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Km 2025-08-20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한강로 270 (망월동, 미사역 호반 써밋)
존앤맷 타코 미사 본점은 하남시 망월동에 있는 파라곤 스퀘어 1층 건물 뒤편 테라스 라인에 있다. 도보로는 미사역 5번 출구에서 250m쯤 거리에 있다. 주차는 파라곤 지하 1층 상가 전용 주차장 MALL 4번 쪽에 주차할 수 있다. 깔끔한 외관으로 현대적인 느낌이다. 내부는 오렌지 톤의 따뜻한 느낌이면서 현대적인 멕시코 느낌이 있다. 주 메뉴는 여러 가지 종류의 타코이지만 파히타와 부리또도 있어서 음식 선택의 폭이 넓다. 재료도 신선해서 음식의 맛을 배가시켜준다.
5.1Km 2025-07-23
서울특별시 송파구 동남로 263 송파도서관
서울특별시교육청 송파도서관은 24만여 권의 장서와 1만여 점의 비도서 자료를 소장하고 다양한 독서문화프로그램과 평생학습강좌를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교육청 소속의 공공도서관이다. '세상과 나를 바꾸는 힘, 송파도서관'을 비전으로 지식정보서비스 강화, 꿈을 키우는 독서문화 진흥, 마을과 함께하는 평생학습 활성화 등 활력이 넘치는 지역 커뮤니티의 중심이 되기 위해 전 직원이 함께 노력하고 있으며, 웹툰과 예술, 교과서로 독서하자, 송파 숲속도서관 등 송파만의 특색사업도 운영 중이다.
5.1Km 2025-08-20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중앙로 218 성산타워
회식의달인은 무한리필 고깃집이다. 삼겹살, 항정살, 부채살, 새우살, 꽃등심, LA갈비 등 무려 20가지의 소고기와 돼지고기 부위를 무한리필로 즐길 수 있다. 또한 라면과 떡볶이, 공기밥도 무제한으로 먹을 수 있다. 100평급의 규모로 각종 모임과 회식장소로 안성맞춤이며, 아기의자와 아기식기가 구비되어 있어 가족외식을 하기에도 좋은 곳이다.
5.1Km 2025-03-27
경기도 하남시 창우동
곱돌약수터는 하남시 검단산 내에 위치한 약수터이다. 검단산은 하남시청 동쪽에 위치한 높이 657m로 하남시의 대표적인 명산으로 유명하다. 백제 한성시대 하남 위례성의 숭산(崇山), 진산(鎭山)으로서 왕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신성한 산으로 전해진다. 검단산 정상에서는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류하는 양수리와 하남시는 물론이고 서울과 양평 일대, 팔당호 주변의 경관도 감상할 수 있어 서울 근교의 하루 등반 코스로 각광 받고 있다. 서울 근교에 있고 교통이 편리하며,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을 뿐 아니라 코스도 그다지 어렵지 않아 일일 산행으로 가족 나들이하기에 좋다. 산행은 하산곡동의 산곡초등학교 쪽과 팔당댐 건너 아래배알미쪽 등산로를 이용할 수 있는데 전자가 교통이 더 편리하다. 이밖에 창우동의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방면에서 시작되는 현충탑 등산로도 있다. 하산곡동에서 출발하는 산행은 처음에는 경사가 매우 가파르지만 산 중턱에는 노송이 길을 덮어 쉬어가기 좋다. 넓고 평평한 정상에 서면 멀리 북한산과 도봉산 줄기가 한눈에 보인다. 동쪽으로는 팔당댐이 보이고, 남쪽으로 뻗은 능선에는 용마산(龍馬山)이 솟아 있으며, 서쪽으로는 중부고속도로가 힘차게 달린다. 본래 세종대왕의 능을 이곳에 쓰려다 여주로 옮겨가게 되어 닦아 놓은 능터가 지금도 남아 있어 역사를 말해주고 있으며, 《서유견문》을 쓴 유길준(兪吉濬)의 묘가 있다.
5.1Km 2025-08-08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3동 448-49호 (천호동 마을마당 내)
독립운동가로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과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헌신한 해공 신익희 선생의 공적을 기려 강동구청 주관으로 천호동에 동상을 건립하였다. 해공 신익희선생은 1894년 경기 광주 출신으로 1910년 한성관립외국어학교 졸업 후, 1912년 일본 와세다대학 정경학부에 입학하여 유학생 통합단체인 학우회를 조직하고 기관지 학지광을 발간하며 민족정신과 독립사상을 고취하였다. 1913년 귀국하여 고향에 동명강습소를 열어 신문화와 개화사상을 보급하였으며, 1919년 독립선언문을 배포하며 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 그 해 일경의 체포령을 피해 상해로 망명,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내무차장, 국무원비서장, 외무총장 서리, 내무부장 등을 역임하시고 조국의 광복을 맞아 귀국하였다. 귀국 후 민주당 최고위원 및 국회의장을 역임하고 1956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혼신의 힘을 기울이다 유세 가던 중 열차에서 뇌내출혈로 서거하였다.
5.1Km 2025-07-22
서울특별시 강동구 성안로 7-12
서울 강동구 성내동에 위치한 추어탕 전문점으로 주출입구에 높이 차이가 있으나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고, 좌석은 모두 의자와 테이블로 되어 있다. 오전 7시부터 영업을 시작하여 이른 아침 식사를 위해 방문하는 사람들도 많다. 메뉴는 자연송이추어탕, 전복추어탕, 우렁추어탕, 추어튀김, 추어돈가스 등을 판매하고 있다. 추어탕은 전국 택배도 가능하다.
5.1Km 2025-08-27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로 363
오금공원은 서울 송파구 오금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지하철 5호선 오금역 인근 가락동 송파경찰서 대각선 방향에 자리하고 있다. 해발 200m의 야산을 친환경적으로 조성하여 나무, 꽃, 잔디가 어우러진 쾌적한 자연환경을 제공한다. 야생 초화류 30여 종과 자생 관목류 20종이 자라고 있는 자연학습장이 조성되어 있어 산책 중 다양한 식물을 관찰할 수 있다. 공원 내에는 광장 5곳과 산책로 9코스, 어린이놀이터 등이 조성되어 있어 지역 주민들의 방문이 꾸준하다. 운동장, 정구장, 수영장, 배드민턴장, 게이트볼장, 체력단련장, 인라인하키장 등의 운동시설은 주민과 학생들의 체력단련 및 여가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5.1Km 2024-06-13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엄미길
의안대군 방석 묘역은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이성계의 8째 아들인 의안대군(1382~1398)이 잠든 묘이다. 의안대군은 신덕왕후 강 씨의 아들이며 태종의 이복동생으로 이름은 방석이다. 아버지 이성계의 공훈으로 어린 나이에 고려왕조에서 군기녹사(군대에서 필요한 물품을 조달하는 직책)의 일을 맡았다. 조선 왕조가 개창 되고 태조 즉위 초에 세자 책봉 문제가 일어났을 때 배극렴, 조준, 정도전 등에 의해 1392년 8월에 세자가 되었으나, 이후 방원이 일으킨 왕자의 난 때 피살되었다. 1406년(태종 6) 소도공의 시호가 내렸고 1680년(숙종 6) 의안대군으로 추증되었다. 1998년 4월 13일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전주 이씨 의안대군파 종중에서 소유, 관리하고 있다. 묘역은 애기능이라 불리는 산 능선에 정남향으로 자리 잡았다. 묘의 좌우에는 문인석 2기가 세워져 있고 상석과 향로석, 묘비가 놓여있다. 묘 앞으로는 세자빈 심 씨의 묘와 묘비가 있고 묘역의 뒤쪽으로는 산신제단이 있다. 이 묘역은 고려 시대 묘제의 특징을 지닌 조선 초기의 것으로, 돌담이 있고 봉분은 직사각형 모양의 호석이 둘러져 있어 한강 이남 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형태를 보인다. 오랫동안 유실되었다가 1823년(순조 23) 후손들에 의해 위치가 확인되었고 1999년 무덤을 새로 단장하였다. 아버지 태조 이성계는 어린 세자의 죽음을 불쌍히 여겨 무학대사에게 쓸 만한 묫자리를 하나 잡아주도록 일렀고 이 묘역은 무학대사가 선택한 자리로 나름 명당자리에 속한다고 한다.
5.1Km 2024-10-22
서울특별시 송파구 동남로 263
신선경과 류인호 묘역은 조선 전기 문신인 신선경과 사위 류인호의 묘역이다. 신선경은 세조 대 원종공신 2등으로 사헌부 장령, 성종 대 동지중추부사 등을 두루 거쳤으며 덕종의 후궁 숙의 신씨의 아버지이다. 류인호는 신선경의 사위로 성종 대에서 중종대에 걸쳐 사헌부 장령, 공조참의 등을 지냈다. 신선경과 부인 청주 한씨의 쌍분묘 옆에 사위인 류인호와 거창 신씨의 합장묘가 나란히 조성되어 있고 그 앞에는 후손인 수사공 류장구의 묘소가 있다. 신선경 부부의 묘에는 묘표와 상석, 문인석을 세웠고 류인호 부부 묘에는 묘표와 상석, 망주석을 세웠다. 신선경와 류인호 묘는 조선 전기의 묘제를 잘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사위인 거창 신씨 묘역에는 사위와 외손자의 무덤이 함께 조성되어 있어 처가살이를 비롯하여 아들, 딸에게 재산을 고르게 나누어 주던 조선 전기 사회상을 짐작할 수 있다. 수도권 지하철 5호선 개롱역 1번 출구에서 650m에 위치하고 있다.
5.1Km 2025-03-19
경기도 하남시 검단산로 342-13
031-795-6677
경기도 하남시에 위치한 소나무집은 엄나무 누룽지 백숙과 자연 능이 백숙 전문점이다. 엄나무 누룽지 백숙은 담백하고 구수하며 자연 능이 백숙은 국물이 진하고 시원한 것이 특징이다. 준비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음식인 만큼 사전에 전화예약을 하고 방문하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