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지박소머리국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함지박소머리국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함지박소머리국밥

함지박소머리국밥

11.9 Km    3     2022-11-09

충청북도 증평군 역전로 17

함지박소머리국밥은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창동리에 있다. 깔끔한 외관과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소머리국밥이다. 수육과 소머리전골도 많은 사람이 찾는 인기 메뉴다. 증평IC에서 가깝고, 주변에 보강천미루나무숲, 증평민속체험박물관이 있다.

괴산 외사리 당간지주

12.0 Km    15838     2024-02-02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외사리

괴산군 칠성면 외사리에 있는 당간지주는 화강암의 두 기둥 사이에 원형의 간대를 놓아 당간을 받게 한 것으로 양 기둥에 별다른 조각이 없다. 기둥 사이에는 당간을 꽂았던 둥근 받침돌이 2단으로 마련되어 있는데 그 윗면 가운데에 높이 솟아오른 부분에 깃대를 끼웠던 것으로 보인다. 기둥 안쪽 면에는 아래위로 홈을 두어 당간을 고정하도록 하였다. 각 부분이 비교적 완전하며 전체높이는 3.24m, 너비가 1.6m이며, 지주의 너비는 39cm, 두께가 60cm, 지주의 간격은 83cm로 별다른 장식은 없으나 웅건 견실한 인상을 주고 있다. 조각 솜씨가 세련되거나 정교하지 않지만 간결한 모습을 보아 고려시대 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의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면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깃발을 거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고,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당간지주 뒤쪽에는 마을이 형성되어 있으며, 마을 주위에서는 당간지주의 건조시기와 비슷한 시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부도, 와당 등이 발견된 바 있다.

하담 김시양 신도비

12.1 Km    15767     2024-02-01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능촌로 182

조선 인조 때의 명신인 김시양선생의 신도비로 1670년(현종 11년) 8월에 세워졌다. 김시양은(1581~1643)은 조선의 문신으로 1605년(선조 38)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11년 광해군 시절 전라도도사로 향시를 주관할 때 왕의 실정을 비유한 시제를 출제하였다 하여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1623)으로 풀려나와 여러 관직을 지냈다. 1624년 이괄의 난 때 도체찰사 이원익의 종사관이 되어 활약하고, 이어 경상도관찰사가 되었다. 인조 9년(1631년)에 병조판서에 올라 팔도도원수 ·사도체찰사를 겸임하고, 척화를 주장하였다. 이 신도비는 김시양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후대에서 세운 비석이다. 비석의 비문은 당대의 명문장가인 조경이 김시양의 아들인 김휘의 요청으로 지었으며, 글씨와 전자는 당대 최고의 서예가인 이정영이 썼다. 방형대석과 비신, 가첨석을 갖춘 전형적인 신도비로 최근에 난간석을 돌려 보호하고 있다. 모두 화강암으로 만들었으나 암질이 차이가 있다. 현 위치에서 동남쪽으로 500m 앞의 취묵당 옆도로(충민사 부근)에 세워졌던 것을 도로폐쇄로 1976년 이곳으로 옮긴 것이라고 한다. 이전 과정에서 귀부나 방형으로 조성되어 있었을 대석의 원형이 망실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비록 대석은 변형되었으나 가첨석과 비신은 화강암으로 300여 년이 지난 지금도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전형적인 조선의 신도비 양식을 갖추고 있으며 문장과 서체가 뛰어나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비학봉마을

비학봉마을

12.1 Km    2607     2023-12-04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명태재로 265

비학봉마을은 쌍곡구곡과 갈은구곡이 병풍처럼 서 있는 군자산과 비학산을 휘감고 있는 산막이옛길에 있으며 학동리, 외사리, 사오랑리, 갈론리 마을을 지칭한다. 마을에서는 숙박과 함께 계절별 농촌 체험을 할 수 있으며, 숙박시설은 산막이옛길숲체험관과 갈론산촌체험관이 있다. 이곳에서는 도시 생활에서 스트레스와 피로로 지친 사람들을 위해 깨끗한 자연경관과 다양한 계절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봄에는 봄나물 채취와 봄나물을 활용한 떡 만들기와 감자 심기를 여름에는 감자 수확, 올갱이 잡기, 여름철에는 캠프 화이어와 9곡 계곡 트레킹 프로그램이 있다. 가을에는 고추따기와 배추 묘종 정식을 겨울에는 1박 2일 김장 담그기와 율원저수지 얼음구멍낚시 등을 할 수 있다.

증평 증안골마을

증평 증안골마을

12.2 Km    24698     2023-09-05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삼보로 113

국토 중심부의 고장 증평, 교통의 요충지로 지리적으로 평야와 구릉지가 조화롭게 펼쳐진 지역으로 새롭게 급부상하고 있는 초중리 1,3,4리는 증평의 관문으로 도시형을 갖고 있고 자연경관이 아름다운 초중 2리는 전형적인 농촌마을로서 예로부터 초정리 광천수가 인근에 있어 각종 농산물이 맛이 좋기로 소문난 지역이다. 또한 삼보산의 정기가 가득한 증안골에는 가볍게 등산을 즐길 수 있는 등산로와 사시사철 시원한 약수터가 있어 늘 방문객의 발길을 멈추게 한다.

괴산의 자연과 한지체험 코스

12.2 Km    4547     2023-08-11

괴산은 특이한 이색 체험지가 많다. 한지체험박물관과 <공주의 남자> <선덕 여왕>등 드라마 단골 촬영지 수옥폭포를 거쳐 그 유명한 수안보 온천으로 마무리 하는 이 코스는 몸과 마음의 건강 모두를 생각하는 코스가 될 것이다.

출처 : 머물수록 매력있는 충청

이와카페

이와카페

12.2 Km    0     2024-04-12

충청북도 증평군 증안지길 155 무등산광장

이와카페는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초중리에 있다. 한옥으로 지어진 덕분에 외관과 인테리어에서 예스러운 멋을 풍긴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아메리카노이며, 리얼통자몽, 카페라떼, 이와슈페너, 흑당밀크티 등도 판다. 이와라떼는 증평산 인삼을 가마솥에서 24시간 동안 우려내 쓴 향을 뺀 음료다. 달고 고소한 맛이 어우러져 인기가 많다. 증평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보강천미루나무숲, 증평민속체험박물관이 있다.

괴산 둔율 올갱이마을

괴산 둔율 올갱이마을

12.3 Km    21464     2023-03-13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둔율길 142

* 가족을 위한 건강 먹거리 만들러 괴산 둔율 올갱이마을 * 둔율 올갱이마을은 올갱이가 많이 서식하는 너른 하천이 인근에 흘러 여름철에 휴가객들에게 인기가 높은 곳이다. 그러나 수확이 끝나고 겨울이 다가오는 11월이면 또다시 마을이 분주해진다. 괴산은 절임배추 생산지로도 유명하지만 고추 농사도 많이 짓는다. 이런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김장 체험이 활발하게 진행되기 때문이다. 김장뿐만 아니라 청국장, 손두부 등의 건강한 우리 음식 만들기 체험도 할 수 있다. * 먹거리 : 올갱이국, 올갱이 부침개, 올갱이 만두 * 인근볼거리 : 각연사, 군자산, 산막이 옛길, 갈은 계곡, 김기응 가옥

품바재생예술체험촌

12.3 Km    1     2022-11-17

충청북도 음성군 원중로399번길 30 품바재생예술체험촌

“품바재생예술체험촌”은 음성군의 특색있는 콘텐츠인 “품바”와 환경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재생예술”을 함께 접할 수 있는 관광명소로서 품바 리듬을 배울 수 있는 교육아카데미(고고장구, 가족난타 등)와 새활용 체험을 할 수 있는 재생예술 프로그램(새활용 콘테스트, 함께줍깅&비치코밍 등 현장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새활용 콘테스트의 경우 쉽게 버려지는 제품들을 다듬고 가꾸어 새롭게 만든 여러 가지 다양한 의상들을 심사하여 시상하는 프로그램으로 작년 처음으로 시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국구에서 다양한 참가자들이 참가하여 가지각색의 의상들을 선보였음 품바재생예술체험촌은 “착한 여행지”로 선정된 원남저수지 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날이 좋은 봄/가을에는 원남저수지 둘레길을 산책하며 힐링하기 좋음. 또 품바재생예술체험촌 바로 옆에는 ‘오감만족 새싹체험장’이 위치하고 있어 어른들 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즐길 수 있는 관광 콘텐츠가 풍부함 1. 친환경 여행 인프라 제고 노력: - 품바재생예술체험촌은 콘텐츠사업으로 환경 인식 제고, 쓰레기를 활용한 예술작품 제작 등을 위해 올해부터 특별한 교육을 선보이고 있음. 음성군 내 초‧중학교 학생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함께 줍깅 & 비치코밍” 활동을 실시하고 주운 쓰레기를 재활용하여 만든 예술작품을 전시하는 등 새로운 환경 교육 프로그램 진행함. 처음으로 선보인 프로그램임에도 불구 반응이 좋아 내년에도 사업을 진행할 예정임. - 현장 교육 외에도 체험촌에서 별도로 실시하고 있는 새활용 체험프로그램(하루업사이클 체험)을 운영하고 있음. 외부 강사를 중심으로 진행하여 재활용품 또는 새활용 공예 재료로 예술작품을 완성하여 환경 소재 활용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음 2. 친황경 실천 노력: - 품바재생예술체험촌의 건물은 에너지 절감을 위해 건물 위에 태양광을 일부 설치하여 신재생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음.

원남저수지(원남제)

원남저수지(원남제)

12.3 Km    0     2023-12-21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1388-1

원남저수지는 충북 음성군 원남면에 있다. 저수지는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지만, 관광객에게 산책과 명상을 함께 할 수 있는 휴식 공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여름철 연꽃이 피면 저수지 일대 풍경은 더욱 아름다워진다. 잘 정비된 산책로를 따라 걷다 보면 쉬어가기 좋은 벤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