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 대나무숲길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섬진강 대나무숲길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섬진강 대나무숲길

14.4 Km    0     2024-05-09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원방리 1

길을 걷다 보면 몸과 마음이 치유되는 기분이 드는 구례군 섬진강 대나무 숲길은 구례의 대표 명소이다. 대나무 향이 물씬 풍기는 이곳에서 일상 속 바쁜 삶은 잠시 내려놓고 숲길을 걸으며 자연을 만끽하는 힐링의 시간을 가져보자.

해달별천문대

14.5 Km    3     2023-06-14

전라남도 광양시 봉강면 하조길 91-20

청정지역 백운산 계곡 하조마을에서 별 헤는 밤을 보내보자. 먼저 교육관에서 관찰 가능한 대상과 망원경 다루는 방법에 대해 간단한 교육을 받고, 3~4명에 1대씩 망원경을 테라스로 가지고 나가 직접 관찰한다. 낮에는 태양필터를 이용, 태양을 관찰하고 밤에는 달과 별을 볼 수 있다. 달이 없고 맑은 날은 딥스카이(성운, 성단, 은하)관측도 가능하다. 체험 소요시간은 약 1~2시간(연중 예약시 가능)이며, 4인 이상 사전 예약시 체험을 진행한다. 천체사진 촬영도 사전 예약시 가능하다.

<출처 : 남도여행 길잡이>

서시천체육공원

14.5 Km    2     2023-08-31

전라남도 구례군 서시천로 84-11

서시천체육공원은 구례군 구례읍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벚꽃 명소이자 개나리꽃도 만개한 곳이다. 서시천 주변으로 약 1km의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고 그 안에는 5세~12세까지 나이 제한이 있는 자연아이 꿈놀이터와 성인들이 즐길 수 있는 농구 코트, 게이트볼 장 등이 있다. 자연아이 꿈놀이터에는 초대형 미끄럼틀이 있으며 체험 놀이 시설로는 도토리 동산, 점핑 매트, 집라인, 무지개 그네, 모래 놀이터 등으로 구성되어 산책로와 함께 가족단위 놀이 장소 및 주말 휴식처로 적합하다. 서시천변으로 서시천체육공원 다리와 산책길, 자전거길이 조성되어 있으며 사시사철 계절 꽃이 만발한 구례꽃강도 인접해 있다. 구례군 국민체육센터, 구례실내체육관과 바로 인접해 있으며, 이곳으로부터 11km, 차량 이동 12분 거리에 지리산 치즈랜드도 있으니 같이 방문하는 것도 좋다.

구례300리 벚꽃축제

구례300리 벚꽃축제

14.5 Km    2     2024-03-18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서시천로 84-11
061-780-2255

머물고 싶은 남도 제일 휴양지 구례군, 대한민국 최대의 벚꽃길(129km)에서 열리는 벚꽃축제로 구례300리 벚꽃축제는 자연과 사람, 역사와 문화, 구례의 멋과 가치와 함께 구례군민의 꿈과 희망을 담아낸다.

목월빵집.cafe

14.5 Km    2     2023-02-14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서시천로 85
061-781-1477

목월빵집.cafe는 구례에서 생산되는 금강밀, 토종우리밀 품종 앉은뱅이밀, 점장의 아버지께서 직접 농사지은 구례호밀과 흑밀을 사용하여 빵을 굽고 있다. 목월빵집.cafe의 빵은 계란과 우유가 사용되지 않으며 천연효모로 자연발효시킨 식사빵을 전문적으로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고운동계곡

고운동계곡

14.6 Km    24907     2023-12-06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반천로

고운 최치원이 지리산을 소요하다 머물렀을 정도로 빼어난 계곡으로, 고운동이란 지명도 최치원선생의 호에서 따왔다. 지리산록에는 옥천대, 문창대, 세이암, 환학대 등 고운과 관련된 지명에 친필이라고 알려진 쌍계사 진감선사 대공탑비, 쌍계석문, 광제암문 등의 글씨가 남아 있지만 그의 호를 딴 지명은 고운동이 유일하다. 고운동 계곡은 덕산에서 중산리 방면으로 가다 외공리의 정각사 안내 표지판을 조금 지나서 서지관광농원 안내표지판을 따라 들어가면 된다. 중산리에서 내려오는 계곡물을 건너 반천마을로 들어서기 전에는 작은 골짜기 안에 널찍한 들과 마을이 있다. 배바위를 지나 고운동에 오르는 길 또한 초입의 좁아 보이는 계곡에 비해 해발 800여m 상에 있는 분지에 올라서면 촌락이 있었던 곳답게 넓다. 계곡에는 배바위를 비롯하여 선녀탕, 운여폭포 등의 명소가 있다.

오차커피공방

14.6 Km    0     2023-10-19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봉성로 122
010-2819-5909

조선수군 재건 출정공원 앞 구례체육관 옆에 위치한 오차커피공방은 직접 로스팅 한 원두로 내린 커피와 히말라야 국화차, 오미자 에이드, 구례 팥과 생협 우유로 만든 약초 가마솥 팥빙수 등을 판매한다. 카페 내부에는 찻잔과 주전자들이 전시되어 있어 조용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부부식당

부부식당

14.6 Km    0     2023-09-19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구례2길 30

구례읍사무소 옆에 있는 부부식당은 섬진강에서 잡은 다슬기로 끓인 수제비로 유명한 곳이다. 신선한 다슬기로 수제비를 끓이면 국물이 푸른빛을 띤다. 수제비 반죽은 우리 밀을 고집한다. 다슬기 수제비는 보기엔 맑아 보이지만 매운 고추를 사용해 얼큰한 뒷맛을 남긴다. 수제비를 띄우지 않은 국만 주문할 수도 있다. 다슬기 무침은 뜨거운 밥을 넣어 비벼 먹으면 맛있다.

조선수군재건출정공원

조선수군재건출정공원

14.6 Km    1     2023-09-22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봉북리

하나로마트 구례농협 본점 인근, 손인필의 옛 집터 자리에 난중일기 등 역사자료 고증에 따라 조선수군 재건의 여정이 담긴 벽화, 청동부조 조형물, 정자 등이 있는 조선수군재건출정공원이 조성되었다. 이 공원에 설치된 벽화에는 백의종군하던 이순신장군이 1597년 8월 3일 삼도수군통제사로 재임명된 이후부터 9월 16일까지 전남 일대에서 조선 수군을 재건해 명량대첩을 승리로 이끄는 44일간의 여정이 담겨 있다. 이때 이순신장군 휘하에는 손인필, 황대중을 비롯한 군관 9명과 병사 6명이 전부였다고 한다. 이때 조선수군을 재건하는데 이순신장군이 설치한 통제영 주둔지이자 조선 수군 재건을 결의한 출정소가 손인필의 집이었다고 한다. 군관 손인필은 이순신장군의 휘하에서 수군을 재건하는데 필요한 병참물자 조달과 군사 모집 역할을 수행했으며 그의 아들 손응남도 긴급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한편 손인필 비각 옆에는 큰 바위 하나가 자리하고 있는데 일명 이순신 바위로 불리면서 이순신장군이 구례에 머물렀을 당시 바위에 앉아 구국의 방향을 고뇌했다는 이야기도 담겨있으며 나라를 구하고자 고뇌한 이순신 장군의 뜻을 기리고자 정자를 짓고 구국정이라 이름 붙였다.

광양 매화마을

14.6 Km    77872     2024-03-15

전라남도 광양시 다압면 섬진강매화로 1563-1

지리산 자락을 수놓으며 굽이굽이 흘러가는 섬진강을 따라가면 매화나무가 지천으로 심어져 있는 섬진마을이 있다. 이 마을의 농가들은 산과 밭에 곡식 대신 모두 매화나무를 심어 매년 3월이 되면 하얗게 만개한 매화꽃이 마치 백설이 내린 듯, 또는 하얀 꽃구름이 골짜기에 내려앉은 듯 장관을 이룬다. 이곳의 맑고 온화한 강바람과 알맞게 피어오르는 물안개가 매실 농사에 적합해서 수확량도 한 부락에서 연간 100톤이 넘는다. 올매화인 이곳의 매화는 지리산 능선에 잔설이 희끗희끗하게 남아 있는 3월 초순 경부터 꽃망울을 터트리며, 매실 수확은 지리산 철쭉이 한창 피어나는 6월에 시작된다. 매실은 다른 꽃들이 겨울잠에서 깨어나기 전에 꽃이 피고, 여름 벌레들이 극성을 부리기 전에 수확이 되어 농약이 필요 없는 청정과일이다. 매화나무 집단재배를 전국에서 가장 먼저 시작한 청매실농원에는 1930년경 율산 김오천선생이 심은 70년생 고목 수백 그루를 포함하여 매화나무 단지가 잘 조성되어 있으며, 매실 식품을 만드는데 쓰이는 전통옹기 2,000 여기가 농원 뒤편 왕대숲과 함께 분위기를 돋운다. 또, 섬진마을에서는 매화꽃 피는 3월마다 매화축제가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