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평메밀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봉평메밀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봉평메밀촌

봉평메밀촌

19.1Km    2024-07-03

경기도 여주시 점곡길 10-18

봉평메밀촌은 경기도 여주시 삼교동에 있는 막국수 전문점이다. 깔끔한 실내에 메뉴도 단순하다. 1989년 9월부터 30여 년 넘게 이어온 봉평메밀촌은 메밀면을 직접 뽑아서 사용한다. 또한 메밀가루, 김치, 고춧가루, 돼지고기 모두 국내산만 사용한다. 면은 메밀향이 은은하고 적당한 찰기에 부드럽고 고소하다. 대표 메뉴인 막국수는 무, 오이, 김, 깻가루가 듬뿍 얹어 나오고, 비빔막국수와 물막국수는 손님이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동치미 국물을 함께 제공한다. 동치미 국물을 1 국자 넣느냐, 2 국자 넣느냐에 따라 비빔막국수와 물막국수로 나뉘며 취향에 따라 각자 즐길 수 있다. 명태회막국수도 인기인데, 부드러운 명태와 함께 먹는 식감과 매콤달콤하면서 깔끔한 맛이 좋다. 수육은 삼겹살 부위를 사용하므로 비계와 살코기의 비율이 좋아 부드럽고 고소하다. 고기는 냄새가 없으며 매콤하면서 감칠맛 나는 무 무침과의 조화가 좋다. 8km 이내에 명성황후생가, 여주프리미엄아울렛, 강천섬, 금은모래강변공원, 다수의 골프장이 있다.

백향꽃누르미갤러리

백향꽃누르미갤러리

19.2Km    2025-01-15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얼음골길19번길 33

백향꽃누르미갤러리는 꽃누르미 명인이 운영하는 전시관이다. 오랜 시간 만들어 온 꽃누르미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꽃누르미란 생화를 말려 수분과 공기를 제거하여 꽃의 색감과 아름다움을 그대로 유지시키고, 이러한 말린 꽃을 활용하는 예술 활동을 말한다. 자연을 모티브로 실제 생화를 말려 작업하는 과정으로 세상에 단 하나밖에 없는 작품이 탄생하게 된다. 액자 외에도, 브로치, 팔찌, 목걸이, 귀걸이, 가구 등에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작품을 창작하고 있다.

감곡장 (3, 8일)

19.2Km    2025-04-08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장감로132번길 22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에 있는 재래시장이다. 조선시대 충주목 거곡면 지역의 왕장리는 오늘날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가 된다. 청미천을 경계로 충청북도 음성군 쪽을 음성장호원, 경기도 이천시 쪽을 이천 장호원이라고 부르고 있다. 과거에는 장이 열리는 지역 명칭의 특성상 감곡장을 왕장장이라 칭하기도 하였다.

서울해장국

서울해장국

19.2Km    2024-02-16

경기도 여주시 세종로 507

서울해장국은 경기도 여주시 점봉동에 위치한 해장국 전문점이다. 이른 새벽부터 영업을 시작하기 때문에 여행객들이나 운전기사, 골퍼들이 많이 찾는다. 양선지해장국은 내용물이 푸짐하고 신선한 양과 선지는 식감이 좋고 부드럽다. 자극적이지 않으면서 국물 맛이 시원한 황태콩나물도 속풀이용으로 좋다. 한우미역국, 소머리국밥, 설렁탕, 도가니탕 등 공복의 아침 식사로 좋은 메뉴들이 많다.

매산마을 담장벽화

매산마을 담장벽화

19.2Km    2025-01-10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성당길 10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 자리 잡은 매산마을은 서울과 경상도를 잇는 교통의 요지로 한때 관문 역할을 했던 곳이다. 이러한 마을의 이야기를 정겨운 그림과 글로 담아낸 담장 벽화는 매괴 성당으로 가는 길을 따라 이어져 있다. 벽화를 그린 주인공은 근처에서 궤짝 카페를 운영하는 화가와 그의 딸이다. 이들은 오래되고 낡은 마을 담벼락에 아랫마을과 안골, 윗동네 점말에 전해지는 다양한 이야기들을 소재로 그림을 그렸다. 옛 양수기에서 마을 아이들이 신나게 물놀이를 했던 모습이나 밤마다 도깨비들의 장난으로 괴이한 일들이 벌어졌다는 안골 골짜기, 마을 사람들이 옻이 오르면 목욕을 해서 깨끗하게 나았다는 옻샘 등 평범한 우리네 추억들이 보는 이들의 마음까지 따스하게 물들인다.

감곡매괴성모순례지성당

19.2Km    2025-03-06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성당길 10

감곡본당은 1896년 설립되어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초대 본당 임가밀로 신부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으로 1894년 첫 본당으로 유서 깊은 교우촌, 신학당이 있었던 여주 부엉골에 부임하게 된다. 본당 이전을 생각하던 중 사목 방문차 여주를 지나 장호원에 이르러 산밑에 대궐 같은 집을 보고 이곳이 본당 사목지로서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직감하게 된다. 그 즉시 임가밀로 신부는 “성모님 만일 저 대궐 같은 집과 산을 저의 소유로 주신다면 저는 당신의 비천한 종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그 주보가 매괴 성모님이 되실 것입니다.”라고 기도 하였으며, 부엉골로 돌아가서 매괴 성모님께 끊임없이 청하였다. 당시 대궐 같은 집은 명성황후의 육촌 오빠인 민응식의 집이었고 1882년 임오군란 때 명성황후가 피신 왔던 곳이기도 하다. 1896년 5월 성모성월에 그 모든 집터와 산을 매입, 매괴성월인 10월 7일 본당을 설립하기에 이른다. 결국 임가밀로 신부가 처음에 기도한 대로 감곡본당을 성모님께 봉헌하여 이곳이 감곡매괴성모순례지성당이 된 것이다.

매괴박물관

매괴박물관

19.2Km    2025-03-25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성당길 10

매괴박물관은 감곡성당 안에 위치해 있으며, 100여 년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성당으로 문화재로 지정된 대성당을 비롯하여 중부 지방 최초의 석조건물인 사제관과 많은 역사적인 서적 및 귀중한 가톨릭 유물등이 있으나 이곳저곳에 방치하여 오던 중 100주년을 맞아 역사적인 유물을 정리하여 후세에게 물려주고 또한 감곡성당을 방문하는 모든 이에게 보여주는 교육의 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여주 영릉(세종·소헌왕후)과 영릉(효종·인선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19.2Km    2025-03-19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영릉로 269-10

영릉(英陵)은 조선 4대 세종(재위 1418~1450)과 소헌왕후 심씨(1395~1446)의 능이다. 조선왕릉 중 최초로 같은 봉분에 왕과 왕비를 같이 모신 합장릉의 형식으로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에 세종, 오른쪽에 소헌왕후를 모셨다. 원래 영릉은 1446년(세종 28) 소헌왕후가 먼저 세상을 떠나자 현 서울 헌릉과 인릉 경내 인릉 자리에 조성되었고, 4년 뒤 세종이 세상을 떠나자 영릉에 합장하였다. 그러나 영릉이 풍수상 불길하다고 하여 세조 대부터 영릉을 옮기려고 하였으나 실현되지 못하였다가 1469년(예종 1)에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 옮기면서 옛 영릉에 있던 능침 석물과 신도비는 땅에 묻었고, 여주로 옮기면서 능침의 석물은 다시 만들었다. 영릉(寧陵)은 조선 17대 효종(재위 1649~1659)과 인선왕후 장씨(1618~1674)의 능이다. 영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위아래로 조성한 최초의 동원상하릉(同原上下陵)의 형식이다. 정자각 앞에서 능을 바라보았을 때 위에 위치한 봉분이 효종의 능이고, 아래 봉분이 인선왕후의 능이다. 이렇게 능을 위아래로 조성한 이유는 쌍릉의 형태처럼 봉분을 나란히 조성할 경우, 풍수지리상 생기가 왕성한 정혈(正穴)이 벗어나기 때문에 위아래로 배치한 것이다. 1659년 효종이 세상을 떠나자 현 구리 동구릉 내 원릉 자리에 조성되었으나, 조성 직후부터 능침 석물에 문제가 생겨 보수가 계속되자 능 안에 빗물의 피해가 있을 것을 염려하여 1673년(현종 14)에 옮기기로 하였다. 그러나 능을 옮길 때 방을 열어보니 물이 들어온 흔적이 발견되지는 않았다. 영릉 입구에 있는 재실은 제향을 준비하는 건물로 현재 조선왕릉의 재실 중 원형이 가장 잘 남아있다.

파타타

파타타

19.2Km    2025-01-20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로 117

파타타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근린공원 근처에 있는 브런치 카페이다. 건물 앞에 전용 주차장이 있어 편리하다. 층고가 높고 넓은 내부는 깔끔하게 꾸며져 있고 테이블이 여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건물 옆으로 인조 잔디가 깔린 야외 테이블이 있어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다. 대표 메뉴는 에그 포테딕트, 페타치즈 오일 파스타, 프렌치토스트 등의 다양한 브런치와 15시 이후부터 주문할 수 있는 감바스, 찹스테이크, 훈제 치킨 등의 저녁 메뉴가 있다. 음료는 커피, 에이드, 허브티, 맥주 등이 있고 브런치 메뉴 주문 시 커피 종류는 할인된다. 주문은 선결제이고 음료나 음식은 카운터에서 직접 받아 가면 된다. 파타타는 가족 손님을 위해 아기 의자도 준비되어 있고 반려동물은 실내, 실외 어디든 동반할 수 있지만 실내의 경우 켄넬이나 유모차를 사용해야 한다. ※반려동물 동반 가능

삼성 반려견 놀이터

19.2Km    2025-04-18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음성군 삼성면에 위치한 반려견 놀이터로, 반려견이 목줄 없이 뛰어놀 수 있는 운동장 및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