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레몬떼 춘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마레몬떼 춘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마레몬떼 춘천

마레몬떼 춘천

4.6Km    2024-06-21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공지로 87 (석사동)

-

팬텀 춘천

팬텀 춘천

4.6Km    2024-06-21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공지로 87 (석사동)

-

쉬즈미스 춘천

쉬즈미스 춘천

4.6Km    2024-06-21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공지로 87 (석사동)

-

JDX 춘천

JDX 춘천

4.6Km    2024-06-21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공지로 87 (석사동)

-

미센스 춘천석사점

미센스 춘천석사점

4.6Km    2024-06-28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공지로 87 (석사동)

-

루이카스텔 춘천

루이카스텔 춘천

4.6Km    2024-06-28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공지로 87 (석사동)

-

와이드앵글 춘천

와이드앵글 춘천

4.6Km    2024-06-28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공지로 87 (석사동)

-

부안막국수

부안막국수

4.7Km    2024-12-26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후석로344번길 8
033-254-0654

춘천시 후평동 로타리, 후평동 우체국 뒷골목으로 들어가면 담쟁이덩굴로 가려진 한옥 2층 집이 보인다. 400년이 지난 기와지붕으로 멋을 낸 옛스러운 모양이 인상적이며 잘 가꾸어진 정원과 분위기와 막국수가 어울리는 집임을 느낄 수 있다. 담백한 야채 무침을 메밀부침에 말아 먹는 총떡의 맛은 토속적인 옛 맛을 느끼게 해준다. 메밀가루, 고춧가루, 참기름은 직접 집에서 제분하여 쓴다.

국립춘천박물관

국립춘천박물관

4.8Km    2025-07-31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우석로 70

국립춘천박물관은 강원특별자치도의 역사문화를 담은 복합문화공간으로, 강원 지역 문화의 원형과 특성을 찾고 이를 널리 알리기 위한 연구와 전시, 교육 및 다양한 문화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2002년 10월 30일에 개관하였으며, 120,106점의 소장품을 보유하고 있는 강원특별자치도 대표 박물관이다. 상설전시실, 브랜드실, 기획전시실, 야외 전시실 등의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선사시대부터 근세시대까지 강원특별자치도의 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살펴보기 좋게 전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제별 특별전시도 열고 있다. 국립춘천박물관은 자연과 조화를 이룬 현대적인 본관 건축물은 2003년 ‘제25회 한국건축가협회상’을 수상한 바가 있다. 또한, 2020년 10월에는 강원지역 최초로 ‘어린이와 자연’을 주제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신체, 감성, 소통 놀이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인 어린이박물관을 개관하였으며, 12월에는 가로 28m의 초대형 화면에 관동팔경, 창령사 터 오백나한 등을 담은 아름다운 영상이 생생하게 펼쳐 치는 실감영상카페를 개관하였다. 이처럼 국립춘천박물관은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박물관, 이제껏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박물관을 선사하고 있다.

한송사 석조보살좌상

한송사 석조보살좌상

4.8Km    2025-03-25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우석로 70

한송사 석조보살좌상은 원래 강원도 강릉시 한송사 절터에 있던 보살상으로 1912년 일본으로 옮겨졌다가, 1965년 조인된 '한일협정'에 따라 되돌려 받았다. 잘린 머리 부분을 붙일 때의 흔적과, 이마 부분의 백호(白毫)가 떨어져 나가면서 입은 손상이 남아 있을 뿐 거의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한국 석불상의 재료가 거의 화강암인데 비하여 이 보살상은 흰 대리석으로 만든 점이 특이하다. 조각 수법과 아울러 재료에서 오는 질감이 좀 더 우아하고 온화한 기품을 느끼게 해 준다. 약간 오른쪽으로 향한 듯한 얼굴과 몸은 풍요로우며, 조각수법 또한 원숙하고 정교하다. 원통형의 보관이나 풍만한 얼굴, 입가의 미소 등은 강릉 신복사지 속조보살좌상(보물)과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보물)에서도 공통적으로 보이는 특징인데, 이들보다 한층 더 세련된 솜씨를 보여주고 있으며 만든 시기는 고려 초인 10세기로 추정된다. 현재는 국립춘천박물관 상설전시실에서 만나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