가격이 높지 않아도 맛과 가성비가 뛰어나다. 기본 찬은 깍두기, 김치, 깻잎절임, 고추절임, 어묵볶음, 고추냉이 소스가 곁들여진 양파가 나온다. 하나같이 다양하고 깔끔한 맛을 주는 기본 찬이다. 주차는 강변에 편하게 할 수 있다. 용추자연휴양림과 농월정 등이 인접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거창 황산마을 옛 담장

거창 황산마을 옛 담장

10.3 Km    29485     2024-05-23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황산1길 109-5

거창 황산마을은 18세기 중엽에 황고(黃皐) 신수이가 입향하면서 번성한 거창신씨 씨족마을로, 마을의 생성은 16세기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조선시대 영조 이후 인물이 연이어 배출되었다고 전해진다. 마을 어귀에는 군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는 폭 5m 이상, 높이 15m 이상의 수령 600년에 달하는 고목이 자리하고 있어 마을의 역사를 증언하고 있으며 마을에서는 이 고목을 안정좌(安亭座)나무라고 부르고 있다. 마을은 대체로 평탄하며 마을 동측에 흐르는 호음천을 중심으로 큰땀과 동촌으로 구분되어 있다. 마을 내 주택들은 대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건립된 것으로 한말과 일제강점기 지방 반가의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며 규모와 형식면에서 월등함을 보여주는 시도민속자료 ‘거창 황산마을 신씨고가’ 등의 지정문화재는 전통마을로서의 가치를 더해주고 있다.

마을 전체는 약 50여호로 거의 안채와 사랑채를 갖추고 있으며 이렇게 한 마을 전체가 모두 기와집으로 무리지어 있는 것은 이른바 씨족부농촌으로 소작마을을 별도로 두었기 때문이다. 이 마을의 담장은 대개 토석담으로 담 하부 2~3척 정도는 방형에 가까운 제법 큰 자연석을 사용하여 진흙을 사춤하지 않고 대부분 메쌓기 방식으로 쌓았다. 이는 도로보다 높은 대지 내 우수(雨水)를 담 밖으로 자연스럽게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자연석으로 메쌓기 한 위에는 하부의 자연석보다 작은 20㎝ 내외의 돌을 담 안팎에 사용하여 진흙과 교대로 쌓아 올렸고 대부분 담장 상부에는 한식기와를 이었으며 또한 근년에 쌓은 담장은 기존 담장과 달리 엇쌓기를 하였다. 마을의 시한당 앞 연못은 일반적인 한국 전통의 연못양식인 방지원도형(方池圓島形)이 아닌 원지방도형(圓池方島形)으로 구성되어 있어 독특하다. 전반적으로 전통고가와 어우러진 활처럼 휘어진 전통 담장길은 매우 고즈넉하고 아늑한 느낌을 주고 있다.

* 담장 - 토담길이 약 1,200m의 돌담, 하부가 돌담 구조인 토석담
* 마을형성 - 600년전 형성
* 문화재 - 거창 대정리 신씨고가(경상남도 민속자료) 등 3건

감악산(거창)

감악산(거창)

10.3 Km    16675     2024-05-09

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 산295번지 일원(신원면 구사리 산12-1 인근)
055-940-3396

* 거룩한 산이라는 뜻의 감악산 * 감악산(952m)은 남상면 무촌리 신원면 과정리를 안고 있는 거창의 안산이다. 거창분지의 남쪽에서 서쪽 대용산과 동쪽 대덕산 돌마장산 매봉산들을 거느리고 한 일자로 흐르고 있다. 산 고스락 감악평전에는 1983년 6월에 세워진 KBS, MBC TV 중계탑이 있다. 감악산의 산 이름은 거룩한 산, 신령스러운 산, 큰 산의 뜻이 되는 감뫼로 곧 여신을 상징한다. 감악산의 전설로는 연수사 샘물로 신라 헌강왕이 중풍을 고쳤다 하는 얘기와 고려 왕손에 출가한 여승과 유복자와의 사연을 담고 있는 연수사 은행나무가 유명하다. 연수사는 절 이름에 ‘물 수’(水) 자를 넣어지었듯이 샘과 인연 깊은 사찰이다. 감악산은 거창군 남부권의 명산으로 지리산, 덕유산, 가야산에 둘러싸여 있고, 근거리에는 거창읍 전경과 합천댐을 볼 수 있는 조망권을 자랑하는 곳이다. 감악산 등산로인 물맞이 길을 따라 올라가면 중턱에는 신라시대 사찰인 연수사에서 전설을 지닌 약수와 은행나무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정상 부근에는 항노화 웰니스 체험장이 조성되어 있어 가을이 되면 낮에는 화려한 국화꽃과 거창읍 전경을, 밤에는 하늘의 별빛과 거창읍 야경을 관람할 수 있다. ※ 주변관광지 : 연수사, 항노화웰니스체험장, 거창CC, 거창사건추모공원

감악산 해맞이 행사

감악산 해맞이 행사

10.4 Km    3993     2023-12-20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055-940-3425

새해 첫날 해오름의 벅찬 감동의 순간을 가족, 이웃과 함께 밝은 희망을 가슴에 안고 새해 소망을 기원하고, 군민의 안녕과 화합분위기 조성으로 활기찬 사회분위기 조성 및 군정발전 의지를 결집해 “더 큰 거창 도약, 군민 행복시대 ”를 힘차게 열어나가고자 감악산 일원에서 해맞이 행사를 진행한다.

안의장 (5, 10일)

안의장 (5, 10일)

10.4 Km    10605     2023-11-14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약초시장길 25-10
055-962-0259

안의는 거창, 함양, 서상등의 교통 중심 지역으로 많은 곳에서 시장일에는 거창, 남원, 장천 등에서 많은 장꾼들이 모여 들어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지역 특산물의 판매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사과, 딸기, 복수박 등은 유명한 지역 특산품이다.

함양 토종약초시장 (5, 10일)

함양 토종약초시장 (5, 10일)

10.5 Km    9616     2023-09-18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약초시장길 27
055-964-5004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국내산 토종 약초만을 취급하는 함양 토종약초시장은 지리산과 덕유산을 끼고 있는 함양에 위치하고 있다. 함양 토종약초시장의 특징은 수입품은 취급하지 않고, 지리산과 덕유산 지역에서 생산된 산약재와 토종 약초만을 취급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토종약초 감별사를 고용하여 약초판매점을 대상으로 감별을 실시하고 있다.

안의원조갈비집

10.5 Km    19030     2024-02-14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광풍로 127-2
055-962-0666

안의원조갈비집은 1962년부터 개업하여 지금까지 명성을 이어온 한우 갈비 맛집이며, 함양군에서 지정한 지역특화음식점이다. 메뉴는 갈비찜과 갈비탕 두 개뿐이며 안의 지역에서 오랫동안 갈비찜을 만들어 온 이 지역의 소문난 갈빗집이다. 집에서 직접 담근 재래간장을 넣어 간을 맞춘 갈비탕은 이 집의 오래된 메뉴이다.

가조가마솥육개장순두부

가조가마솥육개장순두부

10.6 Km    0     2024-01-11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가야로 1129

가조가마솥육개장순두부는 한우로 직접 조리한 한우 육개장 전문점이다. 실내로 들어서면 셀프바 옆에 가방이 전시 및 판매 중이라 인상적이다. 전 좌석 입식 테이블과 의자가 배치되어 있으며 아기 전용 의자도 준비되어 있다. 대표 메뉴인 육개장순두부를 비롯한 육회비빔밥이 인기 메뉴이다. 모든 메뉴의 고기는 한우만 사용하고 있다. 주메뉴와 잘 어울리는 백김치와 같은 반찬도 다양하다. 손님의 재방문율이 높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