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M 2024-05-10
대전광역시 중구 사정공원로 70
대전오월드는 ‘주랜드+플라워랜드+조이랜드+버드랜드+나이트 유니버스’의 복합적인 공간으로 구성된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중부권 이남 최대 규모의 테마공원이다. 주랜드에서는 오월드에서만 볼 수 있는 한국 늑대 사파리가 있으며, 버스 안에서 야생 동물을 생동감 있게 관람할 수 있는 아프리카 사파리와 그 외 다양한 동물들을 만나볼 수 있다. 자이언트드롭, 후룸라이드, 슈퍼바이킹 등 스릴 넘치는 놀이기구를 조이랜드에서 체험할 수 있으며, 꽃과 물과 빛이 어우러진 향기로운 꽃의 세계인 플라워랜드, 희귀 새와 열대 정원이 어우러진 환상의 버드체험까지 즐길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장치와 흥미로운 스토리텔링을 더한 신비로운 나이트 유니버스에서 홀로그램쇼와 음악분수 워터쇼 등 환상적인 밤의 시간을 경험할 수 있다.
524.0M 2025-03-18
대전광역시 중구 사정공원로 70 (사정동)
대전 오월드 안에 펼쳐진 초대형 레이저 서바이벌 야외 경기장이다. 동시 경기 2명부터 50명까지 가능하기에 학교, 청소년 단체 등 단체활동에 적합하다. 오월드의 주랜드, 플라워랜드, 조이랜드 등 다양한 놀거리와 볼거리를 함께 즐길 수 있다. 개인 고객부터 단체 고객까지 다양하게 이용 가능하며 상쾌한 자연 공간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1.0Km 2025-03-18
대전광역시 중구 무수동 195
대전 무수동 치유의 숲은 상수리나무 55.6%, 신갈나무 15.0%로 활엽수림이 주를 이루고 있고 침엽수림은 일부 분포하고 있다. 대상지 일원에 보문산 공원, 뿌리공원, 보문산성, 보문 사지, 목재문화체험장 등 경관이 우수하고 다양한 볼거리가 존재하는 중부권 대표 치유의 숲이다. 자연으로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힐링명소로 환경보호를 위해 취사와 흡연, 야영 등을 금하고 있으며, 가족/일반인, 노인, 직장인/주부, 청소년, 어린이,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한 6개의 유료 프로그램 운영 중이다. 프로그램과 편의시설 외에도 1.5km, 2.7km, 1.5km 등 3가지 코스의 테마 숲길을 조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숙박시설과 식당을 운영하지 않고 주변 시설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주변 경제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1.1Km 2023-08-09
대전은 유교와 뿌리 문화가 깊은 고장이다. 역사와 전통이 보존되어 있는 무수천마을의 체험과 대전의 종가와 유회당 사당을 통해 지역색이 강한 대전의 문화를 맛볼 수 있으며 뿌리공원과 박물관에서 성씨에 대한 궁금증을 알아볼 수 있는 코스다.
1.1Km 2025-06-19
대전광역시 중구 운남로 63
안동권씨 유회당 종가 일원은 조선 영조 때 호조판서를 지낸 유회당 권이진(1668~1734) 선생이 처음 터를 잡았던 집으로, 화재로 소실된 것을 1788년 후손들이 현재의 자리에 옮겨 지은 것이다. 이 가옥은 보문산 남쪽을 배경으로 하고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아늑한 곳에 자리하고 있다. 이는 산과 내를 벗하여 생활함으로써 청결하고 참된 선비의 경지를 이루겠다는 생활철학이 담긴 것이다. 전반적으로 건물의 규모를 작게 하고, 건물 간의 공간을 여유롭게 배치한 유회당 종가는 낮은 잡석 기단 위에 구성된 ㄱ자형 구조, 안채의 온건함, 아담한 크기의 사당, 마을 공동체의 구심적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이는 모정, 자연과 어우러지는 정원 등을 통해 다양한 공간 구성을 보여준다. 2001년 6월,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대전광역시의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안동권씨 유회당공파 종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1.2Km 2025-06-16
대전광역시 중구 운남로85번길 32-20
유회당사당은 보문산 남쪽 기슭에 위치한 조선시대 문화재이다. 조선 영조 때 호조판서를 지낸 유회당 권이진(1668∼1734) 선생이 건물 뒤 산에 있는 부모의 묘에 제사를 지내면서 독서와 교육을 하기 위해 1714년(숙종 40)에 지었다. 유회는 ‘부모를 간절히 생각하는 효성스러운 마음을 늘 품고자’하는 뜻을 담고 있으며, 중국 명나라 때 학자인 전목제의 ‘명발불매 유회이인’이라는 시에서 따온 말이다. 유회당은 앞면 4칸, 옆면 2칸 건물로 활수담이라는 작은 연못 뒤쪽에 있다. 앞면과 양쪽 면에 난간이 돌려진 툇마루가 있고 가운데 넓은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양쪽에 온돌방을 배치하였다. 기궁재는 유회당, 삼근정사 등을 관리하기 위한 재실 건물로, 제사나 종친회 등에 사용된다. 넓은 대청을 중심으로 안방, 건넌방, 부엌 등이 있다. 이곳은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1989년 3월 18일, 대전광역시의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3Km 2025-07-08
대전광역시 중구 뿌리공원로 79 뿌리공원
대전광역시 중구 침산동 일원 3만 6천여 평의 부지에 세계 최초로 성씨를 상징하는 조형물 및 한국족보박물관, 각종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효를 주제로 1997년 11월 1일 개장한 테마공원이다. 충효사상 및 주인정신을 함양시키는 교육공원이면서 가족 단위의 다양한 이벤트 행사가 마련된 가족친화 공원이자 천혜의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한 도심 속의 자연공원으로서의 특색을 잘 나타내고 있다. 자신의 뿌리를 되찾을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과 사신도 및 12 지지를 형상화한 뿌리 깊은 샘물, 각종 행사를 할 수 있는 수변무대, 공원 중심에 자리 잡은 잔디광장과 공원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 팔각 정자뿐만 아니라 산림욕장, 효문화정원, 힐링쉼터 등 다양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수변무대에서 펼쳐지는 문화·예술공연과 매년 열리는 대전효문화뿌리축제 등 다양한 행사도 즐길 수 있는 유익한 공원이다.
1.3Km 2024-10-15
대전광역시 중구 사정공원로 160 (사정동)
사정인라인스케이트장은 대전 중구 사정동 사정공원 내에 위치한 대전 유일의 실내 인라인 스케이트장이다. 이곳에서는 사계절 내내 인라인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다. 넓은 주차장을 갖추고 있어 가족 단위 이용객이 많으며, 대전오월드가 인접하고 있어 가족들과 함께 나들이도 함께 즐길 수 있다. 특히 인라인 동호회원과 전일제 수업 진행을 하는 학교, 학원에서 단체로 이용하기에도 좋다. 사정인라인스케이트장은 사정공원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안영IC도 인접해 있어 대전 외 인근 지역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찾을 수 있다. 대중교통은 대전 시내버스 33-1번을 이용할 수 있다. 주변에는 대전오월드 외에 보문산, 사정골식물원, 대전보훈공원 등의 관광지가 있다.
1.3Km 2025-06-20
대전광역시 중구 사정공원로 160 (사정동)
보문산은 대전 남부에 솟은 해발 457.6m의 산이자, 대전팔경 중 하나로 꼽히는 대전의 대표적인 도시공원이다. 골짜기마다 20여 곳의 약수터가 있고 시루봉 아래 고촉사에는 미륵상을 닮은 자연 암석이 있다. 보문산은 이처럼 지금도 시민들에게 각광받는 산이지만, 과거에도 조상들이 중요하게 여겼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와 신라의 국경선으로 백제의 최전선 역할을 하던 보문산성이 남아있고, 그 외에는 마애여래좌상, 보문사지 석조 등 문화재와 기념물이 있다. 보문산 산행코스는 시루봉길, 문필봉길, 산성길 등 10여 개가 있다. 그중 옛 보문산 케이블카 광장에서 시작하여 전망대인 보운대과 보문산성을 거쳐 시루봉 방향으로 가다가 골짜기로 내려와 야외음악당과 송학사를 거쳐 옛 케이블카 광장으로 내려오는 4.8km 코스가 대표적이다. 그 외에는 사정공원 주차장에서 시작하여 고촉사 뒤의 가파른 산비탈을 타고 시루봉에 오른 다음 서쪽 산등성이를 타고 내려오다가 보문사지 갈림길에서 북쪽 산등성이를 따라서 내려오는 4.3km 코스도 있다. 산행코스 외에는 사정공원 레포츠 시설, 야외음악당, 청년광장, 전망대 등이 있다.
1.3Km 2025-03-26
대전광역시 중구 운남로85번길 5 (무수동)
하늘 아래 근심 없는 마을이다. 2006년 농촌전통테마마을로 지정된 무수천하마을은 대도시 근교에서는 드물게 역사와 전통문화 그리고 농촌다움을 함께 보전하고 있는 마을이다. 무수(無愁)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대대로 근심걱정 없이 살아온 마을로서 부모사랑의 마음을 간직한 안동 권 씨 유회당 종가, 여경암, 거업제 등 역사적 문화재가 잘 보존되어 있다. 부추와 콩 등 농산물을 재배하고 있어 계절별 농사체험이 가능하며, 다양한 전통음식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식물을 말려 장식해 보는 꽃누름이 압화, 천연 염색등의 공예체험과 마을 주위에 생물을 통한 생태체험 등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