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Km 2024-05-23
대전광역시 동구 대학로 62 대전대학교
대전대학교 30주년기념관은 개교 30주년을 맞이한 2010년 지은 건물이다. 본부 행정동과 강의동으로 나뉘어서 지은 이 건물은 대전대학교의 과거와 현재를 잇고 미래의 도약을 상징하는 랜드마크의 성격을 띠고 있다. 승효상이 설계한 이 건물은 [생명-소통-조화-상생]이라는 대전대학교의 교육 철학을 엿볼 수 있으며, 무엇보다 건축으로 인해 절개된 자연을 건축으로 치유·재생시키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아울러 공동체 정신의 온전한 부활을 희망하는 승효상의 건축 미학이 어우러져 공간이 생활을 창출한다는 고전적 명제를 담아낸 작품이다. 이 건물에서 영화 [도둑들]과 [수상한 그녀] 등을 촬영했다. 대중교통은 대전 시내버스 61번, 61-2번, 66번, 605번, 608번을 이용할 수 있다. 주변에는 대전대학교 박물관, 우암사적공원, 대동하늘공원 등의 관광지가 있다.
2.5Km 2025-03-25
대전광역시 동구 옥천로 136-11
042-284-5825
대전에 위치한 장어, 먹장어요릿집이다. 정식 명칭은 ‘동서장어’ 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동서회관’으로 부르며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곳이다. 메뉴는 장어구이, 복지리탕, 장삼탕 등이 있다. 대표메뉴인 장어구이는 고소하고 부드러운 맛이 일품으로, 바삭한 겉과 촉촉한 속이 조화를 이루며 입맛을 사로잡는다. 또한, 다양한 반찬과 함께 제공되어 풍성한 식사를 즐길 수 있다. 이곳의 복지리탕은 깊은 육수의 맛을 느낄 수 있고 복껍질의 쫄깃함이 별미인 메뉴이다. 내부는 넓은 편이며, 좌석이 여유로워 편하게 식사를 즐길 수 있다.
2.6Km 2024-05-30
대전광역시 대덕구 한남로149번길 1
042-625-7798
대전 대덕구 오정동에 위치한 황해면옥은 냉면과 고기류를 전문으로 취급하는 음식점이다. 이 음식점의 냉면은 평양냉면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특색있는 김치비빔냉면도 취급한다. 그 외 온면, 만두, 만두국 등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다른 메뉴도 요리하고 있다. 지역 주민 뿐만 아니라 인근 대덕구청 공무원 등도 편리하게 이용하는 음식점이다. 황해면옥은 국도 17호선 대전로, 한남로, 대전천북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대중교통은 대전 시내버스 314번, 606번, 614번, 616번, 711번과 대전역~오송 BRT B1번을 이용할 수 있다.
2.6Km 2025-06-16
대전광역시 동구 동부로73번길 44
문충사는 대전 동구 동부에 위치한 사당이다. 이곳은 구한말에 일제에 항거한 유학자이자 우국지사인 송병선, 송병순 형제의 위패와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기존에는 1908년 충북 영동군에 건립되었는데, 송병선의 순국 60주년 기념사업 과정에서 1966년에 그의 순국지인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입구에는 송병선정려각과 함께 홍살문이 서 있고, 그 옆에 정면 5칸, 측면 1칸의 솟을대문인 외삼문 안에 ‘용동서원’ 현판이 걸린 강당이 있으며, 그 뒤의 내삼문 안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사당이 있다. 용동서원은 1970년에 건립되었는데, 조선시대의 서원 건축양식을 그대로 따랐다. 송병순은 1888년(고종 25) 의금부도사가 되었으나 곧 사임하고, 학문 연구에 몰두하다가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일본을 성토하는 격문을 지어 전국에 돌렸다. 이후 1910년 망국의 비보를 듣고 통분하여 형의 뒤를 따라 음독 자결하였다. 1977년에는 두 사람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 되었고, 1989년 3월 18일에는 이곳이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문충사는 국도 4호선에서 새울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고, 고속도로는 통영대전고속도로 판암 IC가 가깝다. 대중교통은 대전도시철도 1호선 판암역을 이용할 수 있다. 주변에는 식장산, 세천공원, 삼정동 산성 등이 있다.
2.6Km 2024-06-04
대전광역시 중구 계룡로 755
042-254-4999
인정원은 깔끔하고 정갈한 한정식을 즐길 수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20년 이상의 오래된 전통을 이어온 곳으로, 모범음식점으로도 선정되었다. 메뉴는 궁중정식, 인정원정식, 특정식, 반가정식 등의 다양한 코스 요리가 있다. 그중 대표 메뉴인 인정원정식은 식전 죽부터 문어숙회, 잡채, 육전, 홍어삼합, 보리굴비까지 푸짐한 한상차림이 제공된다. 단체룸과 개별룸을 완비하고 있어 가족모임, 동호회 등을 즐길 수 있으며 예약은 전화 문의를 통해 가능하다.
2.8Km 2025-09-10
대전광역시 동구 옥천로176번길 8
대전 밀면은 대전광역시 동구 판암동에 있다. 세월의 흔적이 엿보이는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부드럽고 쫄깃한 면발이 깔끔한 육수와 어우러진 물밀면이며, 새콤하고 달콤하면서 매콤하기까지 한 양념의 맛을 느낄 수 있는 비빔밀면도 인기가 많다. 불향 가득한 석쇠연탄구이가 세트로 나와 고기를 밀면에 싸 먹는 맛이 일품이다.
2.8Km 2025-03-18
대전광역시 서구 도안동
대전에 위치한 아름드리소공원은 조용한 분위기로, 산책로와 작은 정자가 마련되어 있어 휴식을 취하기에 좋다. 또한 넓은 호수와 푸른 숲으로 둘러싸여 있어 주변의 아름다운 경치를 감상하면서 가족과 함께 산책하기에 이상적인 장소이다. 어린이 놀이터, 운동 시설 등 여러 시설이 있다. 대전 서구의 숨은 명소로 현지인들이 자주 방문하는 곳으로 최근에는 SNS에서 사진 명소로 알려지기 시작하였고 많은 방문객들이 찾아오는 곳이 되었다.
2.8Km 2025-03-18
대전광역시 중구 중촌동
대전 중촌동에 위치한 중촌시민공원은 철길에 가로막혀 잘 보이지 않지만, 한적하고 산책하기 좋은 길이 넓게 펼쳐져 있다. 원형의 작은 공간에서 소공연을 하기에도 좋으며 체육 활동을 즐길 수 있는 다목적 운동장, 아이들을 위한 놀이터, 공원의 크기에 비례한 화장실까지 공원 산책을 하기에 안성맞춤이다. 또한 여름에는 물놀이터로 운영되며 다양한 포토존이 있어 사진 찍기 좋은 곳이다.
2.8Km 2025-06-20
대전광역시 동구 우암로326번길 28
유허비는 옛 선현의 자취를 살피어 후세에 전하고 그를 기리기 위하여 세우는 비로, 이 비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인 박팽년(1417∼1456) 선생의 행적을 기리고 있다. 박팽년은 사육신의 한 사람으로, 과거에 두 번이나 급제하여 우승지를 거쳐 형조참판이 되었다. 그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세종 때에는 신숙주·성삼문·유성원 등과 함께 집현전의 학사가 되어 왕의 총애를 받았다. 1455년 수양대군이 어린 조카인 단종의 왕위를 빼앗아 왕위에 오르자 성삼문 등과 함께 단종복위운동을 펴다 실패로 끝나고, 심한 고문으로 옥중에서 생을 마치었다. 이후 그의 높은 절의를 기리어 ‘충정’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비는 선생이 계시던 옛 건물터의 주춧돌들을 모아 세운 것으로, 사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지붕돌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현종 9년(1668)에 세웠으며, 우암 송시열이 지은 글에, 동춘당 송준길의 글씨로 하여 비문을 새겼다. 현종 13년(1672) 비각을 세우고 ‘장절정(壯節亭)’이라 이름하여 비를 보호하고 있다. ( 출처 : 국가유산청)
2.9Km 2025-03-18
대전광역시 동구 충정로 73-17
조선 선조 때 연원도(連元道) 찰방을 지낸 박계립(朴繼立:1600~?)이 지은 17세기의 건물이다. 대전 보건 대학 담을 끼고 좌측으로 가면 송시열 유적지가 나오고, 그 뒤쪽으로 올라가다가 박팽년유허비(朴彭年遺墟碑) 아래쪽에 있다. 인근인 동구 가양동에서 태어난 그는 관직에서 물러난 후인 인조 22년(1644) 이곳에 서당을 짓고 정원에 매화 세 그루를 심었으며, 사방에 정자를 세우고 버드나무 5그루를 심어서 오류정(五柳亭)이라 불렀다. 어느 날 송시열 (宋時烈)이 이 앞을 지나다 매화가 피어 있음을 보고 삼매당(三梅堂)이라 이름 붙였으며, 시를 지어 걸어놓고 갔다고 한다. 이후 이 건물을 삼매당이라 하고 그의 호도 삼매당으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