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Km 2025-07-18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통삼리
친구와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수상 방갈로 전용 낚시터이다. 서울에서 1시간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용인, 수원, 동탄과도 가까운 거리에 있다. 수상 방갈로에서 조용하고 아늑하게 휴식하며 손맛을 볼 수 있다. 수심은 1~3M이고 어종은 토종붕어, 잉어, 떡붕어가 있다. 부대시설로는 TV, 냉장고, 에어컨, 전기장판, 구명도구, 매점, 주차장, 수세식 화장실, 샤워실이 있으며 피크닉 테이블등의 편의시설을 갖춰 연인, 가족, 동호회나 직장단체 모임으로도 많이 찾는 곳이다.
9.6Km 2024-11-26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어진로 780
병자호란 때 강화 성립에 공을 세웠고 북방에서 몽골 병의 약탈이 심하자 이를 토벌하다 전사한 조선 중기 무신 송담 선생의 집을 숙소로 사용 중인 곳이다. 거실, 큰방, 안방, 대청, 사랑방, 주방과 욕실, 안채로 구성되어있다. 숙소 앞에 호수가 있어 배산임수의 형태를 띠고 있다. 대청에서 숙소 앞에 있는 호수가 보인다. 이 곳에서 전통 혼례나 돌잔치를 할 수 있다.
9.7Km 2025-07-18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어진로 798
용인시 처인구 이동저수지 근처에 있는 전망 좋은 독립건물 카페이다. 이동저수지 바로 옆에 있어 이동저수지에서 수상 스포츠를 즐기는 모습도 조망할 수 있다. 대형 베이커리 카페로 커피와 다양한 베이커리를 판매한다. 특히 2층에서는 통창으로 저수지 조망을 제대로 즐길 수 있고 3층에서는 저수지와 주변 자연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단, 3층은 루프탑이라 어린이들의 출입이 제한된다. 야외에도 좌석이 있는데 날씨가 좋은 날에는 야외 좌석이 먼저 채워진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9.8Km 2025-06-18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배꽃길 61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배꽃길에 있는 카페로 배밭에 위치해 있다. 입구에 들어서면 '1973', '커피와 양과자' 표지판이 보이고 마당에는 배나무 한 그루가 있다. 메뉴는 아메리카노 부터 배꽃 에이드, 배 라테, 배꽃 주스 등 배가 들어간 음료도 많다. 배나무 아래에 앉을 수 있도록 피크닉 돗자리, 어린이를 위한 DIY 장난감을 준비해 놓았다, 배가 열리는 시기에 배봉지를 구입하여 체험자의 이름을 적어두고 가을에 와서 수확하는 배봉지 체험이 있다. 배 밭에 앉아 주문을 기다리면 노란 바구니로 주문한 음식을 가져다준다. 아이들과 배밭 나들이 삼아 방문하기 좋은 곳이다.
9.9Km 2025-06-18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배꽃길 16
경기 안성시 대덕면에 있는 낚시터로 수면적만 23,000㎡이고, 평균 수심은 2.7m이며 배수 없이 만수위를 유지한다. 어종은 붕어로 지렁이, 떡밥을 미끼로 사용한다. 일주일에 3회 붕어를 방류한다. 1인, 2인, 3인, 4인, 특대형 2룸 방갈로는 에어컨, 냉장고, 이불, 전기시설, WiFi 가 있다. 낚시터를 빙 둘러 약 700m 길이의 둘레길이 있어 낚싯대 등 소지한 짐의 이동이 편리하다. 가까이에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가 있다. 안성 IC에서 자동차로 20분 거리다.
9.9Km 2025-03-21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전원로 8
신선한 딸기를 관찰하고 직접 따서 담아 올 수 있는 체험농장이다. 딸기 열매와 꽃을 관찰하고 냄새를 맡아보며 직접 딸기를 따서 맛볼 수 있다. 딸기 따기 뿐 아니라 아이스크림 만들기 등의 체험과 놀거리가 풍부해 어린이들과 함께 즐겁고 유익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딸기 판매도 겸하고 있으며 딸기초코 만들기 등의 체험은 포장만 가능하고 온실 내 취식은 불가하다. 3~4개의 체험교실에 시간대 별로 1~2팀이 나눠서 입장하기 때문에 동선이 겹치지 않고 안전하게 체험할 수 있다. 어린이가 체험활동에 참여할 경우, 반드시 보호자가 동반해야 한다.
10.1Km 2025-11-03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어진로 842
동도사는 한국대중불교 불이종(不二宗) 소속의 사찰로 경기도 용인시 이동면에 위치해 있다. 주변은 남쪽의 신선봉(308m), 동남쪽의 봉황산(256m), 동북쪽의 묘봉(228.6m) 등 높고 낮은 산이 감싸고 있다. 북쪽은 이동저수지에 바로 면하고 있다. 산이 저수지와 어울려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내고 있는 곳이다. 절이 위치한 곳은 용인의 산속 깊고 높은 곳으로 앞의 이동저수지를 비롯하여 주변의 산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다. 시야가 탁 트여 시원스러움을 맛볼 수 있다. 동도사는 1963년에 옛 어비리사지가 이동저수지 조성으로 수몰될 때 車壯業 居士가 절터에 있던 석탑과 석불, 석등 등을 현재의 위치로 옮겨와 창건하였다. 어비리사지가 이동저수지의 조성을 수몰되기에 이르자 차장업 거사는 석탑과 석불, 석등 등이 수몰되는 것을 안타까워하여 원력을 발휘하여 옛 절터의 유물을 모두 이곳 동도사로 옮겨온다. 그리하여 동도사는 새로이 창건된 사찰이지만 신라 때 사찰의 법등을 새로이 잇게 된 것이다.
10.1Km 2025-10-24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새악길 43-62
바람새마을의 자연부락 명은 ‘다루지’이며 ‘다라고비진’이라는 나루터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사람과 물자가 모이던 나루터는 고기잡이 총각 다라와 마을 처녀 고비의 사랑이 싹튼 무대가 되었으며, 마을 주민들의 생활 터전이기도 하였다. 마을 앞 넓은 들에는 조선 후기 궁방전이 있어 소작 농민에게 아픔의 일화가 서려 있는 곳으로 ‘궁리’라는 마을 이름과 관련 있으며, 바다의 꿈인 과거와 습지인 현재와 희망의 상징인 새의 미래를 담아 바람새마을이 탄생하게 되었다. 마을은 2008년 경기도 녹색 농촌체험마을로 선정되어 어른들에게는 잊혔던 어린 시절 고형의 향수를 어린이들에게는 도시의 찌든 생활에서 벗어나 자연과 함께 숨 쉴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꾸며 놓았다.
10.2Km 2025-01-10
경기도 평택시 계루지1길 7 (고덕동)
해방 전후의 대표적인 민족운동가이자 언론인이며 정치가인 민세 안재홍 선생이 살던 집이다. 안재홍 선생은 일제강점기에 조선일보 주필로 재직하면서 신간회와 물산장려운동을 이끌었으며, 고대사 연구와 문자보급에 앞장선 민족지사이며 학자였다. 이 집은 전형적인 경기도 지역 전통가옥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다. 특히 누마루가 설치된 사랑채는 고고하고 멋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원래 대문간채까지 있었던 것이나 지금은 안채와 사랑채만 남아 있다. ‘ㄱ’자형 안채와 ‘一’자형의 사랑채가 안마당을 중심으로 ‘ㄷ’자형 배치를 이루고 사랑채의 동쪽으로 대문채가 위치한다. 20세기 초 생활상의 변화를 반영하여 전통가옥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유리창을 설치하는 등 시대적인 변화를 적절히 가미하고 있다.
10.2Km 2025-11-17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새악길 43-42
소풍정원은 2013년 평택시 고덕면 궁리에 조성된 수변공원이다. 소풍정원은 ‘미소바람(미소 笑, 바람 風)이 머무는 정원(庭園)’이라는 의미로 자연과 사람이 함께 어우러져 진위천변 자연을 체험하고 쉴 수 있는 공간이다. 2018년 기존 방치된 섬지역을 이화의 섬, 빛의 정원 등 4개의 주제를 담은 테마섬을 조성하여 특색 있는 경관과 야간에는 경관조명을 통한 색다른 야경을 감상할 수 있다. 수변데크와 산책로를 따라 곳곳에 설치된 솟대, 바람개비를 보는 재미와, 놀이터, 다양한 휴게공간에서 자연을 체험하고 느낄 수 있다. (출처: 소풍정원 공식 홈페이지)