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군할머니토종순대국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개군할머니토종순대국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개군할머니토종순대국

개군할머니토종순대국

19.2Km    2025-06-25

경기도 양평군 개군면 하자포길 27-2

개군할머니토종순대국은 양평군 개군면 개군우체국 옆에 있다. 개업한 지 60년이 지난 장수 해장국 전문점이다. 오래된 식당답게 실내분위기는 토속적인 느낌이다. 해장국의 기본이 되는 국물이 잡내가 나지 않고 개운해서 찾아왔던 손님들이 다시 찾는 곳이다. 대표 음식인 토종순대국은 뚝배기에 팔팔 끓는 국물과 각종 재료가 가득하게 나온다. 맑은 순대국에는 순대와 내장, 시래기, 파가 가득 들어 있고 마지막으로 들깻가루가 올라간다. 해장국과 같이 나오는 소스는 달짝지근하고 짭조름해서 해장국에 들어 있는 각종 부속물을 찍어 먹으면 또 다른 맛을 즐길 수 있다. ※반려동물 동반 불가

간현관광지

간현관광지

19.2Km    2025-07-04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금산길 12

원주시에서 서쪽으로 18km 떨어져 있는 간현관광지는 남한강 지류인 섬강과 삼산천이 합쳐지는 지점에 자리한 유원지이다. 강 양쪽에 40~50m 높이의 기암괴석들이 울창한 고목, 검푸른 강물과 조화를 이루며 강변에는 넓은 백사장이 펼쳐져 있어 경관이 빼어나다. 또한, 맑은 강물이 흐르고 백사장이 넓어 여름철이면 물놀이 피서객으로 붐빈다. 관광단지 맞은편의 간현암은 37개소의 바윗길이 생겨 암벽 타기를 할 수 있다. 또한 수시로 변하는 유수의 흐름과 수심의 변화로 매우 위험하여 삼산천에서의 물놀이는 매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하천에서의 야영, 취사, 모닥불 피우기, 낚시 등도 금지되어 있다. 간현관광지 내 소금산 등산로 입구에 있는 소금산 출렁다리는 왕복 1시간 20분 정도가 걸리며 높이 100m, 길이 200m, 폭 1.5m의 거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교량 바닥은 이용객들에게 짜릿함을 주기 위한 스틸그레이팅으로 특수 제작했으며, 바닥을 내려보는 아찔함과 스릴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다.

소금산 스카이워크 브릿지

소금산 스카이워크 브릿지

19.2Km    2025-03-16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지정면 소금산길 12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간현관광지 내에 위치한 소금산 스카이워크 브릿지는 총연장 334m 구간으로의 출렁다리 시작과 종점 구간을 등산로로 목재데크와 다리 등을 연결하여 간현 계곡의 빼어난 절경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더불어 2개의 전망대를 설치해 출렁다리 전체를 조망하고 아찔한 스릴도 만끽할 수 있다. 아름다운 경관과 스릴이 공존하는 원주의 추천 관광지다.

나오라쇼

나오라쇼

19.2Km    2025-04-21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지정면 소금산길 12
033-749-4860

나오라쇼 - 나이트 오브 라이트(Night of Light Show) "간현에 나와 빛의 밤을 즐기자" 잔잔하게 흐르는 강물과 기암절벽이 어루러져 절경을 이루는 간현관광지에서 밤에 내리는 아름다운 조명과 신비한 이야기, 아름다운 음악을 즐기며 특별한 추억과 낭만이 가득한 밤을 즐길 수 있는 쇼 1. 음악분수(Aqua Orchestra) 소금산 절벽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멋진 음악과 역동적인 분수쇼 세계 3대 분수(두바이, 여수엑스포, 벨라지오 호텔)에 적용된 최첨단 분수 기술을 활용한 간현관광지만의 아름다운 명품분수로, 최대 60m를 쏘아올리는 연출 분수를 포함 100여개의 노즐과 다수의 LED조명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연출이 가능하다. 하천에 설치된 국내 최대 규모의 음악분수로 관람객분들께 잊지 못할 추억을 선물할 것이다. 2. 미디어파사드(Media Facade) 밤에 내리는 아름다운 조명과 신비한 이야기가 있는 환상적인 세계 12대의 37,000안 시급 빔프로젝트를 간현관광지내 자연암벽에 비춰 양상을 표현하는 것으로 폭 250m, 높이 70m의 국내 최대 규모와 최고 화질로 보은 이야기를 담은 원주의 대표적인 설화 "은혜 갚은 꿩"을 소재로 미디어 파사드를 통한 풍성한 콘텐츠는 특별한 추억과 낭만이 가득한 아름다운 밤을 만끽할 수 있다. 3. 야간경관조명(Night view Lighting) 간현, 빛으로 깨어나다, 간현에서 즐기는 빛의 산책 삼산천교를 따라 레이저, 안개분수, 빛의 터널이 만들어내는 환상적인 빛의 쇼. 폐자재에 생명을 불어넣어 탄생한 생명의 나무 미디어아트 조형물, 수목조명이 밝히는 신비로운 숲을 지나 천렵을 주제로 한 몽환적인 홀로그램까지, 빛이 그리는 풍경화 나무가 속삭이는 이야기 속에서 우리가 꿈꾸는 환상속의 자연을 만날 수 있다. 7~8월 휴장 매주 토요일, 공휴일 전날, 공휴일전날 공연일(5월4일(일), 6월5일(목), 10월 2일(목), 10월 5일(일), 10월 8일(수))

원주 소금산 울렁다리

원주 소금산 울렁다리

19.2Km    2024-05-21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금산길 12

소금산 출렁다리보다 2배 더 긴 총길이 404m, 폭 2m의 보행현수교로 2020년에 착공하여 2년여의 대장정 끝에 완공되어 출렁다리의 이미지를 계승하고, 건너가는 사람이 아찔하여 마음이 울렁거린다는 의미로 '울렁다리'라고 명명되었다. 다리 중간중간에 조성된 유리바닥 구간은 울렁다리의 하이라이트 구간으로, 아찔하고 스릴 넘치게 섬강의 빼어난 풍광을 감상할 수 있다.

원주 농협 치악산 고구마 축제

원주 농협 치악산 고구마 축제

19.2Km    2024-10-04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지정면 소금산길 12
033)742-0114

원주농협 조합원들이 직접 재배한 고구마와 각종 농산물, 먹거리를 판매하는 축제이다. 현지 농산물을 저렴한 가격에 직접 구매할 수 있을뿐아니라, 로컬푸드로 만든 먹거리들도 함께 즐길 수 있는 축제이다. 지역특산품의 브랜드화를 위하는 축제임과 동시에 신선한 농산물을 농업인에게 직접 구매할 수 있는 판로를 만들어 농가소득 증대 및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 하는 축제다.

양평산수유한우축제

양평산수유한우축제

19.2Km    2025-06-26

경기도 양평군 개군면 하자포길33번길 8
031-770-3342

양평 산수유한우축제가 열리는 3월 말 ~ 4월 초순 경이면 양평 산수유마을에 산수유꽃이 노랗게 만개한다. 양평 산수유마을에는 예로부터 산수유 군락지가 조성되어 있어 논과 밭, 마을 곳곳에서 7천여 그루의 노란 산수유꽃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양평군 개군면에는 한우농가가 많아 품질 좋은 한우가 특히 유명하며, 축제에서 실속있는 가격으로 맛볼 수 있다. 아직까지 때 묻지 않은 소박한 시골 풍경을 그대로 간직한 개군면 산수유마을에서 가족과 함께, 친구와 함께 산수유 꽃길을 걸으며 힐링하고, 다같이 양평한우도 맛볼 수 있는 축제를 즐길 수 있다.

양평수목원캠핑장

양평수목원캠핑장

19.3Km    2025-06-25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부일길 35-70

양평 수목원 캠핑장은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양평 수목원 내 위치하고 있다. 수목이 어우러진 캠프 존, 글램핑을 체험할 수 있는 스위트 카라반, 부모님과 아이들이 함께할 수 있는 호숫가 멋진 풍경의 레이크 펜션을 운영하고 있다. 아이들을 위한 부대시설로 수영장, 어린이 놀이터, 도서관이 있다. 총 140면 캠핑장 규모로 수목원에서 조성한 산책길이 으뜸이다.

강윤정프로샵 오크밸리점

강윤정프로샵 오크밸리점

19.4Km    2025-03-21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지정면 구재로 216

강윤정프로샵은 오크밸리 입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스키, 보드 렌털 및 각종 장비 대여한다. 이 외에도 최신 스키용품 할인 판매, 단체 특별 할인 및 민박, 콘도 예약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키 강습을 진행하는 전 강사진이 대한스키협회 자격증 보유하고 있으며, 스키보험도 가입되어 있어 안전하게 강습을 받을 수 있다.

충주 지당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지당리 석조여래입상

19.4Km    2025-04-28

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 지당리

충주시 앙성면에 있는 원불사 경내에 봉안된 석불 입상이다. 마을 앞 과수원 근처의 민가 같은 곳에 모셔두었다. 원래의 위치는 확실치 않지만 마을에 불당, 미륵당, 산제당 등 3당이 있어 삼당리라 부르는 것으로 보아 근처의 절터에서 옮겨온 것으로 보인다. 원래는 머리에 비나 눈, 먼지 따위를 막아주는 보개를 쓰고 있었으나 보개는 불상에서 분리해 놓은 상태이다. 머리는 소발에 육계는 표현되지 않았으며 얼굴은 풍만상이다. 입술은 두꺼우며 눈은 마멸이 심해 잘 알 수 없으나 일직선으로 보인다. 양손은 손바닥을 바깥으로 향하여 밑으로 내렸는데 왼손은 약지와 소지를 구부리고 있다. 목 부분은 보수되었는데 삼도가 확인되며 배면에는 특별한 장식이 없다. 조선 시대에 조성된 불상으로는 보기 드물게 2m가 넘는 대형의 석불로, 정형적인 모습에서 퇴보하거나 형식화되어 자비와 엄숙함보다는 다소 친근함을 느끼게 하는 모습으로 당시 지방 불상 양식의 일면을 알아볼 수 있는 석불이다. 조각 수법은 전체적으로 서툴고 정교하지 않다. 마을에서는 예로부터 이 불상에 기도하면 아들을 낳는다는 얘기가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