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담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담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우담

우담

14.8 Km    3     2024-04-04

경상남도 거창군 밭들길 87

거창읍에 있는 우담은, 엄선된 한우를 등급별로 부담 없이 골라 먹을 수 있는 소고기 전문점이다. 대형 매장답게 넓은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어 주차 걱정이 없다. 크고 널찍한 고기 진열대에 부위별 다양한 한우가 진열되어 있고, 특수부위, 버섯, 새우 등 소고기와 어울리는 사이드 메뉴도 다양하다. 소고기와 어울리는 다양한 와인도 판매하니 골라 먹을 수 있다. 고기 먹은 후에는 된장찌개, 잔치국수, 냉면을 맛볼 수 있으며, 갈비탕 도가니탕 등 점심 특선 메뉴도 준비되어 있다. 21개의 개별 룸이 있어 가족 모임이나 회식하기 적당하다. 식사 전후 거창생태공원, 거창사과 테마파크 전시관과 함께 둘러봐도 좋다.

토옥동송어횟집

토옥동송어횟집

14.8 Km    1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토옥동로 311

산속 계곡 옆에 있는 송어 횟집으로 관광객의 힐링 명소이자, 장수의 유명 맛집 중 하나다. 식당 옆 양식장에서 직접 기르는 송어를 요리로 제공해, 믿고 먹을 수 있다. 깨끗한 계곡물을 사용하는 양식장을 직접 눈으로 볼 수도 있다. 송어가 메인 메뉴이며 산천어, 모듬회, 백숙 등 다양한 요리를 맛볼 수 있다. 식당 전용 주차장도 널찍하게 마련되어 있다. 덕유산 토옥동 계곡이 바로 옆에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천적생태과학관

14.9 Km    17037     2023-09-05

경상남도 거창군 거함대로 3372-60 사과전시관,천적생태과학관

천적생태과학관은 거창 사과테마파크 부지내에 있으며, 곤충과 관련된 천적에 관한 자료의 발굴, 수집 보존, 관리 및 전시하며, 천적에 대한 전문적, 학술적인 조사와 연구, 천적을 이용한 체험, 탐구, 교육프로그램 운영하고 있으며, 2011년 10월 개관 하였다. 천적의 자연생태계와 농림생태계에서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천적의 이용, 대량생산, 제품화 등의 과정을 체험한다. 농업에서 천적의 이용 방법에 대해 체험하고 중요성에 대해 배우며, 천적도 우리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음을 보고, 듣고, 체험하고 느끼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항아리왕갈비

14.9 Km    14036     2023-09-06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강변로 285
055-944-0043

항아리 왕갈비는 돼지갈비전문 음식점이다. 갈비에 들어가는 양념은 생과일과 천연재료만을 사용하고 있으며, 갈비는 기본적으로 3일간 저온숙성시킨 돼지갈비만을 사용한다. 항아리 왕갈비 앞에는 스포츠 파크가 있으며, 덤으로 경치 좋은 풍경을 구경할 수 있다. 주변 관광지로는 거열산성 군립 공원, 수승대 국민관광지, 덕천서원, 수승대 국민관광지, 건계정 등이 있다.

월강사

15.0 Km    20255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계면 도장골길 37-8

월강사는 월강리 도장골 마을 입구, 나지막한 야산의 남서쪽 사면에 있는 사당이다. 1828년(순조 28)에 지방 유림의 장계에 의하여 왕의 윤허로 사당을 세웠다. 고려 보문각제학 정신재 백장, 예조판서 퇴휴재 송보산, 이조판서 손재 김남택, 경상우도 병마절도사 충의공 최경회 4분을 모셨다. 1868년(고종 5)에 사액서원 48개를 제외한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48년에 복설되었고 1974년에 경재 백여옥, 퇴거재 김남중, 삼락당 송수산을 추향하였다. 또한, 이곳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도 동북 방면의 방어 임무를 맡은 장수 현감 최경회 장군이 창의소를 만들고 의병을 모아 병사를 훈련하게 시키면서 장대를 세운 곳이다. 장대란 높이 쌓은 대로 지휘하는 장수가 올라서서 명령하던 곳이다. 월강사 주변에는 장계체육공원, 장수역사전시관, 장수군공공도서관이 있다.

월강서원

월강서원

15.0 Km    1476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계면 도장골길 37-8

1826년(순조 2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백장(白莊)·송보산(宋寶山)·김남택(金南澤)·최경회(崔慶會)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유림과 후손에 의하여 제단을 마련하고 춘추로 향사를 지내오다가 그 뒤 1948년에 복원하였다. 1974년에는 백여옥(白如玉)·김남중(金南重)·송수산(宋壽山)을 추가 배향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사우(祠宇), 4칸의 강당, 고사(雇舍)·행랑·대문 등이 있다. 사우에는 백장을 주벽(主壁)으로 하여 좌우에 송보산·백여옥·김남중·최경회·김남택·송수산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중앙의 마루와 양쪽 협실로 된 강당은 원내의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및 학문의 토론장소로 사용된다. 행랑은 공부하는 유생이 거처하는 곳으로 사용하며, 고사는 관리자가 거처하는 곳이다. 이 서원에서는 매년 3월과 9월 15일에 향사를 지내고 있으며, 제품(祭品)은 4 변(籩) 4두(豆)이다. 유물로는 『사선생사실록(四先生事實錄)』1 책 등 40여 권의 문헌이 있으며, 재산으로는 전답 1,500여 평과 임야 700여 평이 있다.

김남택신도비

15.0 Km    14948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계남면 원호덕길 79

신도비란 임금이나 고관의 평생 업적을 기록하여 무덤가에 세워두는 것으로, 이 비는 조선 전기의 문신인 김남택의 공적을 기리고 있다. 김남택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호는 손재, 성수이며, 본관은 함창이다. 고려말 공민왕 19년(1370) 현 계남면 침령마을에서 태중대부 원비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목은 이색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공부하였으며, 성격이 준엄하여 위언으로 항소하기를 좋아 하였다. 그는 조선조에 들어와 세종 조에 예조판서를 역임하다 만년에는 동생 형조판서 김남중과 함께 경상남도 하동에서, 다시 전라북도 장수 화산 북쪽 침령 아래로 퇴거하여 유학 진흥을 위해 진력하며 여생을 보내다 세종 18년(1436) 죽었다. 1828년(순조 28) 지방 유림의 공의로 월강서원을 창건하여 배향하였는데, 1868년(고종 5) 훼철되었다가 1948년 복설되었다. 이 신도비는 최근에 이르러 후손들에 의해 세워진 것이다. 주위에 둘러볼 곳은 논개사당, 뜬봉샘생태공원 등이 있다.

빠담빠담

빠담빠담

15.1 Km    1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안산로 267

하얀색 벽에 파란색 문의 빠담빠담은 마치 동화 속 주인공의 집이 연상되는 인상적인 카페다. 아늑하게 꾸며진 실내에 편안한 의자까지 갖추고 있어, 편안하게 차 한 잔 즐기고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할 만한 곳이다. 예쁜 카페를 찾는 젊은 연인들이 즐겨 찾아, 장수의 핫플레이스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복층으로 되어 있어 2층에서 바라보는 1층과 외부의 뷰도 매력적이다. 다양한 커피와 음료를 갖추고 있어, 입맛에 맞게 골라 먹을 수 있다. 주차장이 넓어 승용차를 갖고 방문하기에도 편리하다. 장안산, 침령산성 등이 주변에 있어 연계 관광하기 수월하다.

거창스포츠파크

15.1 Km    6641     2023-02-17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심소정길 39-36

거창스포츠파크는 23만㎡의 부지에 조성된 복합문화공간이다. 체육시설 뿐만 아니라 잘 꾸며진 도심 속 공원에서 조각품을 감상할 수 있는 문화시설도 갖춰져 있어 가족단위 나들이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야외학습장으로 인기가 높다. 주경기장인 종합운동장은 공인 제2종 육상경기장으로 1만 1천여명을 수용할 수 있고, 체육관, 수영장, 탁구장, 테니스장, 게이트볼장, 궁도장, 골프연습장, 족구장, 인라인장, 사격장, 농구장 등 다양한 체육시설을 갖추고 있다. 거창스포츠파크는 매력있는 미래가치 창조로 거창 군민들의 자긍심 향상과 생활속에 녹아있는 친숙한 시설로 나날이 그 가치가 입증되고 있다. 또한 체육 동호인들로부터 주목받는 전국적인 체육시설로도 자리매김해 나가고 있다.

성관사

성관사

15.1 Km    19632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계면 장무로 492-83

장계면 금덕리에 위치한 성관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의 말사로 1995년 선원을 개원하였다. 1999년 7월 4일 전통사찰로 지정되어 대각정신에 입각한 수행의 정맥을 잇는 대중 수행도량으로 사회적 포교활동과 사회복지활동 등을 수행하고 있다. 성관사는 대웅전·대각선원·설법전·중화당·범종각·삼성각·일주문 등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는 사찰이다. 대웅전은 정면 3칸·측면 3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목조건물로 1996년 건립되었으며 법당 내부에는 화려한 닫집 아래로 수미단이 놓여 있고 항마촉지인에 통견의를 입은 석가불좌상을 주존불로 하여 대세지보살상과 관음보살상을 함께 모시고 있다. 스님들이 참선을 하는 공간인 대각선원은 정면 7칸·측면 4칸의 팔작지붕 목조기와집이고 노스님들의 선방인 중화당은 정면 4칸·측면 4칸의 맞배지붕집으로 외벽에 죽석·송석·파도 등의 산수화가 그려져 있다. 설법전은 대각선원으로 사용하던 건물로 스님들의 선방이자 수행처로 사용하고 있으며 정면 7칸·측면 4칸 규모로 배흘림기둥을 세우고 다포식 구조로 만들어져 있으며 그밖에 정면 3칸·측면 2칸 규모로 1997년 조성한 범종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