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갈마도서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전 갈마도서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대전 갈마도서관

10.5 Km    26513     2024-05-23

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127번길 138

갈마도서관은 대전광역시 서구에서 운영하는 공공 도서관으로, 대전광역시 서구 갈마동에 위치한다. 이 도서관은 1994년 6월 1일에 개관하여 지역주민에게 정보의 이용, 문화활동, 독서활동 및 평생교육 등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특히 지식정보화 시대를 맞아 영, 유아부터 노인층에 이르기까지 주민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쾌적한 독서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그리고 양질의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자료의 확보, 정보취약 계층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확대, 지역주민 문화 활동 공간으로써 이용자 중심의 도서관을 만들고 있다. 신갈마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대중교통은 대전 시내버스 119번, 312번, 617번을 이용할 수 있다.

드리오리 갈마점

드리오리 갈마점

10.6 Km    3     2022-11-17

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 57

드리오리 갈마점은 대전광역시 서구 갈마동에 있다. 깔끔한 외관과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국내산 생오리로 만든 오리 누룽지 백숙이다. A 코스 요리 4인이나 B 코스 요리 2인을 주문하면 오리 로스, 오리 주물럭, 오리 훈제, 오리 영양죽 등을 모두 맛볼 수 있다. 유성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엑스포과학공원과 한밭수목원이 있다.

소나무향기

소나무향기

10.6 Km    0     2024-01-23

세종특별자치시 발산1길 54-8

소나무향기는 세종시 금남면 발산리에 자리 잡고 있다. 대표 메뉴는 미국산 소고기를 재료로 만든 석갈비 정식으로 평일 점심에 한해 한정 수량만 판다. 주문 시 냉면이나 된장찌개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밖에 함흥비빔냉면, 함흥물냉면, 갈비탕, 양푼이육개장, 육회비빔밥 등을 판다. 남세종 IC와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과 가깝다.

염선재

염선재

10.6 Km    25999     2023-06-10

충청남도 계룡시 사계로 5-16

염선재는 김종서 장군의 7대 손이자 사계선생 계배 순천 김씨 정부인의 제각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고 사계선생이 1631년 8월 3일 타계후 부군의 삼년상을 마치고 1634년 계유년 12월 9일(향년 62세)에 부군의 뒤를 따르기 위해 식음을 전폐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어 효와 열의 근본이 되었다. 광무 십년(1906년) 4월 18일 정부인 순천김씨라는 칙명의 교지를 받았다. 고종 19년(1882)에 지은 이 건물은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1987년에는 부패되어 손상된 기둥 밑부분을 절단하고 화강석으로 보강하였다. 염선재는 원래 작은 제각이었으나 1913년에 현재의 건물로 증축되어 조선말 전통 가옥 형태를 잘 보존하여 1990년 9월 27일 지방문화재 자료로 지정되었다.

마치광장

마치광장

10.7 Km    0     2023-10-06

대전광역시 서구 구봉로131번길 27

마치광장은 대전시 서구 관저 5 지구에 있다. 광장 근처는 많은 사람이 밀집하는 관저동의 대표 중심 상권이다. 음식점이 많아 주중이나 주말 가릴 것 없이 많은 사람이 찾는다. 광장 주변에는 아이들을 위한 전동자동차 대여 상점이 많으며, 전동자동차를 즐기는 아이들이 많다.

공주 석장리 유적

공주 석장리 유적

10.7 Km    32273     2023-03-30

충청남도 공주시 금벽로 990

* 구석기 시대의 생활상을 만난다, 석장리 구석기유적지 *
공주 석장리 구석기 유적은 공주시로부터 직선거리 약 6㎞, 장기면 석장리의 금강 북안 하안단구에 위치한 우리나라 구석기시대의 대표적 유적지이다. 현재 사적으로 지정, 보호되고 있는 이 유적에 대한 조사는 1964년부터 1974년까지 10차에 걸쳐 연세대학교 박물관이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층은 27개의 층위로 형성되어 있고 유물을 포함하고 있는 문화층도 11개 층위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후 1990년과 1993년에 다시 구체적 발굴조사가 실시되어, 보다 다양한 문화유적이 확인됨에 따라 이 유적의 분명한 성격이 확인되었다. 지질층은 강바닥, 강가, 비탈 쌓임층으로 나뉘며 아래 쌓임층들은 두 개의 다른 간빙기와 제4빙기에 쌓인 것으로 밝혀졌다. 강가 쌓임층의 맨 위층에서 나온 나무뿌리테가 따뜻한 기후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알려주며, 나무숯은 방사선 연대로 5만 270년보다 앞서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비탈 쌓임층의 1호 집터에서 나온 화덕의 재는 2만 830년 전의 것임을 알려주었으며, 맨 밑의 강바닥층은 30~50 만년 전으로 올라가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12~14개의 문화층은 아래층으로부터 돌감(石材)과 석기 만드는 수법이 발달되어온 과정을 보여준다. 석기의 특징으로 볼 때 전기의 곧선사람들은 차돌과 편마암을 거칠게 떼어내 외날찍개, 안팎날찍개의 무거운 석기를 만들었고 중기의 슬기사람들은 이 밖에 반암도 떼어 좀 더 발달한 긁개, 찌르개, 자르개, 홈날, 톱날석기를 몸돌과 격지석기로 만들고 돌려때기 수법도 쓰게 되었다. 후기의 슬기슬기 사람들은 아주 발달한 간접떼기-돌날떼기 수법을 썼으며, 돌날자르개, 돌날긁개, 돌날밀개, 돌날새기개 등을 만들어 세밀하고 정밀한 작업을 하게 되었다. 돌감도 흑요석과 수정을 멀리서 가져다 쓴 것을 알 수 있다.

* 구석기유적지를 통해본 구석기인의 생활상 *

구석기인들은 집을 짓고 불을 피우며 살았는데, 여름철에는 화덕을 집밖에 겨울철에는 집 안에 마련하였음을 알 수 있다. 집터 안에서 나온 머리털을 분석한 결과, 지금 인간의 머리카락과 같았음을 알게 되었고 땅바닥과 벽에 홈을 파서 새겨놓은 고래상과 돌을 떼어내 아가미, 눈, 비늘들을 새겨 만든 물고기상이 나왔다. 이들은 둥글납작한 자갈돌에 새기개 끝으로 선을 그어 그림을 그린 것을 통해 슬기슬기 사람들의 예술성을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모래돌을 여러차례 문지르고 그어서 불을 피우는데 썼던 돌도 나왔다. 이 위층에 중석기 시대의 얇은 층이 덮여 있는데 세석인, 세석인핵, 잔새기개, 잔글개들이 출토되어 중석기시대의 문화가 발달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오한순손수제비

오한순손수제비

10.7 Km    6     2024-02-29

대전광역시 서구 신갈마로230번길 36

오한순 손수제비는 대전광역시 서구 갈마동에 있다. SBS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방송 투데이에 소개된 바 있다. 현대적인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대표 메뉴는 민물새우를 넣고 끓인 육수 덕분에 시원함을 느낄 수 있는 민물새우 손수제비다. 이 밖에 부추 수제비, 부추전, 수육 등이 준비되어 있다. 민물새우 손수제비, 수육, 부추전을 한꺼번에 맛볼 수 있는 세트 메뉴도 있다.

추어명가 세종점

추어명가 세종점

10.7 Km    4     2022-10-19

세종특별자치시 성덕영곡길 29

추어명가 세종점은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발산리에 있다. 현대적인 외관에 인테리어는 깔끔한 분위기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있어 각종 모임에 적당하다. 대표 메뉴는 추어탕+가마솥 밥이다. 매일 아침 매장에서 살아있는 싱싱한 미꾸라지를 가마솥에 직접 끓여 전통 방식으로 만든다. 이 밖에 얼큰추어탕+가마솥 밥, 통추어탕+가마솥 밥, 우렁추어탕+가마솥 밥, 활전복추어탕+가마솥 밥 등 여러 가지 추어탕이 준비되어 있다. 남세종IC에서 가깝고, 주변에 금강수목원과 세종어린이천문대가 있다.

내원사(대전)

내원사(대전)

10.7 Km    27673     2024-06-03

대전광역시 서구 배재로197번길 200

내원사는 대전 서구 도솔산 동쪽 사면에 자리한 사찰이다. 도솔산은 대전 시내에 솟은 낮은 산으로 많은 시민들이 가벼운 산책으로 찾는 산이다. 내원사는 이처럼 도심과 가까우면서도 산속에 위치하여 시민과 관광객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휴식처이다. 내원사라는 이름의 사찰은 여러 곳에 마련되어 있는데, 대전 도솔산의 내원사는 높고 험한 산에서 느낄 수 없는 포근하고 안정된 느낌을 준다. 이곳에 자리 잡은 대웅전과 대적광전은 주위 풍광과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약수터도 갖추고 있다. 내원사의 창건 시기에 관련된 문헌상의 기록은 없다. 다만 조선시대에 도솔암으로 존재했다가 소실된 이력이 있다고 한다. 그 후 1928년 연덕화 보살이 절을 지었고, 1965년 법전스님이 중건하였다. 그리고 1997년에 조성한 대웅전을 비롯하여 대적광전과 요사채로 구성되어 있다. 절 입구에는 1996년에 조성한 범종 형태의 부도 1기가 있다.

갈마공원

갈마공원

10.8 Km    5     2023-12-22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664 (갈마동)

둔산신도시 서부에 위치한 도시 근린공원인 갈마공원은 91,938㎡의 면적에 조성되어 있다. 갈마공원은 봄에는 이팝꽃, 튤립을 비롯한 야생화와 여름의 짙푸른 녹음, 가을의 단풍이 아름다운 곳으로 산책로를 따라 기분 좋게 한 바퀴를 돌 수 있는 규모의 공원이다. 공원에는 산책로뿐만 아니라 체육시설인 올림픽기념 국민생활관이 자리 잡고 있다. 이곳은 체육, 문화, 예술 등 다목적 복합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수영, 헬스, 어린이 태권도 교실, 회화 교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 외에도 공원 안에는 효자거창신씨정려, 평안루, 갈마정과 국군 제2연대 창설공적비가 세워져 있다. 또한, 풋살장, 농구장, 축구장, 테니스장, 게이트볼장 등 각종 야외 운동시설이 들어서 있다. 갈마공원은 대전 도시철도 1호선 갈마역이 매우 가깝다. 주변에는 월평도서관, 정부대전청사 자연마당, 샘머리공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