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거진천 농다리축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생거진천 농다리축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생거진천 농다리축제

생거진천 농다리축제

13.5 Km    42650     2024-04-29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화로 79
043-533-2742 / 2744

충청북도 지방유형문화재 제28호로 천년을 이어온 동양 최고의 돌다리, 놀랍게도 생김새가 다른 돌이 어우러져 천년의 세월을 이겨낸 농다리를 테마로 개최하는 축제이다. 살아서 농사 짓기 위해 건너고 죽어서는 꽃상여에 실려 건너는 사람과 공존하는 다리, 바로 진천 농다리이다.

진천문화원

진천문화원

13.5 Km    19382     2023-12-09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화로 79

진천문화원은 진천군 문화로 시내 가운데에 있으며, 지역 고유문화의 계발과 보급을 통해 지방 문화를 보존하고 전승하기 위해 1956년에 건립한 곳이다. 이곳에서는 향토 문화의 발굴과 조사, 연구를 통해 더 많은 사료의 수집과 보존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지역 문화행사를 개최하고, 주민과 함께하는 사회교육 활동, 환경보존 등 문화의 창달을 위한 행사를 개최하며 크고 작은 축제도 주관한다. 문화 사회교육을 통해 자아를 찾음으로 일상생활에 더욱 적극적인 관심을 두고 주체적으로 함께 할 수 있는 참여로 지역사회가 활발해질 수 있기를 원하며 운영하고 있다. 진천의 모든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군민 모두가 문화를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이경순 소리박물관

이경순 소리박물관

13.5 Km    23116     2023-10-30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동아예대길 47

한국영화의 산증인으로 영화녹음 분야에 있어 최고의 권위를 가진 이경순 선생이 소장하고 계시던 영화관련 자료 2,000여 점을 전시하고 있는 영화자료 박물관이다. 60여 년 전의 영상기와 이승만 대통령 취임식 때 사용된 동시녹음장비, 70년된 축음기 등 모두 약 500여 점의 음향장비가 전시되어 있다. 영화녹음 관련 각종 기자재와 영화대본, 상장 등을 볼 수 있다.
이경순선생은 1950년부터 1990년까지 40년동안 한국영화 3천여 작품을 녹음하신 분으로 그 분야의 개척자로 알려져 있으며, 소장자료를 동아방송예술대학에 기증하였다.

동아방송예술대학교 DIMA아트센터

동아방송예술대학교 DIMA아트센터

13.5 Km    264     2023-10-30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동아예대길 47

DIMA 아트센터는 동아방송예술대학교에서 방송예술산업을 주도하는 글로벌 창의인재 양성과 지역 문화 예술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한 전문 미술관이다. 이곳은 2012년 개관 이래 지속으로 다양한 작가들의 주옥같은 예술작품과 21세기 감성 사회에 발맞춘 수준 높은 기획 전시를 통하여 지역 문화 예술 발전에 보탬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 꿈나무들의 예술적 감각을 자극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경기도 안성지역에 설립된 유일한 대학 미술관으로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문화 예술기관으로서의 전문성과 여러 공연 등의 장르 간 상호 연계를 통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동아방송예술대학교는 1997년 개교한 대한민국 최초의 방송전문 고등교육기관이다. 1998년 5월 1일에 교명을 동아방송대학으로 바꿨다가 2007년 1월 15일에 동아방송예술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했고 2012년 5월 23일에 다시 동아방송예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11년 3월 현재 16개 학과(3년제)가 개설되어 있으며 전공심화 학사학위 과정 4개 학과도 운영하고 있다.

화랑공원

화랑공원

13.5 Km    1     2023-11-08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화로 69-4

화랑공원은 진천군민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자 2004년 개관한 근린공원으로 군민의 휴식처 및 생활체육공원으로서의 역할을 통해 건전한 생활문화 정착 및 군민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 있다. 화랑공원에는 8개의 체력 단련 시설, 3개의 어린이 놀이 시설, 놀이 기구 등이 있으며 이 밖에도 인라인스케이트장, 풋살구장, 농구장 등 다양한 체육시설을 갖추고 있다. 또한 녹지 성장을 위해 조경수 1만 9천여 본이 식재되어 있다.

서한순 효자문

13.6 Km    24486     2023-12-07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사석리 419-3

서한순 효자문은 진천군 사석리 민가의 낮은 언덕 위에 조성되어 있다. 이 효자문은 6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오직 부모님에 대한 지극한 효성으로 일생을 마친 서한순의 효행을 길이 후세에 기리기 위해 1971년 6월 6일에 건립한 효자 정문이다. 서한순 효자문은 목재를 이용한 기와집 형태로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지방의 유림의 건의로 효자문을 세우도록 건의하였으나 조선조 말엽의 혼란과 외세 침략으로 정려(충신, 효자, 열녀 등을 그 동네에 정문을 세워 표창하던 일)되지 못하다가 1971년에서야 지방 유림이 당시의 감사, 현감 등의 표창장을 자료로 효자 정문을 세우게 되었다.

에덴블루CC

에덴블루CC

13.7 Km    1     2023-10-04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장능리 산62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에 위치한 레이크, 밸리, 마운틴의 3개 코스 총 27홀의 퍼블릭 골프장이다. 회원제에서 퍼블릭으로 전환했다.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과 부드러움을 강조하여 정원을 걷는 듯한 코스를 목표로 관리하고 있다. 레스토랑에서 제공되는 식사 메뉴에 밥과 김치는 국내산이고, 두부류는 외국산 콩을 사용한다. 소고기미역국, 육개장, 황태해장국, 청국장, 짜장면 등 서민적이고 저렴한 가격의 음식이 준비되어 있다.

더그라스

더그라스

13.7 Km    1     2024-03-28

충청북도 진천군 소강정1길 78

더그라스는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신정리에 있다. 외관에서 현대적인 감각이 엿보인다. 세련된 분위기의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외부에는 핑크뮬리와 야자수가 어우러진 정원이 있다. 무엇보다 다양한 좌석이 마련되어 있다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정원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창가 좌석, 영화를 감상할 수 있는 스크린 좌석, 정원에 마련된 프라이빗한 2인 좌석, 중정과 2층 루프탑에 마련된 불멍 좌석, 반려견 동반 시 이용할 수 있는 야외 좌석 등이 그것이다. 대표 메뉴는 아메리카노이며, 아인슈페너, 카페라떼, 바닐라라떼, 마카다미아라떼 등도 판다. 진천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진천화폐박물관, 만뢰산자연생태공원 등이 있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목줄, 배변봉투 지참)

용화사(진천)

용화사(진천)

13.8 Km    19940     2023-12-07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소강정1길 83

용화사는 충청북도 진천군 신정리에 자리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의 말사이다. 이곳은 1959년에 비구니 한자심이 신축한 곳으로 이때 대웅전을 신축하였다. 본래 고려 시대의 절터였지만 현재 거대한 석조 미륵불 입상이 남아 있다. 주변에서 석조 여래 입상이 발견되어 진천 문화원으로 이전하였다가 최근 다시 경내로 이전해 왔으며, 인근의 한 민가에는 석탑 부재가 남아 있기도 하여 옛 사지임을 나타내 주고 있다. 이곳의 옛 절터에 대한 문헌 기록은 전혀 없고, 단지 거대한 미륵불상에 대한 일제강점기의 기록이 남아 있을 뿐이다. 용화사에서는 고려 시대부터 이곳에 있던 미륵불을 정원에 모시고 있으며, 그 옆에는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겹처마 팔작지붕의 대웅전이 있다. 대웅전 남쪽 옆에는 북향으로 지은 양옥식 요사가 있다. 민가 가운데에 있어 누구나 편히 와서 기도하고 관람도 할 수 있는 곳이다. 이곳의 석조 미륵불 입상은 왜적을 물리쳤다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으며, 김유신 장군의 위업을 기리기 위한 송덕 불상이라 불리는데 고려 시대에도 신라의 예를 따라 길상사의 제향을 국제로 하려면 표적이 있어야 하겠기에 고려 초기에 이 불상을 건립한 것이라고 추정된다.

회암저수지

회암저수지

13.8 Km    1     2023-02-16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내강리 521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에 위치한 저수지이다. 면적이 약 7,000 m²인 아담한 소류지 크기로, 수심이 2~4m이다. 계곡수를 사용하여 물이 깨끗하다. 사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아늑하며, 봄이면 저수지 주변에 피어난 벚꽃이 저수지와 잘 어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